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비타민 D와 당뇨병의 관련성
Vitamin D intake and Diabetes Mellitus in Korean Adult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4 no.2, 2018년, pp.188 - 195  

황예린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  곽정현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  김정훈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  최윤형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deficiency and the risk of diabetes mellitus, and also examined whether their association is differed by sex and age.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from 28,135 subjects ${\geq}20years$ old who were registered fo...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D와 당뇨병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한국의 대표성 있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4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비타민 D와 당뇨병의 관련성에 대해 성별, 연령대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혈중 비타민 D와 당뇨병 유병률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령, 성별, 교육수준, 가구 소득수준, 총 에너지 섭취량, 흡연상태, 신체활동,체질량지수, 허리둘레를 보정한 결과, 비타민 D 농도가 감소할수록 당뇨병 유병률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타민 D란? 비타민 D는 뼈의 성장과 무기질 항상성을 담당하는 중요한 호르몬이다.7) 비타민 D는 식물과 무척추동물에서 합성되는 비타민 D2 (ergocalciferol)와 척추동물에서 합성되는 비타민 D3 (cholecalciferol)로 분류되며, 비타민 D2는 주로 강화식품이나 식물성 식품섭취를 통해, 비타민 D3는 주로 햇빛 노출과 동물성 식품섭취를 통해 얻게 된다.
당뇨병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당뇨병은 크게 췌장에서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아 발생되는 제1형 당뇨병과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로 인해 발생되는 제2형 당뇨병으로 구분된다. 당뇨병은 세계적으로 유병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질환이며,2013년에서 2035년까지 제2형 당뇨병 환자 수는 3억 8180만 명에서 5억 9200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비타민 D의 체내 합성이 주로 햇빛 노출에 기인한다는 근거는?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혈중 비타민 D와 당뇨병 유병률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령, 성별, 교육수준, 가구 소득수준, 총 에너지 섭취량, 흡연상태, 신체활동,체질량지수, 허리둘레를 보정한 결과, 비타민 D 농도가 감소할수록 당뇨병 유병률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evere deficiency 그룹이 Sufficiency 그룹에 비해서 당뇨병 유병률이 1.46배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유의성은 햇빛 노출 시간을 추가로 보정하였을 때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타민 D의 체내 합성이 주로 햇빛 노출에 기인한 것임을 보여주는 결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Guariguata L, Whiting D, Hambleton I, Beagley J, Linnenkamp U, Shaw J. Global estimates of diabetes prevalence for 2013 and projections for 2035. Diabetes Res Clin Pract. 2014; 103(2): 137-149. 

  2.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3. Kannel WB, McGee DL.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e Framingham study. JAMA. 1979; 241(19): 2035-2038. 

  4. Gu K, Cowie CC, Harris MI. Diabetes and decline in heart disease mortality in US adults. JAMA. 1999; 281(14): 1291-1297. 

  5. Goraya TY, Leibson CL, Palumbo PJ, Weston SA, Killian JM, Pfeifer EA, et al. Coronary atherosclerosis in diabetes mellitus: a population-based autopsy study. J Am Coll Cardiol. 2002; 40(5): 946-953. 

  6. Stamler J, Vaccaro O, Neaton JD, Wentworth D, Group MRFITR. Diabetes, other risk factors, and 12-yr cardiovascular mortality for men screened in the Multiple Risk Factor Intervention Trial. Diabetes Care. 1993; 16(2): 434-444. 

  7. Christodoulou S, Goula T, Ververidis A, Drosos G. Vitamin D and bone disease. Biomed Res Int. 2013; 2013: 396541. 

  8. Holick MF. Sunlight and vitamin D for bone health and prevention of autoimmune diseases, cancer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m J Clin Nutr. 2004; 80(6 Suppl): 1678s-1688s. 

  9. Holick MF. Vitamin D deficiency. N Engl J Med. 2007; 357(3): 266-281. 

  10. Holick MF, Chen TC. Vitamin D deficiency: a worldwide problem with health consequences. Am J Clin Nutr. 2008; 87(4): 1080S-1086S. 

  11. Gonzalez H, Tarras-Wahlberg N, Stromdahl B, Juzeniene A, Moan J, Larko O, et al. Photostability of commercial sunscreens upon sun exposure and irradiation by ultraviolet lamps. BMC Dermatol. 2007; 7: 1. 

  12. Nair R, Maseeh A. Vitamin D: The "sunshine" vitamin. J Pharmacol Pharmacother. 2012; 3(2): 118-126. 

  13. Choi HS, Oh HJ, Choi H, Choi WH, Kim JG, Kim KM, et al. Vitamin D insufficiency in Korea-a greater threat to younger generati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 J Clin Endocrinol Metab. 2011; 96(3): 643-651. 

