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한 국내산 신이대 잎 발효에 따른 영양성분, 폴리페놀, 항산화능 변화
Changes of Nutritional Components, Polyphenol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omestic Bamboo Tree (Sasa coreana Nakai) Leaves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원문보기

KSBB Journal, v.32 no.1, 2017년, pp.63 - 70  

조한교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화학공학과) ,  김다송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화학공학과) ,  신현재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화학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mboo leaf has many nutritional and bioactive compounds such as polyphenols, and it can be used for various foods application. Fermentation is one of appropriate processes that can affect the nutrition, taste and flavor,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oods. In this study, a representative domest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물의 잎을 비롯한 다양한 biomass의 활용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공정이 자주 시도되고 있다. 높은 단백질 함량을 가진 뽕잎의 추출물에 Bacillus subtilis를 접종하여 발효 뽕잎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14]. 한편 녹차에 B.
  • 따라서 대나무 잎을 여러 식품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이며 환경친화적인 발효 및 관련 가공 공정을 발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식품, 음료에 적용할 수 있는 대나무 잎을 개발하고자 전라남도 담양군에 자생하는 국내산 대나무 수종 중 신이대 (Sasa coreana Nakai) 잎을 식용미생물인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발효하였고, 발효 전과 발효 후의 성분 변화, 항산화 성분과 그 활성에 대해 조사하여 추후 발효 대나무 잎의 활용방안 증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담양군에 자생하는 신이대 (Sasa coreana Nakai) 잎을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발효하였고, 발효 전과 발효 후의 당류, 미네랄, 아미노산, 페놀성 화합물의 성분 변화와 그 활성에 대해 조사하여 추후 발효 대나무 잎의 활용방안 증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문헌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TPC, TFC, TCC의 경우 다른 문헌과 동일한 변화양상이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효는 무엇인가? 차 혹은 음료의 맛과 영양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발효공정을 도입하는 경우가 많다. 발효는 식품의 맛과 풍미에 영향을 미치며 저장성을 높일 수 있는 가공 방법중 하나로, 발효 미생물로부터 유래한 효소작용에 의하여 식품의 영양소가 쉽게 소화될 수 있는 형태로 분해되면서 성분 함량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전통 발효식품 제조 방법은 지역, 제조방법, 원료 등에 의해 미생물이 동일하지 않아 균일한 품질을 갖기 힘들며, 고품질의 발효식품의 생산을 위해서는 고기능의 미생물을 선별하여 사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8].
대나무잎 추출물에는 어떤 영양성분과 항산화 성분이 들어있는가? 대나무의 여러 부위 중에서, 대나무 잎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등 아시아권역에서 주로 댓잎차, 댓잎환, 댓잎소금 등의 가공식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나무 잎에는 영양성분으로서 탄수화물, 미네랄, 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orientin, homoorientin, vitexin, isovitexin, linoleic acid 등 다양한 phytochemical이 포함되어 있어 항산화, 항진균, 항콜레스테롤과 같은 생리활성을 나타낸다[2-4]. 최근 이러한 영양성분과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대나무 잎을 가공하여 식품 소재로 활용하고, 그 추출물을 활용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보고되고 있다 [5-7].
대나무 잎을 직접 섭취하지 않고 차, 음료의 형태로 추출하여 섭취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이러한 영양성분과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대나무 잎을 가공하여 식품 소재로 활용하고, 그 추출물을 활용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보고되고 있다 [5-7]. 그러나 대나무 잎은 높은 셀룰로스 함량과 낮은 포만감, 독특한 향 때문에 대나무 잎 자체를 섭취하는 것보다는 차나 음료의 형태로 추출하여 섭취하는 경우가 많다. 차 혹은 음료의 맛과 영양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발효공정을 도입하는 경우가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Park, J. O. and H. W. Jang (2009) Effects of Sasa coreana, Nakai on the Lipid Compositions of Serum in High Cholesterol Diet Rat. J. Life Sci. 19: 1145-1151. 

  2. Choi, H. S., G. C. Kim, and H. J. Shin (2012) Comparison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in Korean Bamboos. KSBB J. 27: 131-135. 

  3. Kim, N. K., S. H. Cho, S. D. Lee, J. S. Ryu, and K. H. Shim (2001) Function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Phyllostachys sp.) extrac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475-480. 

