$\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죽음준비 영향 요인: 2014 노인실태 조사 활용
Factors Contributing to Death Prepara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Using Korean National Survey on Elderly 2014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8, 2018년, pp.167 - 175  

이가언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전혜정 (동아대학교병원) ,  유정옥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죽음준비 실태와 영향 요인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14년 3월부터 9월까지 조사한 '2014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로 대상자는 10,281명이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x^2-test$, t-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37.7%가 죽음준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준비 유형은 묘지 준비, 수의 마련, 상조회 가입, 죽음준비 교육, 유서작성 순이었으며, 정신적 죽음준비에 비해 의례적 죽음준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죽음준비 영향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거주지역, 교육수준, 결혼상태, 경제수준, 활동 제한과 삶의 만족도로 확인되었다. 여성 노인인 경우(CI=1.02-1.25), 연령이 많을수록(CI=1.90-2.28), 동지역보다 읍면지역에 거주하는 경우(CI=1.21-1.45), 학력이 높을수록(CI=1.16-1.42), 미혼, 이혼등의 경우에 비해 배우자가 있거나(CI=1.50-3.22) 사별한 경우(CI=1.58-2.84), 경제 수준이 높을수록(CI=1.13-1.36), 활동 제한이 있을수록(CI=1.11-1.40) 그리고 삶의 만족도에서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CI=1.17-1.35), 자녀와의 관계가 만족할수록(CI=1.25-1.43), 친구 및 지역사회에 만족할수록(CI=1.10-1.28) 죽음준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관련 기관에서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정신적 죽음준비를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여야 할 것이며, 이때 노인의 성별, 거주지역 등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ath preparation of in Community-Dwelling Elderlys. This study was secondary analysis using with 2014 National Survey on the Elderly in Korea. The number of respondents were 10,281. Data were analyzed with the 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4년 우리나라 전국노인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죽음준비 유형과 죽음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차 분석함으로써 추후 관련 정책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례적 죽음준비란? 이에 대한 준비는 자서전 쓰기, 죽음에 대한 영상물 관람, 장묘시설 견학, 장기 기증과 호스피스 교육과 같은 죽음준비교육 등이 해당된다[1,10]. 반면 의례적 죽음준비는 노인들이 좋은 죽음을 위해 행동으로 취하는 형식적이거나 행위적인 준비로서 유언, 유산, 장례 유형과 수의 준비 등과 관련된 것이다[4].
죽음준비의 구분? 선행 연구에서 죽음준비는 정신적(심리적) 준비와 의례적(물질적) 준비 두가지로 구분하고 있다[4-5]. 정신적 준비는 죽음을 수용하는 태도로써 자신의 유한성을 인지하고 이에 대해 심리적으로 준비하는 것이다[5].
정신적 준비에 해당하는 것은? 정신적 준비는 죽음을 수용하는 태도로써 자신의 유한성을 인지하고 이에 대해 심리적으로 준비하는 것이다[5]. 이에 대한 준비는 자서전 쓰기, 죽음에 대한 영상물 관람, 장묘시설 견학, 장기 기증과 호스피스 교육과 같은 죽음준비교육 등이 해당된다[1,10]. 반면 의례적 죽음준비는 노인들이 좋은 죽음을 위해 행동으로 취하는 형식적이거나 행위적인 준비로서 유언, 유산, 장례 유형과 수의 준비 등과 관련된 것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T. Oh, C. G. Kim,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Attitude toward Death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29, No. 1, pp. 51-69, 2009. UCI: http://uci.or.kr/G704-000573.2009.29.1.006 

  2. S. Chung, S. H. Kim, M. J. Koo,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Related Factors and Death Preparation: A Comparison of Pre-elderly and Baby-boomer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37, No. 1, pp. 131-153, 2014. UCI: http://uci.or.kr/G704-000152.2014.37.1.001 

  3. S. H. Kim, Y. M. Song,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for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ath anxiet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3, No. 1, pp. 190-219, 2013. DOI: https://dx.doi.org/10.15709/hswr.2013.33.1.190 

