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안전한 천연물을 이용한 천연항산화제 개발 연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지유, 진피, 천련자, 천문동, 청피, 편축, 하고초 7종의 천연 약용식물 추출물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지유가 열수추출물과 40%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31.5 mg/g, 32.7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출물의 수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DPPH radical 소거능이 지유, 진피, 천련자, 천문동, 청피, 편축, 하고초 7종의 천연 약용식물의 열수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80% 이상의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을 측정한 결과, 7종의 천연 약용식물의 열수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85% 이상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어 매우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를 측정한 결과, 천련자 열수 추출물에서 1.65 PF로 대조구인 vitamin C 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내어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 활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TBARs 생성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지유, 천련자, 청피, 편축, 하고초의 열수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99%에 가까운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어 대조구인 vitamin C보다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 활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optimal conditions for phenolic-compound extraction from medicinal plants were found to be 24 h and about 50% ethanol. The electron-donating scavenging activities (DPPH), ABTS radical-cation decolorization (ABTS),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온 150여종의 약용작물로부터 천연항산화물질 및 기능성 물질의 탐색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150여종의 약용작물 중 항산화능이 비교적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약용작물 7종을 예비 선별하여 지유(Sanguisorba officinalis L)(8), 진피(Citrus unshiu M)(9), 천련자(Melia azedarach L)(10), 천문동(Asparagus cochinchinensis M)(11), 청피(Citrus reticulata B)(9), 편축 (Polygonum aviculare L)(12), 하고초(Prunella vulgaris L)(13) 7종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 탐색의 일환으로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여 질병의 원인인 활성산소를 감소시켜 안전성이 확보된 새로운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란? 활성산소는 생체 내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산화과정 중 생성되는 물질로, 생체 내 존재하는 항산화방어계로 인해 대부분 소멸하게 된다. 하지만, 항산화방어계의 균형이 깨지게 되면 체내 활성산소가 증가하여 체내 여러 생체물질과 쉽게 반응하여 체내 고분자들을 공격하게 된다.
체내 항산화방어계의 균형이 깨져 활성산소가 증가하면 어떤 일이 발생하는가? 하지만, 항산화방어계의 균형이 깨지게 되면 체내 활성산소가 증가하여 체내 여러 생체물질과 쉽게 반응하여 체내 고분자들을 공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체내의 세포와 조직에 비가역적인 손상, 돌연변이, 세포독성, 발암 등을 초래하고, 체외에서는 피부노화를 비롯한 다양한 피부트러블을 야기하는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된다(1).
항산화제의 종류는? 이러한 활성산소를 조절하는 항산화제는 합성항산화제와 천연항산화제로 구분되며 합성 항산화제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buthylated hydroxytoluene (BHT), benzoic acid, p-oxybenzoic ester 등과 천연항산화제 ascorbic acid, tocopherol, carotenoid, flavonoid, glutathione 등이 있다. 합성 항산화제의 경우,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보이는 반면 다량 섭취 시 여러 가지 독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안전한 천연항산화제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 YJ, Ju IS, Kwon OJ, Chun SS, An BJ, Kim JH (2008) B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49-54 

  2.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3. Choe SY, Yang K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2, 283-288 

  4. Shim JS, Kim SD, Kim TS, Kim K (2005) Biological activities of flavonoid glycosides isolated from Angelica keiskei. Korean J Food Sci Techol, 37, 78-83 

  5. Cho YJ, Ju IS, Chun SS, An BJ, Kim JH, Kim MW, Kwon OJ (2008)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76-281 

  6. Huang MT, Ho CT, Lee C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antioxidants and cancer prevention. ACS symp series 507.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p 54-71 

  7. Kang MA, Kim MB, Kim JH, Ko YH, Lim SB (2010) Integral antioxidative capac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ressurized liquid extracts from 40 selected plant spec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249-1256 

  8. An BJ, Lee JT, Lee SA, Kwak JH, Park JM, Lee JY, Son JH (2004) Antioxidant effects and application as natural ingredients of Korean Sanguisorbae officinalis L. J Korea Soc Appl Biol Chem, 47, 244-250 

  9. Hyon JS, Kang SM, Mahinda S, Koh WJ, Yang TS, Oh MC, Oh CK, Jeon YJ, Kim SH (2010)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ried Citrus sunki and Citrus unshiu pe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 

  10. Yi HS, Heo SK, Yun HJ, Kim BW, Park SD (2008)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fractionated extracts of Melia toosendan in mouse macrophage cells, Korean J Herbology, 23, 121-134 

  11. Loi YS, Kweon YM, Park JH, Park SD (2003) Effects of insamgobonwhan and its component groups on antioxidant activities. Korean J Herbology, 18, 41-50 

  12. Kim TH (2011)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olygonum aviculare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8, 250-255 

  13. Lee SJ, Sung NJ, Jeong HG, Shin HJ, Chung YC, Seo JK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Prunella vulgar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535-1541 

  14. Folin O, Denis W (1912) On hosphotungasticphosphomolybet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9249 

  1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8-1199 

  16. Pellegrin NRRe, Yang M, Rice-Evans C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es applying 2,2'-azinobis(2- 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la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 379-389 

  17. Andarwulan N, Shetty K (1999) Phenolic content in differentiated tissue cultures of untransformed and Agrobacterium transformed roots of anise (Pimpinella anisum L). J Agric Food Chem, 47, 1776-1780 

  18.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 Enzymol, 105, 302-310 

  19. Lee YS (2007)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of Angelica dahurica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14, 78-86 

  20. Shin HL (2003) Biological activity of phenol compound from muberry fruits. Sangju National University, Food Engineering, MS Thesis 

  21. Jeong HJ, Park SB, Kim SA, Kim HK (2007)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ild grape (Vitis coignetiae) extracts depending on ethanol concent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91-1496 

  22. Ju JC, Shin JH, Lee SJ, Cho HS, Sung NJ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14 

  23. Miliauskas G, Venskutonis PR, Been TVA (2004)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ome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extracts. Food Chem, 85, 231-237 

  24. Choe M, Kim DJ, Lee HJ, You JK, Seo DJ, Lee JH, Chung MJ (2008) A study on the glucose-regulating enzym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herb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72-547 

  25. Lee SJ, Shin JH, Kang JR, Hwang CR, Sung NJ (2012) In vitro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nd Korean traditional plants mix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295-301 

  26. Labuza, T.P. (1971) Kinetics of lipid oxidation in foods. CRC Crit. Rev. Food Technol, 2, 335-405 

  27. Chae JW, Jo BS, Joo SH, Ahn DH, Chun SS, Cho YJ (2012) B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Vaccinium oldhami frui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