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항호르몬요법을 받는 유방암 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연관 변인간의 분석
Menopausal Symptoms and Associated Factors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Hormone Therapy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3 no.1, 2017년, pp.120 - 129  

김영란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  민열하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menopause symptoms and associ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were receiving hormone therap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s from 150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had been on hormone therapy at a ho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항호르몬제 복용기간, 유방암 수술 및 병기,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등의 유방암 치료와 관련된 임상적 특성, 그리고 우울의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항호르몬요법으로 인해 나타나는 갱년기 증상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어떤 특성의 대상자들이 갱년기 증상 호소가 많은 지와 갱년기 증상 중 구체적으로 어떤 영역에서 증상 호소 정도가 많은지를 파악하여 향후 갱년기 증상 호소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고위험군의 대상자를 선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항호르몬제 복용기간, 유방암 수술 및 병기,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등의 유방암 치료와 관련된 임상적 특성, 그리고 우울의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항호르몬요법으로 인해 나타나는 갱년기 증상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어떤 특성의 대상자들이 갱년기 증상 호소가 많은 지와 갱년기 증상 중 구체적으로 어떤 영역에서 증상 호소 정도가 많은지를 파악하여 향후 갱년기 증상 호소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고위험군의 대상자를 선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항호르몬제를 복용하는 유방암 환자들의 증상 조절 전략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방암의 성공적 치료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는 항호르몬요법을 받고 있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갱년기 증상 연관 변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타목시펜 항호르몬요법을 받고 있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일반적, 임상적, 그리고 심리적 특성에 따른 갱년기 증상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유방암 진단 후 항호르몬요법을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갱년기 증상과 연관된 일반적, 임상적,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이는 추후 항호르몬요법으로 인한 유방암 환자의 갱년기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전략에 활용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안면홍조 및 발한과 같은 혈관운동증상(vasomotor symptoms)은 유방암 여성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항호르몬제 복용을 중단하게 되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2]. 따라서본 연구결과는 비타민 E가 풍부한 식이요법[25] 및 갱년기 증상에 대한 지속적인 상담이나 행동요법 등의 심리사회적 중재[26]를 통해 임상에서 대상자의 증상을 적극 관리하여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유방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나타내는 요소들과 갱년기 증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령과 폐경 여부에 따라 갱년기 증상을 살펴본 결과, 연령군 및 폐경 여부에 따른 전체 갱년기 증상 총 점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 특히 갱년기 증상의 ‘심리적 증상’ 및 ‘신체화 증상’의 영역이 우울의 ‘지연된 행동’과 상관관계가 높았다. 일반적으로 대상자가 경험하는 신체적, 심리적 불편감은 우울을 예측하는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는데[19,27],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갱년기 증상과 우울의 한 요소로서 대상자의 지연된 행위와의 정적 관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갱년기 증상의 11가지 각 항목별 증상의 정도를 살펴본 결과, 우울의 정도에 따라 항목별 증상의 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본 결과는 갱년기 증상이 유방암 환자가 경험하는 단순한 불편감으로 끝나지 않고, 대상자의 우울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재확인하였다[19].
  • 본 연구에서는 항호르몬 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갱년기 증상의 정도와 관련 변인들을 분석하였다. 중증도 이상의 갱년기 증상을 호소하는 대상자는 6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타목시펜 항호르몬 치료법의 예방 효과는 무엇인가? 유방암은 전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여성의 암종별 유병율 2위를 차지하는 주요 암 중의 하나로 최근 10년간 발생률이 꾸준히 증가하여 여성의 중요한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다[1]. 유방암의 경우 수술뿐 아니라 수 술 후 항호르몬 보조요법(adjuvant therapy)이 어느 고형암 보다 중요한데, 유방암의 관해 상태를 위해 예방적으로 사용 되는 타목시펜 항호르몬 치료법은 반대쪽 유방의 암 발생률 혹은 침투성 암 발생률을 50% 정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따라서 항호르몬요법을 통한 유방암 치료의 장기적인 관리는 환자의 생존율과 연관되는 것으로, 성공적인 유방암 치료를 위해 항호르몬제를 복용하는 것은 중요하다 [4].
항호르몬요법으로 유방암 환작 겪는 부작용은 무엇인가? 따라서 항호르몬요법을 통한 유방암 치료의 장기적인 관리는 환자의 생존율과 연관되는 것으로, 성공적인 유방암 치료를 위해 항호르몬제를 복용하는 것은 중요하다 [4].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유방암 환자 중에서 항호르몬요법이 가능한 환자는 60~80%에 이르는 가운데[5], 항호르몬제로 인한 부작용 또한 보고되고 있으며, 항호르몬요법을 받는 환자들에서 갱년기 증상이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증가되고[6], 결국 삶의 질에 까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4,7]. Harris 등[8]의 연구에 따르면, 항호르몬요법은 난소 부전을 촉발하거나 가속화하는 것으로, 건강한 일반 여성의 갱년기 증상 호소율이 32%였던 반면, 유방암 여성에서 증상 호소율은 73%로 더 심각한 갱년기 증상을 경험하게 하였다.
유방암 환자의 갱년기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전략은 무엇인가? 안면홍조 및 발한과 같은 혈관운동증상(vasomotor symptoms)은 유방암 여성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항호르몬제 복용을 중단하게 되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2]. 따라서본 연구결과는 비타민 E가 풍부한 식이요법[25] 및 갱년기 증상에 대한 지속적인 상담이나 행동요법 등의 심리사회적 중재 [26]를 통해 임상에서 대상자의 증상을 적극 관리하여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는 바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National cancer statistics 2014 [Internet].Gyeonggi: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4 [cited 2017 January 5]. Available from: l.mbs/cancer/subview.jsp?idcancer. 

