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비타민 D 수준과 이상지질혈증과의 관련성 - 제 6기(2013년,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Relevance of Vitamin D and Dyslipidemia Among Korean Adults - Using Data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3, 2017년, pp.647 - 656  

김한수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한여정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김병철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류소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가자료인 제 6기(2013년,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한국 성인에서 비타민 D 수준과 이상지질혈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성인의 비타민 D 결핍 수준은 인구대비 74.4%로 나타났으며, 이상지질혈증의 유병 수준은 39.6%이었다. 교차분석에서 이상지질혈증과의 관련요인 중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수는 성별(p<0.001), 연령(p<0.001), 흡연여부(p<0.001), 주관적 건강 상태(p<0.001), 체질량지수(p<0.001), 혈압(p<0.001), 공복혈당(p<0.001), 신체 활동(p<0.001) 및 Vitamin D(p<0.001) 등이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비타민 D가 20.0 ng/mL 미만으로 결핍일 때 이상지질혈증의 발생 위험이 교차비가 1.29(95% C1, 1.11-1.51)로 유의하였다. 신체 활동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비타민 D와 이상지질혈증 진단 지표 중 총 콜레스테롤에서 교차비가 1.41(95% C1, 1.04-1.81)로, 중성지방에서 교차비가 1.36(95% C1, 1.11-1.66)으로 유의하였다. 결론은 우리나라 정상 성인에서 비타민 D 수준과 이상지질혈증과의 관련성은 유의하였고, 그 중에서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에서 관련성이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에 비타민 D 수준과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인 코호트 연구 등 다양한 연구를 시행할 수 있다면 비타민 D와 이상지질혈증의 인과관계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level and dyslipidemia in Korean adults aged 19 years and older. The data for analysis were obtained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and 2014.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74.4% of the spec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비타민 D 수준과 이상지질혈증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추가적으로 신체 활동 부분을 통제한 상태에서 혈중 비타민 D가 독립적으로 이상지질혈증 진단 지표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제 6기(2013년, 2014년) 국민건강영 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비타민 D 수준과 이상지질혈증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신체 활동 부분을 통제한 상태에서의 비타민 D가 독립적으로 이상지질혈증과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상지질혈증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겠는가? 본 연구 결과에서도 비타민 D 결핍과 이상지질혈증의 관련성이 확인이 되었기 때문에 이상지질혈증의 발생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 관련요인 중 하나인 비타민 D 결핍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리 인체의 혈중 비타민 D의 대부분은 햇빛을 통해 얻어지므로 실내보다는 적당한 야외활동을 통한 햇빛을 쬐어 피부에서 합성된 비타민 D가 잘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야외 에서의 활동이 어렵다면 평소에 비타민 D 성분이 많이 함유된 생선이나 버섯 등의 식품을 가급적 자주 섭취하거나, 필요할 경우 비타민 D 제제를 주기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지속적으로 실천된다면 이상지질혈증의 발생 위험률과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비타민 D 결핍에 대해 충분한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비타민 D는 신체에 어떤 도움을 주는가? 비타민 D[25-hydroxyvitamin D3, 25(OH) D3]는 우리 인체 내에서 칼슘과 인의 체내 흡수를 통해 세포증식과 분화 및 면역 조절하여 뼈를 건강하게 형성 및 유지하고 근육발달에 필수적인 도움을 주는 지용성 비타민이다[1,2]. 비타민 D는 근골격계 및 비근골격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염증 및 면역반응과 인슐린 저항성 개선, 이상지질혈증과 관련한 칼슘의 조절 및 지방 분해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과체중, 비만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3,4].
비타민 D가 부족하면 걸릴 수 있는 고위험 질병은 무엇이 있는가? 최근 현대인에서 비타민 D 부족의 증가가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보고가 되고 있으며[5,6], 비타민 D 부족상태에서는 유방암 및 전립선암[7], 이상지질혈증[8] 및 심혈관계 질환[9] 등의 발생과 관련성이 있음이 확인되어 비타민 D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Holick MF, Vitamin D deficiency, N Engl J Med, vol. 357, pp. 266-281, 2007. DOI: https://doi.org/10.1056/NEJMra070553 

  2. Christodoulou S, Goula T, Ververidis A. & Drosos G, Vitamin D and bone disease, Bio med Res Int, vol. 2013, pp. 396-541, 2013. DOI: https://doi.org/10.1155/2013/396541 

