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이커 문화를 둘러싼 담론적 지형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The Discursive Topography in Maker Culture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Maker Movement'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82, 2017년, pp.73 - 103  

최혁규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메이커 운동과 관련된 단행본, 정책 보고서, 기사 및 칼럼 등을 비판적 담론 분석의 관점에서 살펴보며 메이커 문화를 둘러싼 담론적 지형과 사회적 실천을 분석한다. 정부 주도의 메이커 운동은 제작 문화를 경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창조 경제'의 원동력으로 의미화하고, 디지털 제조업의 창업을 정책적으로 진흥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정부 주도의 경제주의적 메이커 운동을 비판하면서, 기술을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디지털 사회 혁신'으로 메이커 운동을 제도화한다. 문화 예술계에서는 메이커를 장인 노동이나 손노동과 같은 '창조적 장인'으로 간주한다. 또한 지배적인 기술 구조에 대한 대항으로서 '비판적 제작 활동'을 구축하고자 하는 저항의 움직임도 있다. 하지만 지배적 담론이 현실적인 차원에 미치는 권력 효과와, 대항적 담론 투쟁으로 인한 지배 구조의 균열을 섣불리 확신할 수 없다. 현재 진행 중인 메이커 운동은 지배적인 권력 구조와 접합되어 제작 문화를 사회적 경제적 가치로 이끌어 내고자 하는 담론 전략과, 이에 대한 문화적 기술 정치적 가능성을 중시하는 대안적인, 혹은 대항적인 의미화 실천이 경합하는 갈등과 투쟁의 장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maker movement', maker culture captured attention and saw itself as an emerging cultu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published books, policy report, columns and news articles related to maker culture through the perspective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ake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 주도의 메이커 운동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메이커 운동과 관련된 단행본, 정책 보고서, 기사 및 칼럼 등을 비판적 담론 분석의 관점에서 살펴보며 메이커 문화를 둘러싼 담론적 지형과 사회적 실천을 분석한다. 정부 주도의 메이커 운동은 제작 문화를 경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창조 경제'의 원동력으로 의미화하고, 디지털 제조업의 창업을 정책적으로 진흥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정부 주도의 경제주의적 메이커 운동을 비판하면서, 기술을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디지털 사회 혁신'으로 메이커 운동을 제도화한다.
메이커 운동의 원류는 언제인가? 메이커 운동은 2000년 초 미국에서 원류를 찾아볼 수 있다. 미국의 오라일리 미디어(O’Reilly Media)2)는 2005년 잡지 <메이크(MAKE)>를 창간하고, 2006년에는 기술자들이나 취미 공학자들을 중심으로 제1회 메이커 페어(Maker Faire)를 개최했다.
롱테일 혁명이란 무엇인가? 그에 따르면, 웹 혁명은 다양한 사람들이 인터넷을 통해 자유롭게 유통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졌던 유통 혁명이고, 메이커 혁명은 개인들이 다양한 상품을 제조하고 이를 공급할 수 있게 된 생산 혁명이다(Anderson, 2012/2013, 97∼122쪽). 즉, 그는 생산 도구의 민주화로 인해 다양한 상품의 생산이 가능해졌고, 웹을 통해 이 상품을 다양한 방식으로 유통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디지털 시대의 제조업 혁명이라는 메이커의 시대가 도래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메이커 운동이 단순히 경제적 구조를 바꿔 놓은 것을 넘어서 사회 전체를 재편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권보람.김주성 (2015). 한.미 양국의 ICT 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분석. (2015-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창의미래연구소. 

  2. 김성윤 (2011). 사회적인 것의 재-구성: 사회자본론, CSR, 자원봉사활동 담론들의 접합. , 48호, 188-206. 

  3. 김아름 (2015, 5, 2). [CoverStory_TAG 11] 메이커문화와 메이커 스페이스 "만들고, 배우고, 공유하라!": 2부 국내편. . URL: http://aliceon.tistory.com/2520 

  4. 김주환 (2012). 신자유주의 사회적 책임화의 계보학: 기업의 사회책임경영과 윤리적 소비를 중심으로. , 96호, 210-251. 

