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수교육에서 로봇활용교육의 수용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Exploring Factors Affecting Acceptance Attitudes of Robot-Based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20 no.2, 2017년, pp.35 - 45  

백제은 (익산궁동초등학교) ,  김경현 (원광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술수용모형(TAM)을 바탕으로 특수교육에서 로봇활용교육의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초 중 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육에서 로봇활용교육의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사회적 영향력의 3개 요인이며, 이중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인지된 유용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혁신성향과 사회적 영향력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된 용이성과 혁신성향으로 밝혀졌다. 로봇활용교육이 특수교육에 안정적으로 수용되기 위해서는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 인식을 이끌어 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s the use of robot-based instruction in special education are explored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eir interrelatedness is also analyzed. Research data were obtained via a questionnaire survey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변수와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주는 공통분산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0.6이상이면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므로 이 기준을 만족하는지 살펴보았다.
  • 기술수용모형(TAM)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왜 정보기술을 수용 혹은 거부하는지 그리고 사용자의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13]. 이 모형은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였을 때 그 기술을 수용하는 대상의 수용행동의 원인과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로 Davis et al.
  • 또한 교사가 로봇활용교육을 실행하는 것이 쉽고 용이하다고 인식한다면, 유용성에 대한 인식으로 이어져 로봇활용교육의 수용과 확산에 영향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18][20][27]과 같이 수용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에서 로봇활용교육의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초·중·고등학교 특수교사 188명을 대상으로 로봇활용교육의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즉, 온전히 정부의 지원, 조직 및 인프라 특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요인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고, 사용자의 심리와 같은 개인 내적 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사용자의 심리적 요인을 고려된 David et al. (1989)의 기술수용모형(TAM)을 바탕으로[13], 특수교육에서 로봇활용교육의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가설 설정

  • · H1: 인지된 유용성이 높을수록 수용태도가 높을 것이다.
  • · H2: 인지된 용이성이 높을수록 수용태도가 높을 것이다.
  • · H3: 혁신성향이 높을수록 수용태도가 높을 것이다.
  • · H4: 사회적 영향력이 높을수록 로봇활용교육 수용태도가 높을 것이다.
  • · H5: 혁신성향이 높을수록 인지된 용이성이 높을 것이다.
  • · H6: 사회적 영향력이 높을수록 인지된 용이성이 높을 것이다.
  • · H7: 인지된 용이성이 높을수록 인지된 유용성이 높을 것이다.
  • · H8: 혁신성향이 높을수록 인지된 유용성이 높을 것이다.
  • · H9: 사회적 영향력이 높을수록 인지된 유용성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로봇 활용교육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일반적으로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로봇 활용교육은 수업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국어, 수학, 과학, 기술, 수학, 미술 등의 교과에 로봇매체를 적용하거나, 로봇의 구조나 부품 등 로봇 자체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을 의미한다[14][15]. 반면, 특수교육에서 로봇활용교육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16].
기술수용모형의 목적은? 기술수용모형(TAM)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왜 정보기술을 수용 혹은 거부하는지 그리고 사용자의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13]. 이 모형은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였을 때 그 기술을 수용하는 대상의 수용행동의 원인과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로 Davis et al.
특수교육에서 로봇활용교육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반면, 특수교육에서 로봇활용교육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16]. 첫째, 신체적으로 자유롭지 못한 학생들에게 물리적인제약에서 벗어나 보다 자유롭게 행동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특수교육에 로봇을 보조적으로 활용하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인지, 정서적 발달 교육 또는 신체적 재활을 목적으로 수업에 로봇을 활용하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Pioggia, G., Igliozzi, R., Ferro, M., Ahluwalia, A., Muratori, F., & De Rossi, D. (2005). An android for enhancing social skills and emotion recognition in people with autism.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IEEE Transactions on, 13(4), 507-515. 

  2. Graham-Rowe, D. (2002). My best friend's a robot. New scientist(2369), 30-33. 

  3. Dautenhahn, K. (2003). Roles and functions of robots in human society: implications from research in autism therapy. Robotica, 21(04), 443-452. 

