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 교육과 지리교육의 관계 탐색
Exploring Global Educa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Geography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3 no.1, 2017년, pp.178 - 194  

조철기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초록

이 연구는 글로벌 교육이란 무엇이며 이러한 글로벌 교육과 지리교육이 어떤 관계를 지니는지를 탐색한 것이다. 먼저 최근 '월드(world)'를 대신하여 사용되고 있는 '글로벌(global)'이라는 용어가 교육 및 지리교육에서 지니는 의미를 밝히고, 글로벌 교육이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어 일찍이 글로벌 교육에 관심을 기울여 온 영국과 미국을 사례로 하여 글로벌 교육의 기원과 흐름을 추적하고, 이들 국가에서 전개되어 온 글로벌 교육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교육과 지리교육의 관계 탐색으로, 여기에서는 글로벌 차원이 지리교육에서 왜 필요하고 중요한지를 살펴보고, 지리 교과가 범교육과정 주제인 글로벌 교육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to explore meaning and horizon of global educa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geography. Firstly, the paper clarifies what means the term 'global' used instead of 'world' to education and geography education and the aims of global education. Then a case of UK and USA the paper follows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정적인 세계화의 영향은? 이러한 세계화의 영향으로 한 국가 내에서 뿐만 아니라 국가 간에 사람과 물자의 이동은 더욱 더 빈빈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세계화는 국가 내, 그리고 국가 간의 빈부격차를 더욱 가중시키고 있고, 경제 개발의 부산물로 생태계는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더불어 세계화의 진전은 타문화에 대한 이해, 다양성에 대한 존중, 상호연계 및 상호의존성에 대한 이해를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세계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는? 세계화(globalization)라는 거대한 물결 속에서 우리 사회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 중의 하나는 ‘글로벌(global)’이다. 이제 이 단어는 우리 사회에서 뿐만 아니라 초중등학교 교육에도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다.
글로벌 교육의 특징은? 글로벌 교육은 교육내용 면에서는 ‘다양성의 이해’, ‘상호의존 시스템으로서의 세계인식’, ‘글로벌 쟁점의 해결’, ‘지속가능한 발전’ 등이 강조되며, 학습방법 면에서는 세계시민으로서의 책임과 자각을 함양하기 위한 학생중심 학습, 즉 협동학습이 중요시된다(日本地理敎育學會編(2006, 103)5). Richardson(1990, 6-7)역시 글로벌 교육에 영향을 끼친 2개의 오랜 전통을 소개하면서 학생중심 학습을 강조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0)

  1. 고미나.조철기, 2010, 영국에서 글로벌학습을 위한 개발교육의 지원과 지리교육,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2), 155-171. 

  2. 권미영.조철기, 2012, 한영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인구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0(1), 33-44. 

  3. 권정화, 1997, 지구화 시대의 국제이해교육: 초등 사회과 교육에서의 지리적 상상력의 의의, 지리교육논집, 37, 1-12. 

  4. 김다원, 2010, 사회과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문화 다양성"수업 내용 구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2), 167-181. 

  5. 김민성, 2013, 비판적 세계시민성을 통한 지리 교과서 재구성 전략, 사회과교육, 52(2), 59-72. 

  6. 김원수, 2014, 글로벌스터디즈(Global Studies)란 무엇인가? -개념화를 위한 역사학적 접근-, 사회과교육, 53(3), 1-12. 

  7. 남상준, 1989, 사회과 교육에서의 국제이해교육, 사회과교육, 22, 317-328. 

  8. 노혜정, 2008, 세계 시민 교육의 관점에서 세계 지리교과서 다시 읽기: 미국 세계 지리 교과서 속의 '한국', 대한지리학회지, 43(1), 154-169. 

  9. 박경환, 2008, 소수자와 소수자 공간: 비판 다문화주의의 공간교육을 위한 제언,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4), 297-310. 

  10. 박선미, 2011, 다문화교육의 비판적 관점이 지리교육에 주는 함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9(2), 91-106. 

  11. 박선영, 2009, 세계화를 대비하는 지구시민교육의 필요성: 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7(3), 13-24. 

  12. 박선희, 2008, 지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방안 모색: 한국지리(7차 개정시안)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2), 163-177. 

  13. 박선희, 2009, 다문화사회에서 세계시민성과 지역정체성의 지리교육적 함의,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4), 478-493. 

  14. 배미애, 2004, 세계교육과 다문화교육의 연계 및 지리교과에서의 의의, 교과교육학연구, 8(1), 105-122. 

  15. 배한극, 2008, 미국에 있어서 글로벌교육,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 24(2), 1-28. 

  16. 서태열, 2003, 지구촌 시대의 '환경을 위한 교육'의 개념적 모형의 재정립,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1(1), 1-12. 

  17. 서태열, 2004, 세계화, 국가정체성과 그리고 지역정체성과 사회과교육, 사회과교육, 43(4), 5-29. 

  18. 심광택.Stoltman, J. P., 2013, 학교 지리에서 지속가능발전 교육: 모델 구안, 대한지리학회지, 48(3), 466-481. 