  5. 류지은.윤세준.채연주 (2016). 조직의 통제기제로서의 창의성 담론에 대한 탐색적 연구: 푸코의 통치성 개념을 중심으로. , 111호, 237-268. 

  6. 릴리쿰.선윤아.박지은.정혜린 (2016). . 서울: 코난북스. 

  7. 문명진 (2015, 3, 10). [CoverStory_TAG 11] 메이커문화와 메이커 스페이스 "만들고, 배우고, 공유하라!": 1부 해외편. . URL: http://aliceon.tistory.com/2469 

  8. 미래창조과학부 (2014, 6, 19). [보도자료] 국민의 아이디어와 상상력을 ICT DIY로 구현!. URL: http://www.msip.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311&artId1213938 

  9. 미래창조과학부 (2016, 9, 5). [보도자료] '창의적 메이커' 취미 넘어 창업 도전 쉬워진다. URL: http://www.msip.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311&artId1310655 

  10. 박경환 (2013). 글로벌 시대 창조 담론의 제도화 과정: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 16권 2호, 31-48. 

  11. 박영숙 (2015). . 서울: 한국경제신문. 

  12. 백동명.함진호.이범철 (2015). 메이커 운동과 라이프 스타일 변화 [전자매체본]. , 1720호, 1-12. URL: http://www.nipa.kr/know/periodicalWebzineView.it 

  13. 사단법인 시민자치문화센터.서울시여성가족재단 살림센터 (2016, 10월). . 대안적 제작문화 포럼. URL: http://www.culturalaction.org/xe/1133255 

  14. 서동진 (2009). . 서울: 돌베개. 

  15. 손현철 (감독) (2016). [TV다큐멘터리]. 서울: KBS TV. 

  16. 송수연 (2013). 새로운 문화정치의 장, 자립문화운동: 문화귀촌, 청년의 소셜 네트워크, 메이커 문화를 중심으로. , 73호, 145-159. 

  17. 송위진 (2012a). Living Lab: 사용자 주도의 개방형 혁신모델. , 59호, 1-14. 

  18. 송위진 (2012b). Fab Lab: 사용자와 시민사회를 위한 혁신공간. , 62호., 1-12. 

  19. 송위진 (2016). 혁신연구와 '사회혁신론'. , 27호, 1-29. 

  20. 신병현 (2011). 신경영전략론의 수사학적 재현과 리프레이밍에 대한 비판적 고찰. , 92호, 72-106. 

  21. 신진욱 (2011). 비판적 담론 분석과 비판적.해방적 학문. , 89호, 10-45. 

  22. 이광석 (2014). 기술.정보 문화연구의 지평들. 이광석 (편), (19-58쪽). 서울: 논형. 

  23. 이광석 (2016, 11, 19). 메이커(제작) 문화와 사회적 기술 감각의 회복 [전자매체본]. , 25호. URL: 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nid101768 

  24. 이기형 (2006).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 푸코의 작업과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 14권 3호, 106-145. 

  25. 이대호 (2013). 디지털 제조의 이해와 정책 방향 [전자매체본]. (2013-10), 1-23. URL: 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me.asp?tnamekiss2002&key3185310 

  26. 이영희 (2000). . 서울: 한울. 

  27. 이은민 (2016). 4차 산업혁명과 산업구조의 변화. , 28권 15호(통권 629호), 1-22. 

  28. 임태환 (2016, 10월). 서울이노베이션팹랩,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 기술창작소. 11호. URL: http://www.makeall.com/newsletter/201610/planContents03.php 

  29. 장훈교 (2016, 7월). . 서울이노베이션팹랩과 함께하는 사회혁신리서치랩 제6회 '혁신의 발견' 워크숍 "배우고, 만들고, 공유하라: 메이커운동의 현재와 새로운 도시의 가능성". 서울: 서울이노베이션팹랩. 

  30. 장훈교 (2016). 서울형 제작교육 대안모델을 향해: 좋은 삶을 위한 자립전략으로서의 메이커 교육. , 19호. URL: http://soinnolab.net/archives/1150 

  31. 정지영 (2016, 5월). . '과학기술+사회혁신'포럼 "과학기술과 사회혁신, Living Lab에서 만나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2. 청개구리제작소.미디어버스 (2014). . 미디어버스. 

