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Dealing with North Korean Defectors

Oughtopia : 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 v.23 no.1, 2008년, pp.187 - 222  

이시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90년대 들어오면서 급증하기 시작한 북한이탈주민들은 분단시대의 남한사회를 새롭게 성찰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이 이 땅에 정착한 것은 통일을 준비하는 우리 민족에게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 준 것이다. 본격적인 통일에 앞서 소수와 함께 민족통합을 미리 준비하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이 급증하기 시작 이래 발생한 다양성으로 인하여 정부의 획일적인 노력만으로 효과적인 통합을 기대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지방과 협력체계가 구축되기 시작하였다. 중앙정부의 주도로 추진된 북한이탈주민의 지방화는 중앙정부의 정책을 지방적 차원에서 실천하는 역할분담의 체계로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의 지방화가 추진되기 시작한 이래 거의 10여년이 경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은 여전히 중앙정부의 정책적 수단으로서의 지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남한의 정부와 국회는 북한이탈주민의 보호와 정착지원 등과 같은 문제는 통일정책의 맥락에서 다루어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통일원에게 주무부서로서의 권한과 역할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지방정부는 중앙정부의 정책의지를 관철하는 하부수단으로 위치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북한이탈주민문제에 관한 주도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북한과의 교류협력사업에 대해서는 적극성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이탈주민문제에 대해서는 소극적 자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하여 효과적인 정책을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체계적인 정책추진 환경은 여전히 미비하다. 지방자치단체는 주로 중앙정부에 의해 결정된 정책사항을 집행하는 역할만 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제도는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제도개선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운영과정에서는 상당한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그동안 중앙정부나 지방정부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에 관한 정책은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정책이 아니라 남한사회에 통합시키는 데에만 역점을 두고 추진되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들에 대한 정책적 관심도 주로 경제적 차원에 집중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남한사회에서도 경제적 약자로서의 지위를 벗어나는데 커다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을 한국사회에 통합시키려는 그간의 노력은 절반의 성공에 불과하다.

북한이탈주민 가운데에는 비교적 발빠르게 적응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상당수가 여전히 부적응으로 인한 고통과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북한이탈주민을 상대하는 남한사람들도 이들에 대한 편견의 문화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정치경제적 접근방법도 중요하지만, 서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나갈 수 있는 문화의 통합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대안은 최근 세계화시대의 자유로운 인적 이동에 따라 대두되고 있는 다민족, 다인종시대의 다문화 패러다임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체제가 다른 양쪽 사회를 경험했기 때문에 이들을 통일자산이라는 국민의 인식 변화가 무엇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apid increase of defectors from North Korea since 1990 has provided a chance to take a fresh look at the South Korean society in the time of national division.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land of South Korea gives a good opportunity to Korean people preparing for unification...

주제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