  4. Zhang, Y., J. Jiao, C. Liu, X. Wu, and Y. Zhang (2008)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Four Flavone C-glycosides from Antioxidant of Bamboo Leaves by Macroporous Resin Column Chromatography and Preparativ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od Chem. 107: 1326-1336. 

  5. Kim, S. H., I. C. Lee, S. S. Kang, C. Moon, S. H. Kim, D. H. Shin, H. C. Kim, J. C. Yoo, and J. C. Kim (2011) Effects of Bamboo Charcoal and Bamboo Leaf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Chicken. J. Life Sci. 21: 805-810. 

  6. Seki, T. and H. Maeda (2010) Cancer Preventive Effect of Kumaizasa Bamboo Leaf Extracts Administered Prior to Carcinogenesis or Cancer Inoculation. Anticancer Research 30:111-118. 

  7. Eun, J., H. D. Jeong, and M. S. Jang (2009) Optimization of Ingredient Mixing Ratio for Preparation of Sponge Cake with Bamboo (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317-329. 

  8. Park, S. Y., M. A. Bang, B. J. Oh, J. H. Park, W. S. Song, K. M. Choi, E. S. Choung, H. O. Boo, and S. S. Cho (2013)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BC-P1. Kor. J. Microbiol. 49: 262-269. 

  9. Moon, J. Y., S. W. Kwon, S. B. Hong, S. J. Seok, J. S. Kim, and S. J. Kim (2015)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analysis of Bacillus strains from the fermented soybean products, Cheonggukjang. Kor. J. Microbiol. 51: 300-307. 

  10. Kahkonen, M. P., A. I. Hopia, H. J. Vuorela, J. P. Rauha, K. Pihlaja, T. S. Kujala, and M. Heinonen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extract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7: 3954-3962. 

  11. Chang, C. C., M. H. Yang, H. M. Wen, and J. C. Chern (2002) Estimation of Total Flavonoid Content in Propolis by Two Complementary Colorimetric Methods. J. Food Drug Anal. 10: 178-182. 

  12.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3. Jeong, C. H., G. Choi, J. Kim, J. Kwak, H. Heo, K. H. Shim, B. R. Cho, Y. I. Bae, and J. S. Choi (2009) In vitro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Phenolic Composition of Hot Water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J. Food Sci. Nutr. 14: 283-289. 

  14. Seo, S. H., S. E. Park, E. J. Kim, D. Oh, and H. S. Son (2017) Characterization of Fermented Mulberry Leaf Using Bacillus subti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6: 108-114. 

  15. Kim, Y. S., C. Jo, G. H. Choi, and K. H. Lee (2011) Changes of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ctivity of Fermented Tea during Fermentation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73-1078. 

  16. Yadav, G., A. Singh, P. Bhattacharya, J. Yuvraj, and R. Banerjee (2013) Comparative analysis of solid-state bioprocessing and enzymatic treatment of finger millet for mobilization of bound phenolics. Bioproc. Biosyst. Eng. 36: 1563-1569. 

  17. Cerda, A., M. E. Martinez, C. Soto, P. Poirrier, J. R. Perez-Correa, J. R. Vergara-Salinas, and M. E. Zuniga (2013) The enhancement of antioxidant compounds extracted from Thymus vulgaris using enzymes and the effect of extracting solvent. Food Chem. 139: 138-143. 

  18. Qiu, L., M. Zhao, F. Li, W. Qi, W. Zhang, X. Yue, and J. Cui (2003) Changes in biological activity during artificial fermentation of fluecured tobacco. Tob. Sci. 46: 24-27. 

  19. Moktan, B., J. Saha, and P. K. Sarkar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soybean as affected by Bacillus-fermentation to kinema. Food Res. Int. 41: 586-593. 

  20. Jo, H. G., M. H. Choi, and H. J. Shin (2015) Preparation of fermentation broth of Sparassis latifolia containing soluble ${\beta}$ -glucan using four Lactobacillus species. J. Mushrooms 13: 50-55. 

  21. Song, H. N. (2013) Quality properties of fermented mugworts and the rapid pattern analysis of their volatile flavor components via surface acoustic wave (SAW) based electronic nose sensor in the GC system. Korean J. Food Preserv. 20: 554-563. 