  33. 최명환 (2015, 11월). 메이커 무브먼트: 3차 산업혁명의 진원지 [전자매체본]. , 11월호, URL: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499&contents_id103092 

  34. 최빛나.송수연 (2014). 제작과 정보기술의 아크로바틱. 이광석 (편), (185-205쪽). 서울: 논형. 

  35. 최재규 (2014). 국내외 ICT DIY 현황 및 의미. , 31권 7호, 52-58. 

  36. 최재규 외 (2014). (2014-정책연구과제). 한국과학창의재단. 

  37. 표준연구센터 (2014). ICT DIY(내가 만드는 ICT) 정책 및 표준화 현황. (2014-2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창의미래연구소. 

  38. 한국과학창의재단 (2016). . 미래창조과학부. 

  39.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4). 혁신형 제조공간, 팹랩(Fab lab): 일본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2014-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40. 함진호.이승윤.김형준 (2016). ICT DIY 정책과 메이커생태계 구축을 위한 표준화. , 33권 1호, 5-10. 

  41. 小笠原治 (2015). . 노경아 (역) (2016). . 서울: 더숲. 

  42. Anderson, C. (2006). The long tail: Why the future of business is selling less of more. 이노무브그룹.이호준 (역) (2006). . 서울: 랜덤하우스. 

  43. Anderson, C. (2012). MAKERS: The new industries revolution. 윤태경 (역) (2013). . 서울: 알에이치코리아. 

  44. Baichtal, J. (2015). Maker pro: Essays on making a living by making. 정향 (역) (2015). , 서울: 한빛미디어. 

  45. Brockling, U. (2007). Das unternehmerische Selbst. Soziologie einer Subjektivierungsform. 김주호 (역) (2014). . 서울: 한울. 

  46. Cruikshank, B. (1999). The will to empire: Democratic citizens and other subjects. 심성보 (역) (2014). . 서울: 갈무리. 

  47. Fairclough, N. (1995). Discouse and social change. Cambridge: Polity Press. 

  48. Foucault, M. (2004). Naissance de la biopolitique: Cours au College de France, 1978-1979. 오트르망 (역) (2012). . 서울: 난장. 

  49. Gauntlett, D. (2011). Making is connecting: The social meaning of creativity from DIY and knitting to YouTube and Web 2.0. 이수영 (역) (2011). . 서울: 삼천리. 

  50. Hatch, M. (2013). The maker movement manifesto: Rules for innovation in the new world of crafters, hackers and tinkeres. 정향 (역) (2014). . 서울: 한빛미디어. 

  51. Lang, D. (2013). Zero to maker: Learn (just enough) to make (just about) anything. 장재웅 (역) (2015). . 서울: 한빛미디어. 

  52. Maietta, A., & Alverti, P. (2015). The maker's manual. 남기혁 (역) (2016). . 서울: 한빛미디어. 

  53. Maker Culture. (n.d.).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Maker_culture 

  54. Martinez, S., & Stager, G. (2013). Invent to learn: Making, tinkering, and engineering in the classroom. 김상균.송기봉 (역) (2015). . 서울: 홍릉과학출판사. 

  55. Milberry, K. (2014). (Re)Making the internet: Free software and the social factory hack. In M. Ratto & M. Boler (Eds), DIY citizenship: Critical making and social media (pp. 53-64). Cambridge, MA: MIT Press books. 

  56. Ratto, M., & Boler, M. (2014). Introduction. In M. Ratto & M. Boler (Eds), DIY citizenship: Critical making and social media (pp. 1-22). Cambridge, MA: MIT Press books. 

  57. Rifkin, J. (2014). The zero marginal cost society: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rise of the sharing economy. 안진환 (역) (2014). . 서울: 민음사. 

  58. Titscher, S., Meyer, M., Wodak, R., & Vetter, E. (2000). Methods of text and discourse analysis. 남상백 (역) (2015). . 서울: 경진출판.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