  3. Parikh SJ, Edelman M, Uwaifo GI,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serum 1,25-vitamin D concentrations in healthy adults, J Clin Endocrinol Metab, vol. 89, pp. 1196-1199, 2004. DOI: https://doi.org/10.1210/jc.2003-031398 

  4. Snijder MB, van Dam RM, Visser M, et al, Adiposity in relation to vitamin D status and parathyroid hormone levels: a population-based study in older men and women, J Clin Endocrinol Metab, vol. 90, pp. 4119-4123, 2005. DOI: https://doi.org/10.1210/jc.2005-0216 

  5. Abrahamsen B, Masud T, Avenell A, Anderson F, et al, Vitamin D Individual Patient 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Group. Patient level pooled analysis of 68,500 patients from seven major vitamin D fracture trials in US and Europe, BMJ, vol. 340, pp. 5463b, 2010. DOI: https://doi.org/10.1136/bmj.b5463 

  6. Holick MF, Vitamin D status: measurement, interpretation and clinical application, Ann Epidemiol, vol. 19 pp. 73-78, 2009. DOI: https://doi.org/10.1016/j.annepidem.2007.12.001 

  7. Feskanich D, Ma J, Fuchs CS, Kirkner GJ, et al, Plasma vitamin D metabolites and risk of colorectal cancer in women,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vol. 13, pp. 1502-1508, 2004. 

  8. Xiaomin Sun, Zhen-Bo Cao, Kumpei Tanisawa, Tomoko Ito, et al, Associations between the Serum 25(OH)D Concentration and Lipid Profiles in Japanese Men. J of Atheroscierosis and Thrombosis, vol. 22, pp. 6, 2015. DOI: https://doi.org/10.5551/jat.26070 

  9. Kelishadi R, Ardalan G, Motlagh ME, et al, National report on the association of serum vitamin D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the pediatric population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MENA): the CASPIAN-III Study, Nutrition, vol. 30, pp. 33-38, 2014. DOI: https://doi.org/10.1016/j.nut.2013.05.018 

  10. Park HA, Kim SY, Recent advance on Vitamin D, J Korean Med, vol. 56, pp. 310-318, 2013. 

  11. Chowdhury R, Stevens S, Ward H, Chowdhury S, Sajjad A, Franco OH, Circulating vitamin D, calcium and risk of cerebrovascular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 J Epidemiol, vol. 27, pp. 581-591, 2012. DOI: https://doi.org/10.1007/s10654-012-9729-z 

  12. Institute of Medicine, Committee to Review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Vitamin D and Calcium(US),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calcium and vitamin D,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11. 

  13. WHO Scientific Group 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steoporosis(CH),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steoporosi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921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14. Okamura T, Dyslipidemia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series of epidemiologic studies in Japanese populations, J Epidemiol, vol. 20, pp. 259-265, 2010. DOI: https://doi.org/10.2188/jea.JE20100060 

  15. Lipid Research Clinics Program, The Lipid Research Clinics Coronary Primary Prevention Trial results. II. The relationship of reduction in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to cholesterol lowering, JAMA, vol. 251, pp. 365-374, 1984. DOI: https://doi.org/10.1001/jama.251.3.365 

  16. Yan-Ling Z, Dong-Qing Z, Chang-Quan H, Bi-Rong D, Cigarette smoking and its association with serum lipid/lipoprotein among Chinese nonagenarians/centenarians, Lipids Health Dis, vol. 11, pp. 1186-1476, 2012. 

  17.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JAMA, vol. 285, pp. 2486-2497, 2001. DOI: https://doi.org/10.1001/jama.285.19.2486 

  18. Hanak V, Munoz J, Teague J, Stanley A Jr, Bittner V, et al, Accuracy of the triglyceride to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ratio for prediction of the low-density lipoprotein phenotype B, Am J Cardiol, vol. 94, pp. 219-222, 2004. DOI: https://doi.org/10.1016/j.amjcard.2004.03.069 

  19. Yokokawa H, Yasumura S, Tanno K, Ohsawa M, Onoda T, Itai K, et al, Serum low-density lipoprotein to high-density lipoprotein ratio as a predictor of futur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ong men in a 2.7-year cohort study of a Japanese northern rural population, J Atheroscler Thromb, vol. 18, pp. 89-98, 2011. DOI: https://doi.org/10.5551/jat.5215 

  20. Ingelsson E, Schaefer EJ, Contois JH, McNamara JR, Sullivan L, Keyes MJ, et al, Clinical utility of different lipid measures for predic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men and women, JAMA, vol. 298, pp. 776-785, 2007. DOI: https://doi.org/10.1001/jama.298.7.776 

  21. Verdoia M, Schaffer A, Sartori C, et al, Vitamin D deficiency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ext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J Clin Invest, vol. 44, pp. 634-642, 2014. DOI: https://doi.org/10.1111/eci.12281 

  22. Vitezova A, Zillikens MC, van Herpt TT, et al, Vitamin D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in the elderly: the Rotterdam Study, Eur J Endocrinol, vol. 172, pp. 327-335, 2015. 