  4. M. S. Kim, C. K. Ha, H. S. Kim,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the View of the Afterlife and Readiness for Death",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16, No. 1, pp. 111-136, 2011. UCI: http://uci.or.kr/G704-001932.2011.16.1.010 

  5. N. S. Moon, K. M. Na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ath Preparation of the Aged and Successful Aging: Focusing on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as Media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8, No. 4, pp. 1227-1248, 2008. UCI: http://uci.or.kr/G704-000573.2008.28.4.010 

  6. I. S. Kim, G. R. Kim, H. S. Shin, H. C. Seo, "A meta-analysis of effectiveness of death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 21, No. 2, pp. 3-23, 2016. UCI: http://uci.or.kr/G704-001334.2016.21.2.005 

  7. T. Y. Kil, "The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on Death Anxiety and Self-integration of Elderly People in Urban and Rural Complex Areas",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Vol. 27, No. 1, pp. 95-124, 2017. UCI: http://uci.or.kr/I410-ECN-0102-2018-300-000563966 

  8. M. K. Byun, H. J. Hyun, S. J. Park, E. Y. Choi, Efficacy of Well-dying Program for Meaning of life, Self-efficiency, and Successive aging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10, pp. 413-422,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10.413 

  9. S. H. Kim, S. W. Byun, Analysis of the trends of research education on death,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2, No. 12, pp. 469-475, 2014. DOI: https://dx.doi.org/10.14400/JDC.2014.12.12.469 

  10. Y. M. Song, K. Yoo, "A study on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death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older adul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54, No. 54, pp. 111-134, 2011. UCI: http://uci.or.kr/G704-001512.2011..54.009 

  11. E. M. Hyun, "Effect of Death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7, pp. 4220-4228, 2014.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4.15.7.4220 

  12. S. H. Cho, Y. S. Jung, "A Study on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and Death Anxiety in Older Adults: Mediation Effects of Ego-integrit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70, pp. 319-348, 2015. UCI: http://uci.or.kr/G704-001512.2015..70.011 

  13. H. H. Sim, "A study on the cognition and attitude on well-dying in undergraduate students-Q 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9, no. 2, pp. 233-243, 2012. DOI: https://doi.org/10.7739/jkafn.2012.19.2.233 

  14. C. Ha, H. Kim, "The Elderly's Self-Esteem and View of the Afterlif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Death Prepara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52, No. 4, pp. 325-336, 2014. DOI: https://dx.doi.org/10.6115/fer.2014.028 

  15. J. W. Lee, Y. M. Woo, "The Influence of Accepting Attitude toward One's Own Death on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Medical Ethics, Vol. 19, No. 2, pp. 225-243, 2016. UCI: http://uci.or.kr/G704-001456.2016.19.2.001 

  16. Y. J. Jeong, N. Y. Yu, B. A. Kim, H. J. Shin, Y. S. Chong, "A Meta-Analysis on Variables Related with Successful Aging",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4, No. 4, pp. 781-797, 2014. UCI: http://uci.or.kr/G704-000573.2014.34.4.001 

  17. S. Kim, J. Han "Adult's Death Perception, Death Preparation, and Death Anxiety",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Vol. 5, No. 1, pp. 23-48, 2012. UCI: http://uci.or.kr/I410-ECN-0102-2013-320-002122561 

  18. J. H. Kim, K. H. Min, "Predictors of Death Attitude and Death Competency among the Elder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24, No. 1, pp. 11-27, 2010. DOI: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1.002 

  19. M. Pinquart, S. Sorensen, "Preparation for death and preparation for care in older community-dwelling adults", OMEGA-Journal of Death and Dying, Vol. 45, No. 1, pp. 69-88, 2002. DOI: https://dx.doi.org/10.2190/5K9J-C320-22LQ-KPH6 

  20. O. S. Kim, S. H. Lim, "Effects of Perception of Death, Well-Dying, on Terminal Care Attitud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3 pp. 63-71,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3.63 

  21. D. I. Templer, "Death anxiety as related to depression and health of retired persons", Journal of Gerontology, Vol. 26, No. 4, pp. 521-523, 1971. DOI: https://dx.doi.org/10.1093/geronj/26.4.5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