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raviola (Annona muricata)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 of Graviola (Annona muricata) Leaf Extract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8 no.2, 2017년, pp.198 - 205  

조은희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제약공학과) ,  김인혜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제약공학과) ,  이재화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Annona muricata 잎 추출물(graviola leaf extracts, GLE)의 항산화(antioxidant), 항균(antibacterial), 미백(whitening) 및 주름 개선(anti-wrinkle) 효과 등을 조사하였으며, 항산화(antioxidant) 효과에 대한 활성은 전자공여능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GLE는 농도 의존적으로 전자공여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E의 항균 활성은 paper disc법으로 측정하여 나타냈으며, 표준물질인 ampicillin과 비교하여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CCARM3115에서 비교적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GLE에 대한 미백(whitening) 효과 역시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GLE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tyrosinase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E 농도에 따른 L-tyrosine을 DOPA로 바꾸는 데 관여하는 hydroxylation 반응과 관련한 mushroom tyrosinase의 저해 활성은 표준물질인 arbutin에 비해 $125{\sim}250{\mu}g/mL$ 농도 범위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다. B16-F10 cell에 대한 melanin 생합성 저해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0{\mu}g/mL$에서 76.7%를 나타났다. 주름 생성과 관련하여서는 elastase 저해 활성 측정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동일한 농도에서 GLE 및 ursolic acid는 10.5, 56.5%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Annona muricata 잎 추출물(Graviola Leaf Extracts, GLE)이 항산화 및 미백 활성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백 화장품 성분으로서 과색소침착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graviola leaf extracts (GLE) was investigated for the effect of antioxidant, antibacterial, whitening, anti-wrinkle. The antioxidant effect of GLE was measured by an electron donating ability assay. As a result, GLE increased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nnona muricata 잎 추출물(Graviola Leaf Extracts, GLE)을 이용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in vitro 상에서 항산화, 항균,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 등을 분석하였으며, 더 나아가 in vivo 상에서 B16-F10 mouse melanoma cell에 대한 세포 생존율 및 melanin 생합성 억제 효과를 조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Annona muricata 잎 추출물(Graviola Leaf Extracts, GLE)을 이용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in vitro 상에서 항산화, 항균,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 등을 실시하였으며, 더 나아가 in vivo 상에서 B16-F10 mouse melanoma cell에 대한 세포 생존율 및 melanin 생합성 억제 효과를 조사하여 살펴보았다. 항산화 능력에 대한 측정은 DPPH 분석 및 SOD 유사활성 측정을 통해 나타냈으며, 그 결과 GLE는 DPPH 저해 활성 및 SOD 유사활성에 있어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또한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각각 117 ±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연구를 통해 밝혀진 Annona muricata 잎의 활성 효과는 무엇인가? 특히 Annona muricata 잎은 항암, 진정제, 항경련제 그리고 저혈압제로 사용하였다[3-5]. 선행 연구에 따르면 여러 가지 in vitro model 상에서 Annona muricata의 항산화제로서의 잠재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Annona muricata 잎의 rutin과 hyperoside와 같은 플라보노이드 성분 및 항산화 활성물질이 풍부해 신체 내부의 산화성 손상을 최소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 또한 왁스 성질의 물질인 Annonaceae acetogenins는 항균, 항 기생충⋅곤충, 항종양 등의 작용을 하며 잎을 비롯한 Graviola 전반에 골고루 분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
법에서 정하는 화장품은 무엇인가? 화장품법 제2조 1항에 “인체를 청결⋅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시키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으로 화장품을 정의하고 있다. 이처럼 화장품은 경제 성장에 따른 소득 수준의 향상과 여성의 사회 활동 증가로 그 사용 인구가 전 세계적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에 있어서, 소비자들이 자연주의적인 제품을 선호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자외선차단 고시 품목으로는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 올리에이트 외 26종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기능성 화장품 소재의 경우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고 피부 안정성 및 안전성에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 그 결과, 화장품 산업은 보다 기능적으로, 자연주의적인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는 첨단 산업으로 점차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원료개발의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 S. Seo, J. S. Park, M. Y. Go, S. W. Hwang, and J. E. Jang, 2015 Cosmetics Industry Analysis Report, 6-7, Hanhak Munhak, Seoul, Korea (2016). 