  23. Zittermann A, Vitamin D and disease preven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cardiovascular disease, Prog Biophys Mol Biol, vol. 92, pp. 39-48, 2006. DOI: https://doi.org/10.1016/j.pbiomolbio.2006.02.001 

  24. SK Choi, JA Park, SK Ham, JY Yoon, SM Kim, JY Kim, UT Kim,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Serum Cholesterol, Kor J Fam Pract, vol. 5, pp. 441-446, 2015. 

  25. SR Shin, AL Han, SH Park, Vitamin D Status and its Relation with Abdominal Adiposit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f Korean Adults in Certain Areas, Kor J Obes, vol. 24, pp. 30-35, 2015. DOI: https://doi.org/10.7570/kjo.2015.24.1.30 

  26. JY Park, YR Heo, Relationship of Vitamin D status and obesity index in Korean women, J Nutr Health, vol. 49, pp. 28-35, 2016. DOI: https://doi.org/10.4163/jnh.2016.49.1.28 

  27. WHO,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d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Australia,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Pty Ltd, 2000. 

  28.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 Export Panel on Detection, Evai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JAMA, vol. 285, pp. 2486-2497, 2011. 

  29. Wang JH, Keisala T, Solakivi T, Minasyan A, Kalueff AV, Tuohimaa P, et al, Serum cholesterol and expression of ApoAI, LXRbeta and SREBP2 in vitamin D receptor knock-out mice, J Steroid Biochem Mol Biol, vol. 113, pp. 222-226, 2009. DOI: https://doi.org/10.1016/j.jsbmb.2009.01.003 

  30. SG Jang and JS Lee, Prevalence and Management of Dyslipidemia Among Korean Adults: KNHANES 2010-2012,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 vol. 16, pp. 7978-7989, 2015. DOI: http://doi.org/10.5762/KAIS.2015.16.11.7978 

  31. SH Lee and GA Seomun, Investigation of Healthy Life Practices among Korean Males and Females in relation to Dyslipidemia, Using data from the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pp. 327-338, 2016. 

  32. Jung IK,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in Korea: Results from KNHANES 2010 to 2011. J Nutr Health, vol. 46, no. 6, pp. 540-551, 2013. DOI: https://doi.org/10.4163/jnh.2013.46.6.540 

  3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2 Health Insurance Statistics", 2013. 

  34. Anderson JL, May HT, Horne BD, Bair TL, Hall NL, Carlquist JF, et al, Relation of vitamin D deficiency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disease status, and incident events in a general healthcare population, Am J Cardiol, vol. 106, pp. 963-968, 2010. DOI: https://doi.org/10.1016/j.amjcard.2010.05.027 

  35. Jorde R, Grimnes G, Vitamin D and metabolic health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ffect of vitamin D on serum lipids, Prog Lipid Res, vol. 50, no. 4, pp. 303-312, 2011. DOI: https://doi.org/10.1016/j.plipres.2011.05.001 

  36. JaydipRay Chaudhuri, K. RukminiMridula, Alluri Anamika, et al, Deficiency of 25-Hydroxyvitamin D and Dyslipidemia in Indian Subjects, Hindawi Publishing Corporation Journal of Lipids, vol. 2013, pp. 7, 2013. DOI: https://dx.doi.org/10.1155/2013/623420 

  37. Wang JH, Keisala T, Solakivi T, Minasyan A, Kalueff AV, Tuohimaa P, Serum cholesterol and expression of ApoAI, LXR[beta]and SREBP2 in vitamin D receptor knock-out mice. J Steroid Biochem, vol. 113, pp. 222-226, 2009. DOI: https://doi.org/10.1016/j.jsbmb.2009.01.003 

  38. HS. Choi, KA. Kim, CY. Lim, et al, "Low serum vitamin D is associated with high risk of diabetes in Korean adults," Journal of Nutrition, vol. 141, pp. 1524-528, 2011. DOI: https://doi.org/10.3945/jn.111.139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