  19. 이경한, 2010, 국제이해교육의 매개체로서 지리교과서의 서술구조 및 내용 분석 -중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의 지역마다 다른 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3), 297-307. 

  20. 이민부, 2014, 세계지리의 창조적 재인식과 발전방안에 대한 소고,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자료집, 24-34. 

  21. 이태주.김다원, 2010, 지리교육에서 세계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개발교육의 방향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5(2), 293-317. 

  22. 장의선, 2010, 세계지리의 다문화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사회과교육, 49(2), 185-201. 

  23. 조철기, 2013a, 글로벌 시민성과 지리교육과의 관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1), 162-180. 

  24. 조철기, 2013b,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교육 특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3), 551-565. 

  25. 조철기, 2013c, 지리교육에서의 도덕적 전환 -도덕적개념, 기능, 가치/덕목-, 대한지리학회지, 48(1), 128-150. 

  26. 최정숙.조철기, 2009, 지리를 통한 세계시민성교육의 전략 및 효과 분석 -커피와 공정무역을 사례로-, 17(3), 239-257. 

  27. 한희경, 2011, 비판적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한 세계지리 내용의 재구성 방안 -사고의 매개로서 "경계지역"과 지중해 지역의 사례-,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9(2), 123-141. 

  28. Anderson, L., 1968, An examination of the structure and objectives of international education, Social Education, 32(7), 639-647. 

  29. Anderson, L., 1979, Schooling and Citizenship in a Global Age: An Exploration of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Global Education, Bloomington, IN: Mid-American Program for Global Perspective, in Education. 

  30. Apple, M., 2001, Educating the 'Right' Way: markets, standards, God, and inequality, Routledge Falmer, London. 

  31.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2011, Center for Global Geography Education(http://globalgeography.aag.org/). 

  32. Becker, J., 1975, Guidelines for World Studies, Indiana University: Mid-America Program for Global Perspectives in Education. 

  33. Becker, J., 1982, Goals for Global Education, Theory into Practice, 21(3), 228-233. 

  34. Binns, T., 2002, Teaching and learning about development, in Smith, M. (ed.), Aspects of Teaching Secondary Geography, The Open University, London, 265-277. 

  35. Bourn, D. and Hunt, F., 2011, Global Dimension in Secondary Schools, Development Education Research Center, London. 

  36. Bourn, D. and Leonard, A., 2009, Living in the wider world-the global dimension, in Mitchell, D., Living Geography, Chris Kington Publishing, 53-65. 

  37. Butt, G., 2011, Globalisation, geography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what are the challenges for curriculum makers in geography?, The Curriculum Journal, 22(3), 423-438. 

  38. DEA, 2004, Geography: the global dimension, key stage 3, DEA, London. 

  39. DfEE, 2000, Developing a Global Dimension in the School Curriculum, DfEE, London. 

  40. DfES, 2005, Developing a Global Dimension in the School Curriculum, DfES, London. 

  41. Ecclestone, K. and Hayes, D., 2009, The Dangerous Rise of Therapeutic Education, Routledge, London. 

  42. Fisher, S. and Hicks, D., 1985, World Studies 8-13: A Teacher's Handbook, Oliver and Boyd, Edinburgh. 

  43. GA homepage: http://www.geography.org.uk 

  44. Graves, J., 2002, Developing a global dimension in the curriculum, The Curriculum Journal, 13, 303-311. 

  45. Hanvey, R. G., 2004, An Attainable Global Perspective, The American Frorum for Global Education. 

  46. Haubrich, H., 1996, Global Ethics in Geographical Education, in Gerber, R. and Lidstone, J., Developments and Directions in Geographical Education, Channel View Publications, Clevedon, 163-173. 

  47. Heater, D., 1980, World Studies: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n Britain, Harrap. 

  48. Hicks, D. and Holden, C. (eds.), 2007, Teaching the Global Dimension: Key Principles and Effective Practices, Routledge, London. 

  49. Hicks, D. and Steiner, M., 1989, Making Global Connections: A World Studies Workbook, Oliver and Boyd, Edinburgh and New York. 

  50. Hicks, D., 1983, Development Education, in Huckle, J. (ed.), Geographical Education: Reflection and A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89-98. 

  51. Hicks, D., 2003, Thirty years of global education, Educational Review, 55(3), 265-275. 

  52. Hicks, D., 2007a, Principles and precedents, in Hicks, D. and Holden, C. (eds.), Teaching the Global Dimension: Key Principles and Effective Practices, Routledge, London, 14-30. 

  53. Hicks, D., 2007b, Responding to the world, in Hicks, D. and Holden, C. (eds.), Teaching the Global Dimension: Key Principles and Effective Practices, Routledge, London, 3-13. 

  54. Holden, C., 2000, Ready for citizenship? A case study of approaches to social and moral education in two contrasting primary schools in the UK, The School Field International Journal of Theory and Research in Education, XI(1), 117-130. 

