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메신저 유료 이모티콘의 캐릭터 속성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haracter Attribute of Charged Mobile Messenger Emoticons on the Purchase Intention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8 no.1, 2017년, pp.209 - 215  

김준수 (한남대학교 멀티미디어학부 미디어영상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모티콘 캐릭터는 모바일 공간에서 상대와 대화하는 가운데 대화내용과 이미지를 혼용하여 사용함으로써 디지털 시대의 표현성에 적합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모바일 콘텐츠 산업의 시장 확장에 이모티콘 캐릭터의 역할은 중요한 부분을 차치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산업적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모바일메신저 유료 이모티콘의 캐릭터 속성이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함으로써 소비자구매형태를 확인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해 독립변인을 캐릭터 속성요인인 인지성, 친근성, 자아표현성, 이미지차별성으로, 종속변인은 유료 구매자의 구매의도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지성과 이미지차별성은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친근성과 자아표현성은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racter of emoticon is considered suitable for expressivity in the digital era mixing and using contents of conversation with images in the course of having a talk with the other party in the mobile space.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carried o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ving factors of c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유료 이모티콘의 캐릭터 속성 요인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 유료 이모티콘이 생산 가치수단으로써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이에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캐릭터 속성요인을 제시하고, 이러한 속성요인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실질적 분석을 통해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모바일메신저 유료 이모티콘의 캐릭터 속성으로 인지성, 친근성, 자아표현성, 이미지차별성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전 2개 대학교의 대학생 1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움직임과 리액션을 포함한 카카오톡 인기 유료 이모티콘을 영상을 통해 보여주고 설문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메신저 유료 이모티콘의 인지성, 친근성, 자아표현성, 이미지차별성과 구매의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가설을 설정하고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159명 전체 대학생의 성별은 남성 82명(51.
  •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주요 속성 변수들을 선정 유형화하고, 이들 해당 속성이 소비자들의 모바일 메신저 유료 이모티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와 가설을 설정하였다.
  • 이에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캐릭터 속성요인을 제시하고, 이러한 속성요인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실질적 분석을 통해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모바일메신저 유료 이모티콘이 캐릭터 개발 및 소비자가 구매선택에 있어서 가치기준이 될 수 있도록 산업적 전략을 모색하는 데에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 유료 이모티콘이 생산 가치수단으로써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이에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캐릭터 속성요인을 제시하고, 이러한 속성요인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실질적 분석을 통해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모바일메신저 유료 이모티콘이 캐릭터 개발 및 소비자가 구매선택에 있어서 가치기준이 될 수 있도록 산업적 전략을 모색하는 데에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식별성은 다른 대상과 구별 지어지는 외형이나 성격을 지녀야 하고, 상징성은 하나의 주체로서 존재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이미지나 컨셉을 상징하고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일관성은 캐릭터에 부여된 성격이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일관적으로 전개되어야 하며, 행동과도 상호 연관성이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였다.[11] 이러한 선행연구에서 캐릭터 속성은 소비자들이 제품을 평가할 때 중요한 요소 기준이 된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고, 이를 종합해 보면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캐릭터 속성은 인지성, 친근성, 자아표현성, 이미지차별성으로 요인화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메신저나 SNS 분야의 캐릭터 산업매출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예로 무엇이 있는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15년도 캐릭터 산업백서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캐릭터 관련 산업의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특히 모바일 메신저나 SNS 분야의 캐릭터 산업매출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예를 들면, 국내 모바일 메신저 분야에서 94.3%의 점유율을 보이는 카카오톡의 경우에서 살펴볼 수 있다. 2015년 2분기 실적 발표 자료에서 캐릭터 사업성과가 포함된 카카오프렌즈 커머스 부문의 매출 구성비를 보면, 전년도 동분기 4%에서 6%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이모티콘 캐릭터 사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라인을 자회사로 하는 ㈜네이버의 경우에도 2015년 2분기 기준으로 캐릭터 관련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6.6% 증가한 2,131억 원을 달성한 가운데 캐릭터 사업이 네이버의 핵심 산업으로 변화되고 있다.
구매의도란 무엇인가? 구매의도란 소비자의 계획된 미래에 일어날 행동을 의미하며, 신념이나 태도가 행동으로 옮겨질 가능성을 말한다. 또 구매의도는 실질적인 제품 구매로 이어질 상관관계가 매우 높다고 하였다.
모바일 메신저의 이모티콘의 장점은 무엇인가? 모바일 메신저의 이모티콘은 이미지를 통해 원하는 메시지를 비교적 정확하게 전달 할 수 있고 정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리하며 유희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대화의 재미도 증대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차윤수ㆍ최혜림(2012)의 연구에서 이모티콘의 특징을 기반으로 하여 기호학적 기능, 양태적 기능, 감성적 기능 세 가지로 나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ng-Hoon Nam, "A Study on the factor influencing to smartphone adoption in digital era",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16, No.5, p.749, 2015. 

  2. Suk Kim, "Cocca Focus",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Serial Number 95, p.5, 2015. 

  3. "Character Industry WHITE PAPER 2013",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p.26, 2014. 

  4. Yoon-Su Cha, Hye-rim Choi, Ye-rim Oh and Mee-Kyung Jang, "A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emoticon -Focusing on the cultural tendencies and emotions-, The Society of Korea Illusart, Vol.15, No.4, p.231, 2012. 

  5. Hee-Kook Eun, "Effect of products package designing with characters to ward purchasing intention, degree of intimacy, and friendliness between products and consumers", Graduate School of Hongik University, p.48. June 2014. 

  6. Sun-Jin Kim,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moticons used in Mobile Messengers",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Vol.14, No.1, p.96, 2013. 

  7. Bo-Young Kwak, "An Empirical Analysis of Purchase Intention and the Attribute Factors of Character for Deriving Contents in the Visual Industry",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pp.68-69, Feb. 2010. 

  8. Hui-Ju Lee, "A Study on the Transferring Effects of Character Attributes on Intention to Buy Fancy Products for Children", The Graduate School of Hong ik University, p.57. June 2009. 

  9. Dong-Wook, O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Effect Between Attribute Factors of Character and Consumer's Preference",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p.77. Dec. 2006. 

  10. "Character Industry WHITE PAPER 2004",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p.163, 2014. 

  11. Chul-Gyu Kim, " A Study on Characters as Visual Stimuli Vehicles to Consumer Behavior, Yonsei University, pp.14-15, June 2001. 

  12. R. Tsiotsou, "The Role of Perceived Product Qua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on Purchase Int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30, No.2, pp.207-217, 2006. 

  13. Joon Koh, Seon-Jin Shin and Hee-Woong Kim, "The Antecedents of Need for Self-Presentation and the Effect on Digital Item Purchase Intention in an Online Community",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18, No.1, pp.134-135, March 2008. 

  14. Dong-Hwi Kim, "A Study on KakaoTalk RPG User' Intention to Purchase Charged Item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p.45-46, June 2014 

  15. San-Young Yim,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Buyer's sensibility based on the User Interface Design of Smartphone Applications", SangJi University, pp.94-95, Dec. 2013. 

  16. Hae-Lie Kwak, Bom-Mae Kim and Young-Woo Sohn, "Aesthetics versus Usability: Culyural Difference in Product Choic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ol.14, No.3, pp.364-366, Sep. 2011. 

  17. Gyu-Hong Lim, Jong-Ho Lee,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Purchasing Intention in Mobile Internet Environment", Journal of KECRA, Vol.9, No.2, pp.201-204, 2008. 

  18. Hyeon-Su Jo, "The Effect of Individual, Environment and Product Characteristics on Purchase Intention for Smartphon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eb.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