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 중심 분만 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Program about Family centered Delivery Care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3 no.1, 2017년, pp.52 - 61  

양승희 (분당차여성병원 산부인과) ,  홍세훈 (차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knowledge, attitudes and needs of sex educ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re were 258 participants who were high school students in S high school in G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 to October 31, 2011, and a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상에서 필요한 가족 중심의 분만 간호 역량 증진을 목표로 간호대학생을 위한 가족 중심 분만 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적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족 중심 분만 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분만간호지식, 가족분만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만 간호에서는 산모뿐만 아니라 가족의 심리 ․ 정서적 간호와 교육 역시 중요하므로, 가족이 참여하는 임상 현장과 유사한 분만간호 실습을 통해 산모뿐만 아니라 가족의 간호요구를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게 함으로써 임상 실습 및 시뮬레이션 실습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사료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만 간호 역량 강화를 위해 가족 중심 분만 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여 임상 대체교육이 필수적인 분만 간호 실습 교육 운영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가족 중심 분만 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분만간호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가족 중심 분만 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가족분만 임상수행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3: 가족 중심 분만 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문제해결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모가 느끼는 가족 중심 분만의 장점은 무엇인가? 현재 우리나라의 출산 문화는 탄생을 가족적인 사건으로 인식하며 산모와 가족 모두가 경이로운 현상인 분만을 특별하고 친밀한 경험으로 갖기를 원한다[1]. 분만 간호와 관련된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가족 중심 분만의 임상적 유익을 보고하였는데, 산모는 분만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는 상황에서 남편과 가족에게서 정서적 지지를 받으며, 진통, 상태불안, 진통시간 및 스트레스 등이 감소되었고, 분만자신감과 모아애착이 증가되었으며, 신생아의 건강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그리고 산모나 신생아뿐만 아니라 가족분만에 참여하는 남편은 부성애착과 부부만족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
현재 우리나라의 출산 문화의 특징은 무엇인가? 현재 우리나라의 출산 문화는 탄생을 가족적인 사건으로 인식하며 산모와 가족 모두가 경이로운 현상인 분만을 특별하고 친밀한 경험으로 갖기를 원한다[1]. 분만 간호와 관련된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가족 중심 분만의 임상적 유익을 보고하였는데, 산모는 분만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는 상황에서 남편과 가족에게서 정서적 지지를 받으며, 진통, 상태불안, 진통시간 및 스트레스 등이 감소되었고, 분만자신감과 모아애착이 증가되었으며, 신생아의 건강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 대처방안으로 나오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가족분만에 참여하는 대상자의 간호요구에 맞추어, 분만실 에서 제공되는 간호는 산모뿐만 아니라 분만에 참여하는 가족을 대상으로 다양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하며, 이는 간호대학 교육과정에서 이론 교육 및 임상 현장에서의 다양한 직접, 간접 간호경험을 통해 효과적인 기술 및 태도를 학습하면서 이루어져야 한다[5]. 그러나 최근 임상 현장에서는 대상자들의 지적 수준 향상 및 권리의식과 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면서[6], 대상자가 미숙하고 서툰 간호학생에게는 기본간호도 받고 싶지 않음을 표현하는 경향이 강해져 임상 실습 교육에서 직접 간호수행의 기회는 점점 축소되고 대부분 관찰 위주의 실습이 이루어지고 있다[7]. 특히 분만실 실습은 임산부와 가족 및 태아의 사생활 보호의 이유로 학생의 관찰이 제한되거나 관찰하더라도 분만단계를 부분적으로 보는데 그치게 된다. 따라서 분만실 실습 학생들은 대부분 총체적인 분만 간호 상황을 경험하지 못하고 있으며 실습 목표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실습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더욱이 국내의 심각한 저 출산 추세로 인한 분만 건수의 급감으로 인해 다른 임상 현장보다 실습 교육에 더욱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Lee KH. Change of the childbearing culture: Family centered delivery. Nursing Science. 2000;12(2):11-16. 

  2. Lee MK, Hur MH. Effects of the spouse's aromatherapy massage on labor pain, anxiety and childbirth satisfaction for laboring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 17(3):195-204. 

  3. Choi MS, Kim GJ. Effects of paters' duola touch during labor on the paternal attachment and role confidence to neonate and couple attachmen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4):426-437. 

  4. Oh JH, LeeHJ, KimYK,Min J,ParkKO. The effectof childbirth education and family participated delivery in a labor-delivery- recovery room on primiparas' anxiety, labor pain and perception of childbirth experience.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2(2):145-156. 

  5. Shim CS, ParkMK, Kim JH. Effects of simulation-based delivery education regarding to obstetric clinical practice before and after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4;18(1):125-133. 

  6. Lim KC. Direction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ing practice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17(2):246-256. 

  7. Lee SO, EomMR, Lee JH. Use of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7;13(1):90-94. 

  8. Chung CW, Kim HS, Park YS. Effects of high-fidelity simulation- based education on maternity nursing.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1;8(2):86-96. 

  9. Lee SJ, Roh YS, Kim JO, Jang KI, Ryoo EN, Park YM. Comparison of multi-mode simulation and SimMan(R) simulation on evaluation of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dyspnea.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0;16(1): 51-60. 

  10. Issenberg SB, McGaghie WC, Petrusa ER, Lee Gordon D, Scalese RJ. Features and uses of high-fidelity medical simulations that lead to effective learning: A BEME systematic review. Medical Teacher. 2005;27(1):10-28. 

  11. Lee WS, Kim M. Effects and adequacy of high-fidelity simulation- based training for obstetrical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4):433-443. 

  12. Kim KA.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labor education program on skill competence, knowledge, and satisfaction for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dissertation].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4. 55 p. 

  13. Hong SY. The Effect on education programwith hybrid simulation for delivery nursing care [Dissertation].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5. 68 p. 

  14. Kim SH.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for the care of women with postpartum hemorrhage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deposition.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12;15(2):71-79. 

  15. KimSA, Lee SK, ChaeHJ.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and simulation- based practice for obstetrical nursing.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2;18(3):180-189. 

  16. Song YA. Effect of Simulation-based practice by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process, self-confidence in clinical performance and nursing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4):246-254. 

  17. Lee SJ, Jang YK, Lee HN, Park G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3. RR2003-15-03. 

  18. Jeffries PR. A framework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simulation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005;26(2):96-103. 

  19. Lewis DY, CiakAD. The impact of a simulation lab experience for nursing students.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011;32 (4):256-258. 

  20. Kim YH, Jang KS. Effect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2):245-2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