  2. E. H. Kim, A study of whitening cosmetics from natural products, Korean J. Aesthet. Cosmetol., 4, 195-203 (2006). 

  3. S. S. Yuan, H. L. Chang, H. W. Chen, Y. T. Yeh, Y. H. Kao, K. H. Lin, Y. C. Wu, and J. H. Su, Annonacin, a mono-tetrahydrofuran acetogenin, arrests cancer cells at the G1 phase and causes cytotoxicity in a Bax- and caspase-3-related pathway, Life Sci., 72, 2853-2861 (2003). 

  4. P. N'Gouemo, B. Koudogbo, H. Tchivounda, C. Nguema, and M. Etoua,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nnona muricata on pentylenetetrazol-induced convulsive seizures in mice, Phytother. Res., 11, 243-245 (1997). 

  5. D. Carbajal, A. Casaco, L. Arruzazabala, R. Gonzalez, and V. Fuentes, Pharmacological screening of plant decoctions commonly used in Cuban folk medicine, J. Ethnopharmacol., 33, 21-24 (1991). 

  6. A. Shirwaikar, K. Rajendran, and C. Kumar, In vitro antioxidant studies of Annona squamosa Linn leaves, Indian J. Exp. Biol., 42, 803-807 (2004). 

  7. S. Marklund and G. Marklund,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radia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1974). 

  8. V. L. Singleton and J. A. Rossi,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1965). 

  9. W. B. Davis, Determination of flavonones in citrus fruits, Anal. Chem., 19, 476-478 (1947). 

  10. I. H. Kim, D. G. Lee, S. H. Lee, J. M. Ha, B. J. Ha, S. K. Kim, and J. H. Lee, Antibacterial activity of Ulva lactuca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Biotechnol. Bioprocess Eng., 12, 579-582 (2007). 

  11. Y. Ishihara, M. Oka, M. Tsunakawa, K. Tomita, M. Hatori, H. Yamamoto, H. Kamei, T. Miyaki, M. Konishi, and T. Oki, Melanostatin, a new melanin synthesis inhibitor. Production, isolation, chemical properties, structure and biological activity, J. Antibiot., 44, 25-32 (1991). 

  12. K. H. Kong, S. Y. Park, M. P. Hong, and S. H. Cho,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human tyrosinase from a bacterial expression system, Comp. Biochem. Physiol. B, 125, 563-569 (2000). 

  13. S. S. Choi, H. S. Noh, S. H. Cho, and K. H. Kong, Screening of inhibitors against tyrosinase activity from natural products, J. Pharm. Soc. Korea, 45, 522-528 (2001). 

  14. S. K. Park, S. K. Hong, H. J. Kim, B. Y. Kim, T. K. Kim, J. S. Kang, and D. U. Kim, Cosmetic effect of Angelica gigas Nakai root extracts, Korean Chem. Eng. Res., 47, 553-557 (2009). 

  15. D. Tobin and A. J. Thody, The superoxide anion may mediate short-but not long-term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melanogenesis, Exp. Dermatol., 3, 99-105 (1994). 

  16. E. Bernadette, P. Marianne, and P. Bernhard, Protective effect against sunburn of combined systemic ascorbic acid (vitamin C) and d- ${\alpha}$ -tocopherol (vitamin E), J. Am. Acad. Dermatol., 38, 45-48 (1998). 

  17. A. S. Gupta, R. P. Webb, A. S. Holaday, and R. D. Allen, Overexpression of superoxide dismutase protects plants from oxidative stress, Plant Physiol., 103, 1067-1073 (1993). 

