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4년에 조사한 국민연금연구원의 노후보장패널조사 5차 부가자료를 이용하여 전국의 50대 이상의 중고령자 7,763명의 삶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의 하위변인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삶의 만족도는 여성보다는 남성의 점수가 더 높았으며 교육수준과 경제수준이 높은 경우, 연령이 낮은 경우,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에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그리고 부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의 경우에, 주된 생활비를 본인과 부부가 마련하는 경우에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인 사회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물질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일자리 확대, 지역사회조직과 노(老)-노(老)케어 그리고 가족기능 향상을 위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2014년에 조사한 국민연금연구원의 노후보장패널조사 5차 부가자료를 이용하여 전국의 50대 이상의 중고령자 7,763명의 삶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의 하위변인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삶의 만족도는 여성보다는 남성의 점수가 더 높았으며 교육수준과 경제수준이 높은 경우, 연령이 낮은 경우,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에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그리고 부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의 경우에, 주된 생활비를 본인과 부부가 마련하는 경우에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인 사회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물질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일자리 확대, 지역사회조직과 노(老)-노(老)케어 그리고 가족기능 향상을 위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This study used the fifth additional data of the panel research on security for the aged conducted by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in 2014, and studied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life targeting 7,763 middle- and old-aged people in their 50s or older. Social support, one of the influentia...
This study used the fifth additional data of the panel research on security for the aged conducted by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in 2014, and studied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life targeting 7,763 middle- and old-aged people in their 50s or older. Social support, one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satisfaction about life, had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about life, and materi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a big influence.
This study used the fifth additional data of the panel research on security for the aged conducted by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in 2014, and studied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life targeting 7,763 middle- and old-aged people in their 50s or older. Social support, one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satisfaction about life, had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about life, and materi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a big influenc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러나 지금까지는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이러한 관계를 살펴 본 연구가 매우 부족하고 일부의 연구는 표본 수가 적어서 우리나라의 중고령자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일반화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고령자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설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변인들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 2]와 같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와 정(+)의 상관관계(.
연구모형은 [그림 1]과 같이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성하였고,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으로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설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그러나 증가한 관심만큼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고, 일부의 연구는 표본수가 적어서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50대 이상의 7,763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먼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여성보다는 남성의 점수가 더 높게 나왔는데[8][23], 이는 Kong et.
본 연구는 2014년에 면접법에 의해 조사된 국민연금 연구원의 노후보장패널 5차 부가자료를 이용하였다.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는 2005년부터 전국의 만 50세 이상 가구원이 있는 패널가구를 추적 조사하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중고령자 패널조사이다.
부가조사는 패널의 변동사항을 확인하는 패널관리와 본조사를 보완하기 위한 성격을 갖고 있으며 격년으로 실시하고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50대 이상 7,763명이다. 이 중 남성은 3,386명( 43.
데이터처리
문항은 ‘전혀 아니다’부터 ‘매우 그렇다’까지의 7점Likert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중고령자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표 3]과 같다. 다중회귀분석은 다중공선성이 중요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공차한계가 0.
이론/모형
본 연구의 측정을 위해 사회적 지지는 Cohen &Syme(1985)에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까지 Likert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삶의 만족도는 Diener, Emmons, Larsen과 Griffin이 1985년 개발한 척도를 1998년 조명한과 차경호가 번안하여 사용한 한국형 삶의 만족도 중 일부를 사용하였다. 문항은 ‘전혀 아니다’부터 ‘매우 그렇다’까지의 7점Likert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능/효과
& Fingerman[30]의 연구와는 다른 결과이다. 가족구성은 부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경우의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는 가장 낮았다. 그리고 주된 생활비를 본인과 부부가 마련하는 경우의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 모두 삶의 만족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들 중에서는 물질적 지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의 순서로 삶의 만족도의 설명력이 높았는데 이는 Kooshair et.
