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 플랫폼에서의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Storytelling of Documentary on Virtual Reality Platfor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3, 2017년, pp.523 - 531  

이영수 (단국대학교 영화콘텐츠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플랫폼을 사용하는 다큐멘터리에서 관객이 감정적으로 몰입하게 하기 위한 서사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현실 다큐멘터리를 가상현실이라는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하여 현실에 창조적으로 접근, 재구성한 다큐멘터리로 정의하고, 그를 대상으로 삼아 기존의 다큐멘터리와 비교하여 어떻게 상호작용을 통해 서사가 매개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우선 기행 다큐멘터리에서 가상현실 공간 경험으로 매개된 콘텐츠들의 경우, 이동권의 체험을 위주로 한 이동 체험 서사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타자의 현실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의 경우 가상현실로 매개되면서 1인칭 다큐멘터리의 자기서사부터 웹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스토리텔링과 유사한 서사구조까지 보여주고 있었다. 가상현실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경우, 가상자아를 가지고 타자의 현실을 체험하게 한다는 면에서 체험 모듈을 가진 웹 다큐멘터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고 볼 수 있다. 이동권을 주는 가상공간의 경험 및 동질감을 주는 가상자아의 경험을 줄 수 있다는 면에서 가상현실 다큐멘터리는 다큐멘터리의 내적 진실에 도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많은 가능성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tried to study how the narrative to allow the audience to emotionally immerse in documentary using virtual reality platform has shown. For this purpose, it defined the VR documentary as contents what make creative approach and rebuild reality using VR media platform, and analyzed it by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현실공간을 매개한 가상현실에서 관객이 항행하는 것 이상의 경험을 할 수 있느냐라는 의문이기도 하다. 관객이 가상현실세계와 상호작용하며 과연 어떠한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풀 수 있는 열쇠로, 본고에서는 가상현실 플랫폼이 출현하기 이전부터 최대한 현실을 영상으로 담으려고 노력해왔던 다큐멘터리 콘텐츠에 주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웹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에서 보였던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한계를 살펴보고, 웹에서 가상현실로 플랫폼이 변화하면서 어떤 상호작용적 경험을 제공하게 되었는지 살피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가상현실 플랫폼에서 관객이 감정적으로 몰입하게 하여 내적 진실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서사가 어떻게 기획될 수 있고 어떻게 작동하는지, 즉 스토리텔 링적 전략의 존재 여부와 양상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 다.
  • 유적지를 복원, 가상공간에 매개하는 아이디어들도 이러한 이동권 체험의 연장선상에 있다. 실제 출입이 불가능하거나 용이하지 않는 현장 유적을 대체(代替) 체험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는 것이다.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에서 플레이어가 된 관객이 가진 여정의 선택권은 가상현실에서도 유효할뿐더러, 한발 더 나아가 여정을 굳이 떠날 필요 없이, 가상현실 공간에 매개된 공간을 둘러보기만 할 수 있는 자유마저 주어진다.
  • 다음 장에서는 가상현실 다큐멘터리 콘텐츠를 살펴, 관객이 플레이어가 되어 상호작용적 경험을 하는 과정에서 스토리텔링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때 웹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에서 시도되었던 체험적 서사구조가 어떻게 가상현실 다큐멘터리에 나타나고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게 될 것이다.
  • 이를 위해 기존의 다큐멘터리를 가상현실 다큐멘터리 콘텐츠와 비교하여 어떻게 상호작용을 통해 서사가 매개되고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이때 현재 배포된 가상현실 다큐멘터리 콘텐츠 중에서도 접근성이 높은 모바일콘텐츠를 대상으로 작품들을 선정, 살펴보고자 한다.
  •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우선 현장을 그대로 중계하는 것이 목적인 VR 뉴스 등의 저널리즘 콘텐츠와 다큐멘터리라는 콘텐츠를 분리하고자 한다. 현재 VR콘텐츠에서 쓰이고 있는 가상현실 다큐멘터리라는 말은 현실을 대상으로 찍어 가상현실 공간에 매개한 콘텐츠를 전부 포함하는 것처럼 보인다.
  • 본 연구에서는 웹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에서 보였던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한계를 살펴보고, 웹에서 가상현실로 플랫폼이 변화하면서 어떤 상호작용적 경험을 제공하게 되었는지 살피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가상현실 플랫폼에서 관객이 감정적으로 몰입하게 하여 내적 진실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서사가 어떻게 기획될 수 있고 어떻게 작동하는지, 즉 스토리텔 링적 전략의 존재 여부와 양상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 다. 본 연구가 앞으로 가상현실 플랫폼을 사용하는 영상콘텐츠에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이 어떠한 상호작용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지, 그 전략에 대한 기반적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여기에서 스토리텔링은 관객으로 하여금 내적 진실에 접근하게끔 현실을 재구성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쓰일 수 있다. 이에 가상현실 다큐멘터리 콘텐츠 중에서도 접근성이 높은 모바일 콘텐츠들을 대상으로, 관객이 내적 진실에 도달하기 위해 감정적으로 몰입시키기 위한 스토리텔링이 존재하는지, 있다면 그 구조와 특징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실제 현실공간을 가상세계로 옮겨 재현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스토리텔링이 나타날 수 있고, 또 그것이 어떤 경험적 의미를 가지는지 살피는 작업은 가상현실 플랫폼의 영상서사가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이기도 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가상현실 플랫폼의 콘텐츠 중에서도 다큐멘터리 콘텐츠의 서사에 주목, 그 스토리텔링 양상과 의미를 연구하려 한다.
  •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는 멀티미디어를 통해 관객으로 하여금 상호작용성을 체험시키며, 체험하는 이들로 하여금 다큐멘터리가 다루고 있는 이슈에 보다 적극적으로 몰입하기를 바랄 뿐 아니라, 나아가 이를 통해 캠페인을 비롯한 커뮤니티 활동까지 참여하는 관계 체험 까지 하는 것을 궁극적 목적으로 두었다. 즉 관객들이 필름이나 TV다큐멘터리를 수동적으로 보던 것보다 메시지를 능동적으로 체험하는 플레이어가 되면, 더 감정 적으로 몰입하여 적극적으로 호응하게 된다는 가정 하에 만들어졌던 것이다.
  • 전통적인 다큐멘터리가 일반적으로 추구해왔던 ‘객관적인 현실’ 대신 ‘구성된 현실’이라는 개념을 토대로 웹 플랫폼을 사용해 관객이 상호작용하며 이 구성된 현실을 체험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 하나는 장소 면에서 제한이 있는 곳을 보여 주기 위해 나온 기행 다큐멘터리이고, 또 하나는 대상 면에서 제한이 있는 타자에게 공감시키기 위한 다큐멘터리이다. 후자에는 1인칭 다큐멘터리부터 시사 다큐멘터리까지 포함될 수 있는데, 본문에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상호작용적 서사를 보여주었던 웹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에 주목하고자 한다. 다큐멘터리에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기존에도 없었던 것은 아니며, 웹 플랫폼을 사용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경우 스크린에 재현된 영상서사에 상호작용적 기능을 통해 참여하고 체험하도록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리즌 밸리(Prison Valley)>은 관객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어떻게 구성하였는가? 전통적인 다큐멘터리가 일반적으로 추구해왔던 ‘객관적인 현실’ 대신 ‘구성된 현실’이라는 개념을 토대로 웹 플랫폼을 사용해 관객이 상호작용하며 이 구성된 현실을 체험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가령 <프리즌 밸리(Prison Valley)>를 예로 들면 관객들이 탈출한 죄수를 추적하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상호작용 기능을 지원, 관객들에게 탈출 경로를 지시하는 맵이나 한 장소를 지나야하기 위해서 치러야 하는 미션을 주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6]. 또 기존에 있던 다큐멘터리 영상을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로 재배열한 <더 디펙터>의 경우, 필름 다큐멘터리에서 상호작용을 시키기 위해 관객이 참여할 수 있는 서사구조로 재편한 것을 볼 수 있다[7].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이 점은 필름과 TV 등 스크린이라는 미디어를 사용하는 다큐멘터리에서 오랫동안 지적되어 왔으며, 이에 엘리스(Ellis)는 그리어슨(J. Grierson)의 정의를 빌려, 다큐멘터리가 단순히 기록영상을 재구성한 것이 아니며 '내적 진실에 도달하기 위해 사실에 창조적으로 접근해 실체를 재구성하는 것'(creative treatment of actuality)라고 정의하였다[4]. 여기에서 말하는 창조적인 재구성이란 2차원의 스크린에 감독이 현실을 담는 구도, 편집에 감독의 주관적 의도와 선택을 현실적으로 배제할 수 없음을 인정했기 때문에 나온 개념이다.
기본적인 스토리텔링의 모델인 Story Core은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가? 제이슨 윌러(Jason Ohler)는 기본적인 스토리텔링의 모델을 ‘Story Core’라 부르며 이를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설명한 바 있다. 첫 번째 중점 과제(central challenge)는 질문이나 문제, 장애물, 기회나 목표와 같은 것으로 긴장을 만들고 이야기를 앞으로 끌고나가며 독자를 끌어들이는 것이고, 둘째는 인물이 그 문제와 싸워나가면서 변화해 나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초반에 설정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다[10]. 이러한 문제 해결이 가장 기본적인 체험적 서사구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웹 다큐멘터리에서는 중점과제 및 도전은 일어났으나, 문제 해결까지 체험시키기는 어려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ttp://news.mk.co.kr/newsRead.php?no567332&year2016 