  55. Hopkin, J., 2015, A 'knowledgeable geography' approach to global learning, Teaching Geography, 40(2), 50-54. 

  56. Huntington, S., 2004, Who Are We? Challenge to America's National Identity, Simon and Schuster, New York. 

  57. Klein, P., 2013, Using the Center for Global Geography Education Project in the AP Human Geography curriculum, The Geography Teacher, 10(2), 53-59. 

  58. Klein, P., Muniz, O., Ray, W. and Solem, M., 2009, Center for Global Geography Education: Designing materials for enhancing spatial thinking about global issues, The New Geography, Proceedings of the Commission on Geographical Education Tsukuba Conference, Tsukuba, Japan, August 7-9, 2009, edited by Yoshiyasu Ida, Shunsuke Ike, Koji Ohnishi, and Takashi Shimura, Volume 57. 

  59. Lambert, D. and Morgan, J., 2010, A 'capability' perspective on geography in schools, in Lambert, D. and Morgan, J., Teaching Geography 11-18: A Conceptual Approach, Open University Press, London, 53-66. 

  60. Lambert, D., Morgan, A. and Swift, D., 2004, Geography: The Global Dimension, DEA, London. 

  61. Marshall, H., 2006, The global education terminology debate: exploring some of the issues in the UK context, in Hayden, M., Levy, J. and Thomson, J. (eds.), A Handbook of Research in International Education, Sage, London. 

  62.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NGA), 1989, America in Transition: The International Frontier: Report of the Task Force on International Education, Washington, DC: NGA. 

  63. Official of Education, 1979, US Commissioner of Education Task Force on Global Education: Report with Recommendations, Office of Education, Washington, DC. 

  64. Oxfam, 1997, Curriculum for Global Citizenship, Oxfam Developmental Programme, Oxfam, Oxford. 

  65. Parker, W., 2008, International Education: What's in a Name?, Phi Delta Kappa, 90(3), 196-202. 

  66. Pike, G. and Selby, D., 1988, Global Teacher, Global Learner, Hodder and Stroughton, London. 

  67. Pike, G. and Selby, D., 1999/2000, In the Global Classroom, 2 vols, Pippin Press, Toronto. 

  68. Pike, G., 1990, Global education: learning in a world of change, in Dufour, B. (ed.), The New Social Curriculum: A Guide to Crosscurricular Issu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69. Pike, G., 2000, Global education and national identity: in pursuit of meaning, Theory into Practice, 39(2), 64-74. 

  70. QCA, 2007, Global Dimension in Action, QCA, London. 

  71. Rasaren, R., 2009, Transformative global education and learning in teacher education in Fin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Development Education and Global Learning, 1(2). 

  72. Richardson, R., 1976, Learning for Change in World Society, World Studies Project, London. 

  73. Richardson, R., 1990, Daring to be a Teacher, Trentham Books, Stoke-on-Trent. 

  74. Roberts, M., 2003, Learning Through Enquiry, Geographical Association, Sheffield. 

  75. Roberts, M., 2013, Developing conceptual understanding through geographical enquiry, in Roberts, M., Geography Through Enquiry, Geographical Association, Sheffield, 81-94. 

  76. Roberts, M., 2015, Critical thinking and global learning, Teaching Geography, 40(2), 55-59. 

  77. Robinson, R. and Serf, J. (ed.), 1997, Global Geography, Learning through Development Education, Geographical Association and TIDE. 

  78. Scruton, R., 1985, World Studies: education or indoctrination?, Institute for Defence and Strategic Studies. 

  79. Selby, D., 2000, The signature of whole, in O'Sullivan, E., Morrell, A. and O'Connor, M. (eds.), Expanding the Boundaries of Transformative Learning, Palgrave, New York. 

  80. Solem, M. N., 2002, The Online Center for Global Geography Education,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1(3), 296-298. 

  81. Standish, A., 2009, Global perspectives in the geography curriculum: Reviewing the Moral Case for Geography, Routledge, London. 

  82. Standish, A., 2012, The False Promise of Global Learning: Why Education Needs Boundaries, Continuum, New York. 

  83. Standish, A., 2013, What does geography contribute to global learning, in Lambert, D. and Jones, M., (eds.), Debates in Geography Educa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44-256. 

  84. Steiner, M., 1992, World Studies 8-13: Evaluating Active Learning, Metropolitan University Manchester, Manchester. 

  85. Steiner, M., 1996, Matching Practice and Vision: Evaluating Global Education, in Williams, M., Understanding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Role of Research, Cassell, London, 196-219. 

  86. Taylor, L., 2004, Re-presenting Geography, Chris Kington Publishing, Cambridge. 

  87. Walford, R., 1985, Geographical Education for a Multi-cultural Society, Sheffield: Geographical Association. 

  88. Young, M. and Commins, E., 2002, Global Citizenship: the handbook for primary teaching, Chris Kington, Cambridge. 

  89. Young, M., 2007, Geography and the global dimension, in Scoffham, S. (ed.), Primary Geography Handbook, Sheffield: Geographical Association, 217-227. 

  90. 日本地理敎育學會編, 2006, 地理敎育用語機能事典,帝國書院.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