  4. Robins, B., Dautenhahn, K., & Dubowski, J. (2006). Does appearance matter in the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autism with a humanoid robot?. Interaction Studies, 7(3), 509-542. 

  5. Cook, A. M., Adams, K., Encarnacao, P., & Alvarez, L. (2012). The role of assisted manipulation in cognitive development. Developmental neurorehabilitation, 15(2), 136-148. 

  6. Kimbler, D. (1984). Robots and special education: The robot as extension of self 1.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62(1), 67-76. 

  7. Howell, R., & Hay, K. (1989). Software-based access and control of robotic manipulators for severely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Journ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1(1), 53-72. 

  8. Robins, B., Dautenhahn, K., Te Boekhorst, R., & Billard, A. (2005). Robotic assistants in therapy and edu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can a small humanoid robot help encourage social interaction skills?. Universal Access in the Information Society, 4(2), 105-120. 

  9. Gelderblom, G. J., Dijkstra, J., & Kronreif, G. (2007). User involvement in IROMEC: Robot developmen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Proc. AAATE07, 515-519. 

  10. Martens, C., Ruchel, N., Lang, O., Ivlev, O., & Graser, A. (2001). A friend for assisting handicapped people. Robotics & Automation Magazine, IEEE, 8(1), 57-65. 

  11. Michaud, F., Larouche, H., Larose, F., Salter, T., Duquette, A., Mercier, H., & Lauria, M. (2007). Mobile robots engaging children in learning. Paper presented at the Canadian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Conference, Toronto. 

  12. Mohan, R. E., Calderon, C. A. A., Zhou, C., & Yue, P. K. (2008). Evaluating virtual emotional expression systems for human robot interaction in rehabilitation domain. Paper presented at the Cyberworlds, 200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13. Davis, F. D., Bagozzi, R. P., & Warshaw, P. R. (1989).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35(8), 982-1003. 

  14. 박광렬(2011). 초등학교 로봇 교육 및 교구의 현황과 발전 방향의 고찰.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4(3), 323-343. 

  15. Alimisis, D. (2009). Teacher Education on Robotics-Enhanced Constructivist Pedagogical Methods. School of Pedagogical and Technological Education, Αthens. 

  16. 김태준(2017). 로봇활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의 수용의도에 관한 구조 분석: 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과. 

  17. Lee, Y., Kozar, K. A., & Larsen, K. R. (2003).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Past, present, and futur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12(1), 50. 

  18. Venkatesh, V., & Davis, F. D. (2000).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19. Jackson, C. M., Chow, S., & Leitch, R. A. (1997). Toward an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an information system. Decision sciences, 28(2), 357-389. 

  20. Moon, J.-W., & Kim, Y.-G. (2001). Extending the TAM for a World-Wide-Web context. Information & management, 38(4), 217-230. 

  21. Igbaria, M., & Iivari, J. (1995).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computer usage. Omega, 23(6), 587-605. 

  22. McFarland, D., & Hamilton, D. (2005). Factors affecting student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nline versus traditional course delivery. The Journal of Computer Information Systems, 46(2), 25. 

  23. Taylor, S., & Todd, P. (1995). Assessing IT usage: The role of prior experience. MIS quarterly, 561-570. 

  24. Agarwal, R., & Karahanna, E. (2000).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IS quarterly, 665-694. 

  25.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26. Agarwal, R., & Prasad, J. (1997). The role of innovation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voluntariness in the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Decision sciences, 28(3), 557-582. 

  27. Lu, J., Yao, J. E., & Yu, C.-S. (2005). Personal innovativeness, social influences and adoption of wireless Internet services via mobile technology. The Journal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14(3), 245-268. 

  28. Rogers Everett, M. (1995). Diffusion of innovations. New York. 

  29. Venkatesh, V., & Davis, F. D. (1996). A model of the antecedents of perceived ease of use: Development and test*. Decision sciences, 27(3), 451-481. 

  30. Moore, G. C., & Benbasat, I. (1991).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perceptions of adopting an information technology innovati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3), 192-222. 

  31.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Vol. 6): Pears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32. Bajaj, A., & Nidumolu, S. R. (1998). A feedback model to understand information system usage. Information & management, 33(4), 213-2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