  2. Grunfeld EA, Hunter MS, Sikka P, Mittal S. Adherence beliefs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taking tamoxifen. Patient Education Counseling. 2005;59(1):97-102. 

  3. Gotay C, Dunn J. Adherence to long-termadjuvant hormonal therapy for breast cancer. Expert Reviewof Pharmacoeconomics & Outcomes Research. 2011;11(6):709-715. http://dx.doi.org/10.1586/erp.11.80 

  4. Hwang E, Yi M.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on hormone 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1):108-117. http://dx.doi.org /10.4040/jkan.2014.44.1.108 

  5.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The breast. 2nd ed. Seoul: Ilchokak Publishing Co; 2005. 

  6. Dorjgochoo T, Gu K, Kallianpur A, Zheng Y, Zheng W, Chen Z, et al. Menopausal symptoms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6 months after cancer diagnosis: a report from the Shanghai Breast Cancer Survival Study(SBCSS). Menopause. 2009;16(6):1205-1212. 

  7. Mols F, Vingerhoets AJ, Coebergh JW, van de Poll-Franse LV. Quality of life among long-term breast cancer survivors: a systematic review. European Journal of Cancer. 2005;41(17):2613-2619. 

  8. Harris PF, Remington PL, Trentham-Dietz A, Allen CI, Newcomb PA. Prevalence and treatment of menopausal symptoms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02;23(6):501-509. 

  9.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Breast Cancer Facts & Figures 2016. Seoul: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16. p. 1-21. 

  10. Ganz PA. Breast cancer, menopause, and long-termsurvivorship: critical issues for the 21st century.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2005;118(12):136-141. 

  11. Fontaine C, Meulemans A, Huizing M, Collen C, Kaufman L, DeMey J, et al. Tolerance of adjuvant letrozole outside of clinical trials. The Breast. 2008;17(4):376-381. 

  12. Cappiello M, Cunningham RS, Knobf MT, Erdos D. Breast cancer survivors information and support after treatment.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6(4):278-293. 

  13. Savard J, Simard S, Blanchet J, Ivers H, Morin CM. Preval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for insomnia in the context of breast cancer. Sleep. 2001;24(5):583-590. 

  14. Barsevick AM, Whitmer K, Nail LM, Beck SL, Dudley WN. Symptom cluster research: conceptual, design, measurement, and analysis issue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06;31(1):85-95. 

  15. Byar KL, Berger AM, Bakken SL, Cetak MA. Impact of adjuvant breast cancer chemotherapy on fatigue, other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Oncology Nursing Forum; 2006;33(1):18-26. 

  16. Avis NE, Crawford S, Manuel J. Psychosocial problems among younger women with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2004;13(5):295-308. 

  17. Bower JE, Ganz PA, Desmond KA, Rowland JH, Meyerowitz BE, Belin TR. Fatigue in breast cancer survivors: occurrence, correlates, and impact on quality of lif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00;18(4):743-753. 

  18. Yang YH. Trajectory of fatigue,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symptoms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radio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3;33(5):562-569. 

  19. Vahdaninia M, Omidvari S, Montazeri A. What do predict anxiety and depress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A follow-up study.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010;45(3):355-361. http://dx.doi.org/10.1007/s00127-009-0068-7 

  20. Moon JM. Menopause symptoms,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post-chemotherapy breast cancer survivor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9. p. 1-108. 

  21. Heinemann K, Ruebig A, Potthoff P, Schneider HP, Strelow F, Heinemann LA. The Menopause rating scale(MRS) scale: a methodological review.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04;2(1):1-8. 

  22. Gupta P, Sturdee DW, Palin SL, Majumder K, Fear R, Marshall T, et al. Menopausal symptoms in women treated for breast cancer: the prevalence and severity of symptoms and their perceived effects on quality of life. Climacteric. 2006;9(1):49-58. 

  23.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7;1(3):385-401. 

  24. Cho MJ, Nam JJ, Suh GH. Prevalence of symptoms of depression in a nationwide sample of Korean adults. Psychiatry Research. 1998;81(3):341-352. 

  25. Bordeleau L, Pritchard K, Goodwin P, Loprinzi C. Therapeutic options for the management of hot flashes in breast cancer survivors: an evidence-based review. Clinical Therapeutics. 2007;29(2):230-241. 

  26. Ganz PA, Greendale GA, Petersen L, Zibecchi L, Kahn B, Belin TR. Managing menopausal symptoms in breast cancer survivors: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0;92(13):1054-1064. 

  27. Kroenke K. Patients presenting with somatic complaints: epidemiology, psychiatric co-morbidity and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Methods in Psychiatric Research. 2003;12(1):34-43. 

  28. Cluze C, Rey D, Huiart L, BenDiane MK, Bouhnik AD, Berenger C, et al. Adjuvant endocrine therapywith tamoxifen in young women with breast cancer: determinants of interruptions vary over time. Annals of Oncology. 2012;23(4):882-890. 

  29. Luber MP, Meyers BS, Williams-Russo PG, Hollenberg JP, DiDomenico TN, Charlson ME, et al. Depression and service utilization in elderly primary care patient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1;9(2):169-176. 

  30. Mausbach BT, Schwab RB, Irwin SA. Depression as a predictor of adherence to adjuvant endocrine therapy(AET)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15;152(2):239-246. http://dx.doi.org/10.1007/s10549-015-3471-7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