  2. 문원립, "VR과 영화," 씨네포럼, 제22호, pp.351-375, 2015. 

  3. 정헌, 영화 역사와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4. Ellis, The documentary idea: A critical history of english-language documentary film and video,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1989. 

  5. 박미선, 이재준,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미학적 분석과 그 의미," 영화연구, Vol.53, pp.63-87, 2013. 

  6. 이영수, "인터랙티브 기술을 활용한 탈북여성 다큐멘터리의 체험적 서사구조 연구-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pp.211-238, 2015. 

  7. 번트 슈미트, 박성연 역, 체험마케팅, 세종서적, 2002. 

  8. 박미선, 이재준,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미학적 분석과 그 의미," 영화연구, Vol.53, p.76, 2013. 

  9. Jason Ohler, Digital Storytelling in the Classroom New Media Pathways to Literacy, Learning, and Creativity, Corwin Press, 2013. 

  10. 변찬복, "TV 기행다큐멘터리 샹그리라의 서사구조 분석- 관광객의 진정성 경험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7권, 제5호, pp.253-273, 2012. 

  11. 이진경, "노마디즘과 이동의 문제," 진보평론, pp.269-285, 2007. 

  12. http://www.vrn.co.kr/news/articleView.html?idxno855 

  13. 박진호, 김상헌, "가상현실(假想現實)을 이용한 사마르칸트 아프라시압 궁전벽화 디지털 복원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pp.77-82, 2016. 

  14. 홍지아, "1인칭 다큐멘터리에 드러난 결혼이주 여성들의 자기재현과 정체성의 자리매김,"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8호, pp.141-187, 2011. 

  15. 박명진, 이범준, "가상현실 커뮤니케이션의 특성과 그 체험의 양상: 몰입과정과 몰입 조건에 대한 수용자 연구," 언론정보연구, 제41호, pp.29-60, 2001. 

  16. http://www.notesonblindness.co.u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