1 이상, 분산팽창요인은(VIF)은 10이하이면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다중공선성을 진단한 결과 정서적 지지(공차한계=390, VIF=2.565), 정보적 지지(공차한계=.474, VIF=2.112), 물질적 지지(공차한계=512, VIF=1.953), 평가적 지지(공차한계=.373, VIF=2.679) 모두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들은 상호간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이는 하위요인들 간에 상호 복합적으로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하위요인들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변수의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β값을 기준으로 볼 때 통제변수에서는 경제수준, 건강상태, 연령, 교육수준의 순서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에서는 물질적 지지,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순서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 사회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와 정(+)의 상관관계(.485, p<.01)를 보였다.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 모두 삶의 만족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29, p=000)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지지(.315, p=000), 정보적 지지(.053, p=.037), 물질적 지지(.295, p=000), 평가적 지지(.149, p=.000)도 삶의 만족도와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도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32.6%의 설명력을 보였다. F값은 387.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변수의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β값을 기준으로 볼 때 통제변수에서는 경제수준, 건강상태, 연령, 교육수준의 순서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11, p=160). 연령이 낮을수록(F=18.058, p=.000), 학력이 높을수록(F=46.400, p=.000), 경제수준이 좋을수록(F=674.012, p=.000),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F=472.554, p=.000), 삶의 만족도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가족구성에서는 부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의 평균(3.
또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에서는 물질적 지지,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순서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통제변수와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들 간에는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들 모두 삶의 만족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회귀분석을 통해 통제변수와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 본 결과 통제변수인 연령(.120, p=000), 교육수준(.046, p=002), 경제수준(.572, p=000)과 건강상태(.329, p=000)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지지(.
후속연구
통제변수들 모두 삶의 만족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령은 집단 간 차이에서는 연령이 낮은 경우에 삶의 만족도가 높게 측정되었는데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Luong, C,.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지지는 무엇인가?
사회적 지지는 가족, 친구, 이웃, 기타 사람들에 의해 제공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도움과 원조[9], 조언과 관심[6]으로 사회적 관계를 통해 개인이 타인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긍정적인 자원을 의미한다. Lin, N.
중고령자들은 어떤 어려움을 경험하는가?
중고령자들는 직장에서의 퇴직과 경제상태와 가족관계의 변화 그리고 긍정적이지 않은 신체적․심리적 변화 등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경험한다. 중고령자들은 다른 연령층이 가지는 문제와 더불어 육체적, 정신적 기능이 감퇴되고 사회적 활동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하여 심리적 소외를 경험하며 사회적으로 고립되기 쉽고 경제적 능력도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1].
중고령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축소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경제활동을 그만 둔 인구집단의 경우에 경제상태, 건강수준, 삶의 만족도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나타나고 있다[3]. 이처럼 사회적 관계망인 사회적 지지의 축소는 소속감, 일체감의 상실과 심리적 고립감을 갖게 하며 심리적 안정감을 저해하고[6], 삶의 만족도를 감소시킨다. 사회적 지지는 사회 구성원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통해 정보를 얻고, 물질적 지원과 인정, 관심 등의 지원을 얻으며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며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
H. Kooshair, N. Yahaya, T. A. Hamid, and A. A. Samah, "Gender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 Among Social Support Functions and Life satisfaction in Older Malaysians," Journal of Women & Aging, Vol.26, pp.22-38, 2014.
권중돈, 조주연,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제20권, 제3호, pp.61-46, 2000.
S. Murrell, F. Norris, and Q. Chipley, "Functional versus structural social support, desirable events, and positive affect in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Vol.7, pp.562-570, 1992.
K. A. McClelland, "Self-conception and Satisfaction: Integrating aged Sub-culture and Activity Theory," Journal of Gerontology, Vol.37, No.6, pp.723-732, 1982.
T. Adams, L. Rabin, S. V. Da, M. Katz, J. Fogel, and R. Lipton, "Social Support Buffers the Impact of Depressive Symptoms o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Clinical Gerontologist, Mar-Apr2016, Vol.39, Issue2, pp.139-157, 2016.
김학권 윤상영, "골프연습장을 이용하는 대도시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 및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4권, 제5호, pp.269-281, 2015.
O. L. Siu and D. R. Phillips, "A study of family support, friendshi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older women in Hong Kong,"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55, No.4, pp299-319, 2002.
G. Luong, S. T. Charles, and K. L. Fingerman, "Better with age: Social relationships across adulthood,"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Vol.28, No.1, pp.9-23, 2011.
J. Park, S. Roh, and Y. Yeo, "Religiosity,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Gerontologist, Vol.52, No.5, pp.641-649, 2012,
F. Kong, J. Zhao, and X. You, "Social support mediates the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mental di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Chinese young adul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53, Issue4, September, pp.513-517, 201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