  14. Kim J. The factors affecting serum vitamin D deficiency in Korean women: using KNHANES 2012. J Digit Converg. 2017; 15(10): 257-266. 

  15. Lim S, Kung A, Sompongse S, Soontrapa S, Tsai K. Vitamin D inadequacy in postmenopausal women in Eastern Asia. Curr Med Res Opin. 2008; 24(1): 99-106. 

  16. Zhang R, Naughton DP. Vitamin D in health and disease: current perspectives. Nutr J. 2010; 9: 65. 

  17. Thacher TD, Clarke BL. Vitamin D insufficiency. Mayo Clin Proc. 2011; 86(1): 50-60. 

  18. Pittas AG, Lau J, Hu FB, Dawson-Hughes B. The role of vitamin D and calcium in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Clin Endo crinol Metab. 2007; 92(6): 2017-2029. 

  19. Vaidya A, Williams JS.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and the renin-angiotensin system in the pathophysiology of hypertension, kidney disease, and diabetes. Metabolism. 2012; 61(4): 450-458. 

  20. Rhee SY, Hwang YC, Chung HY, Woo JT. Vitamin D and diabetes in Koreans: analyses based on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09. Diabet Med. 2012; 29(8): 1003-1010. 

  21. Nam H, Kim HY, Choi JS, Kweon SS, Lee YH, Nam HS, et al. Association between Serum 25- hydroxyvitamin D Levels and Type 2 Diabetes in Korean Adults. CMJ. 2017; 53(1): 73-77. 

  22. Mitri J, Pittas AG. Vitamin D and diabetes.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2014; 43(1): 205-232. 

  23. Lee JH, O'Keefe JH, Bell D, Hensrud DD, Holick MF. Vitamin D deficiency an important, common, and easily treatable cardiovascular risk factor? J Am Coll Cardiol. 2008; 52(24): 1949-1956. 

  24. Chuck KW, Hwang M, Choi KS, Suh M, Jun JK, Park B. Cancer screening rate in people with diabetes in the Korean population: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09. Epidemiol Health. 2017; 39:e2017036. 

  25. Park DH KC, Kim KJ. Consideration about Physical Activity Guideline and Exercise Intensity for Adult. Exercise Science. 2015; 24(2): 99-109. 

  26. JH N. Vitamin D and Diabetes Mellitus. Diabetes Metab J. 2009; 33(4): 276-278. 

  27. Choi HS, Kim KA, Lim CY, Rausch T, Roos F, Wahl DA, et al. Low serum vitamin D is associated with high risk of diabetes in Korean adults. J Nutr. 2011; 141(8): 1524-1528. 

  28. Choi YM LJ, Han JS. Effects of Vitamin D and Calcium Intervention on the Improvement of Resistanc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iabetes Metab J. 2009; 33(4): 324-334. 

  29. Pittas AG, Dawson-Hughes B, Li T, Van Dam RM, Willett WC, Manson JE, et al. Vitamin D and calcium intake in relation to type 2 diabetes in women. Diabetes Care. 2006; 29(3): 650-656. 

  30. Rafiq S, Jeppesen PB. Is Hypovitaminosis D Related to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and High Fasting Glucose Level in Healthy Subjec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Nutrients. 2018; 10(1): 59. 

  31. Scragg R, Sowers M, Bell C. Serum 25-hydroxyvitamin D, diabetes, and ethnicity in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abetes Care. 2004; 27(12): 2813-2818. 

  32. Geer EB, Shen W. Gender differences in insulin resistance, body composition, and energy balance. Gend Med. 2009; 6(Suppl 1): 60-75. 

  33. Stout MB, Justice JN, Nicklas BJ, Kirkland JL. Physiological Aging: Links Among Adipose Tissue Dysfunction, Diabetes, and Frailty. Physiology 2017; 32(1): 9-19. 

  34. Hilger J, Friedel A, Herr R, Rhee SY, Hwang YC, Kim KM,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vitamin D status in populations worldwide. Br J Nutr. 2014; 111(1): 23-45. 

  35. Kim Y.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Epidemiol Health. 2014; 36: e2014002. 

  36. Karvonen M, Viik-Kajander M, Moltchanova E, Libman I, LaPorte R, Tuomilehto J. Incidence of childhood type 1 diabetes worldwide. Diabetes Mondiale (DiaMond) Project Group. Diabetes Care. 2000; 23(10): 1516-1526. 

  37. Pearce SH, Cheetham TD. Diagnosis and management of vitamin D deficiency. BMJ. 2010; 340:b56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