  22. Reis, B. A. D., A. Kosinska-Cagnazzo, R. Schmitt, and W. Andlauer (2014) Fermentation of Plant Material-Effect on Sugar Content and Stability of Bioactive Compounds. PJFNS 64: 235-241. 

  23. Nuha, M. O., A. M. A. Isam, and E. B. Elfadil (2010) Chemical composition, antinutrients and extractable minerals of Sicklepod (Cassia obtusifolia) leaves as influenced by fermentation and cooking. Int. Food Res. J. 17: 775-785. 

  24. Ifesan, B. O. T., O. O. Egbewole, and B. T. Ifesan (2014) Effect of Fermentation on Nutritional Composition of Selected Commonly Consumed Green Leafy Vegetables in Nigeria. Int. J. Appl. Sci. Biotechnol. 2: 291-297. 

  25. Kim, J. I., M. J. Kang, and T. W. Kwon (2003) Antidiabetic effect of soybean and chongkukjang. Korea Soybean Digest 20: 44-52. 

  26. Baeg, B. G., J. I. Cho, E. W. Moon, and J. S. Park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mboo Shoot Liquid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Strain. J. Korean Soc. Food Cult. 30: 233-240. 

  27. Pozo-Bayon, M. A., E. G-Alegria, M. C. Polo, C. Tenorio, P. J. Martin-Alvarez, M. T. Calvo de la Banda, F. Ruiz-Larrea, and M. V. Moreno-Arribas (2005) Wine Volatile and Amino Acid Composition after Malolactic Fermentation: Effect of Oenococcus oeni and Lactobacillus plantarum Starter Cultures. J. Agric. Food Chem. 53: 8729-8735. 

  28. Sarkar, P. K., L. J. Jones, G. S. Craven, S. M. Somerset, and C. Palmer (1997) Amino acid profiles of kinema, a soybean-fermented food. Food Chem. 59: 69-75. 

  29. Lee, Y. S. (2007)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of Angelica dahurica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14: 78-86. 

  30. Jeong, C. H., C. W. Jang, K. Y. Lee, I. H. Kim, and K.W. Shim (2012)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currant. Korean J. Food Preserv. 19: 263-270. 

  31. Fraga, C. G., M. Galleano, S. V. Verstraeten, and P. I. Oteiza (2010) Basic biochemical mechanisms behind the health benefits of polyphenols. Mol. Aspects Med. 31: 435-445. 

  32. Hur, S. J., S. Y. Lee, Y. C. Kim, I. Choi, and G. B. Kim (2014) Effect of ferment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in plant-based foods. Food Chem. 160: 346-356. 

  33. Adetuyi, F. O. and T. A. Ibrahim (2014) Effect of Fermentation Time on the Phenolic, Flavonoid and Vitamin 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Seeds. NIFOJ 32: 128-137. 

  34. Choi, M. H., Y. J. Jeon, and H. J. Shin (2015) Anthocyanin Analysis of Pressure-extracted Korean Blueberry Juice and in vitro Antiinflammatory in RAW267.4 Cell line. KSBB J. 30: 191-196. 

  35. Tan, J., W. Dai, M. Lu, H. Lv, L. Guo, Y. Zhang, Y. Zhu, Q. Peng, and Z. Lin (2016) Study of the dynamic changes in the non-volatile chemical constituents of black tea during fermentation processing by a non-targeted metabolomics approach. Food Res. Int. 79: 106-113. 

  36. Romero, C., M. Brenes, P. Garcia, A. Garcia, and A. Garrido (2004) Polyphenol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naturally black olives. J. Agric. Food Chem. 52: 1973-1979. 

  37. Harbaum, B., E. M. Hubbermann, Z. Zhu, and K. Schwarz (2008) Impact of Fermentation on Phenolic Compounds in Leaves of Pak Choi (Brassica campestris L. ssp. chinensis var. communis) and Chinese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Coss). J. Agric. Food Chem. 56: 148-157. 

  38. Ibrahim, N. A., S. Mustafa, and A. Ismail (2014) Effect of lactic fermentation on the antioxidant capacity of Malaysian herbal teas. Int. Food Res. J. 21: 1483-1488. 

  39. Park, A., T. Ku, and I. Yoo (2015) Antioxidant properties of fermented mango leaf extracts. J. Cosmet. Sci. 66: 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