  18. J. A. Lim, T. Y. Chung, and E. J. Cho,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fractions from Hemerocallis fulva leaves, Cancer Prev. Res., 17, 257-263 (2012). 

  19. B. D. Choi, H. S. Jeon, Y. S. Lee, E. Y. Joo, and N. W. Kim,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Calystegia japonica leaf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250-255 (2010). 

  20. J. A. Park, Antioxidant effects of Rumex crispus L. leaf extracts and protective effects on human HaCaT keratinocyte, J. Korean Soc. Beauty Art, 12, 189-198 (2011). 

  21. T. D. Kwon, S. W. Choi, S. J. Lee, K. W. Chung, and S. C. Lee, Effects of polyphenol or vitamin C ingestion on antioxidative activity during exercise in rats, Korean J. Physic. Educ., 3, 891-899 (2001). 

  22. Y. S. Lee, E. Y. Joo, and N. W. Kim, Polypheno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Lespeza bicolor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3, 616-622 (2006). 

  2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Phytonutrients to Save My Body, 18-24, Dulnyouk Publisher, Seoul, Korea (2013). 

  24. H. J. Kim, K. J. Lee, K. H. Ma, Y. H. Cho, S. Y. Lee, D. J. Lee, and J. W. Chung, Effect of tomato leaf extracts on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Korean J. Int. Agric., 27, 529-535 (2015). 

  25. H. J. Lim, H. J. Lee, and M. H. Lim, Antioxidant activity of acaiberry, blueberry, corni, and mulberry, Korean J. Aesthet. Cosmetol., 13, 445-452 (2015). 

  26. J. Zhishen, T. Mengcheng, and W. Jianming,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999). 

  27. K. E. Heim, A. R. Tagliaferro, and D. J. Bobilya, Flavonoid antioxidants: Chemistry, metabolism,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J. Nutr. Biochem., 13, 572-584 (2002). 

  28. E. J. Kim, J. Y. Choi, M. R. Yu, M. Y. Kim, S. H. Lee, and B. H. Lee, Total polypheno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2012). 

  29. K. Sundarrao, I. Burrows, M. Kuduk, Y. D. Yi, M. H. Chung, N. J. Suh, and I. M. Chang, Preliminary screening of antibacterial and antitumor activities of Papua New Guinean native medicinal plants, Int. J. Parmacogn., 31, 3-6 (1993). 

  30. R. A. Spritz and V. J. Hearing, Genetic disorders of pigmentation, Adv. Hum. Genet., 22, 1-45 (1994). 

  31. J. Y. Lin and D. E. Fisher, Melanocyte biology and skin pigmentation, Nature, 445, 843-850 (2007). 

  32. G. Prota, Some new aspects of eumelanin chemistry, Prog. Clin. Biol. Res., 256, 101-124 (1988). 

  33. H. Nakajima, Y. Wakabayashi, K. Wakamatsu, and G. Imokawa, An extract of Withania somnifera attenuates endothelin-1-stimulated pigmentation in human epidermal equivalents through the interruption of PKC activity within melanocytes, Phytother. Res., 25, 1398-1411 (2011). 

  34. S. K. Lee, H. K. Hong, S. J. Kim, Y. K. Kim, Y. S. Song, Y. Ha, D. W. Lee, and G. S. Khang, The comparison of sponges and PLGA scaffolds impregnated with DBP on growth behaviors of human intervertebral disc cells, Polymer(Korea), 34, 398-404 (2010). 

  35. K. H. Wang, R. D. Lin, F. L. Hsu, Y. H. Huang, H. C. Chang, C. Y. Huang, and M. H. Lee, Cosmetic applications of selected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s, J. Ethnopharmacol., 106, 353-359 (2006). 

  36. P. Brenneisen, H. Sies, and K. Scharffetter-Kochanek, Ultraviolet-B irradiat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from induction via signaling to initial events, Ann. N. Y. Acad. Sci., 973, 31-43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