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즉석 식품에서 니트로사민이 검출되는 요인 분석
Factors At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s in Instant Food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2 no.2, 2017년, pp.114 - 122  

서보경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훈정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식품을 용기 포장 채로 조리하는 경우 니트로사민의 함량이 증가하는 사례에서 용기 포장에서의 니트로사민이 용출되는지 확인하였다. 조리를 할 수 있는 용기 포장 31종에 대해 각 식품 유형별로 침출용매를 선택하여 단면용출시험을 진행하였다. 용출 시험을 진행한 결과, 용기 포장에서는 NDMA, NDEA, NDBA가 모두 정량 한계 미만으로만 검출되었다. 따라서 용기 포장물질에서 침출용매로의 용출은 미미하였고 침출용매가 아닌 특정 식품에 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토마토소스를 제외한 레토르트 시료는 조리 전과 후의 유의적인 함량 차이가 없었으며 컵라면 시료의 경우는 모든 시료에서 조리 전 NDMA가 불검출되었지만 조리 후 NDMA 함량이 trace${\sim}0.93{\mu}g/kg$로 검출되었다. 컵라면의 NDMA 함량 증가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구성요소인 면, 분말스프, 건더기스프, 물을 면밀히 검토하였다. 그 결과, 면과 분말스프를 조합하여 조리한 경우에만 NDMA가 생성되었으며 폴리스티렌 제품의 경우 모든 구성요소를 함께 조리할 때보다는 NDMA 함량이 적게 검출되었다. 따라서 컵라면 시료는 면과 분말스프 내의 니트로사민 전구체가 NDMA 생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건더기스프도 NDMA 함량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 내의 전구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조리 중 가열에 따른 반응을 검토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nitrosamines can be produced in the process of heating, processing, storage and packaging. Migration specifications for N-nitrosamines exist only for rubber baby bottle nipples, which are regulat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There is no regulation for other food contact sub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열조리과정을 거치는 용기·포장물질에 대해 니트로사민 3종(NDMA, NDEA, NDBA)의 용출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즉석식품을 직접 조리 시 니트로사민 함량이 증가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조미료에서의 니트로사민 함량을 확인한 연구에서는 19개 시료 중 3개의 시료에서 각각 5, 5, 20 μg/kg의 NDMA가 검출되었다33) . 이러한 연구는 컵라면에서의 니트로사민 생성요인이 분말스프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Table 5를 살펴보면 C사와 F사의 폴리에틸렌 컵라면과 폴리스티렌 컵라면 동일사의 제품 간 NDMA 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니트로사민이란 무엇인가? 니트로사민은 아민의 질소 원자에 니트로소기가 결합한 화합물로 니트로사민과 이들의 전구체는 물, 토양, 공기 등의 환경, 식품, 화장품, 고무제, 담배연기 등에 다양하게 존재한다고 보고되었다1). 니트로사민은 발암가능물질로, NDMA (N-nitrosodimethylamine)의 간 독성을 계기로 독성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었다.
식품 내 니트 로사민은 어디에서 검출되었는가? 아민 전구체의 경우 아미노산의 탈탄산 반응 또는 알데히드, 케톤의 아미노화 반응으로 생기는 바이오제닉 아민, 프롤린, 사르코신과 같은 아미노산, 콜린, 레시틴과 같은 인지질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8-11).식품 내 니트 로사민은 축산물 및 식육가공품, 수산물 및 어육가공품, 절임 식품, 발효과정을 거치는 맥주, 치즈 등에서 검출된 연구가 보고되어 있으며12-19) , 식품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함량이 변화하는 연구도 보고되었다17,20).
고무제 젖꼭지에 한하여 니트로사민에 대한 규제가 설정된 배경은 무엇인가? 식품 내 니트로사민은 식품 원재료와 가공식품 및 이들을 조리하는 과정에서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용기·포장식품에서의 니트로사민 분석연구는 제한적이다. 식품에 사용하는 용기·포장물질에서 니트로사민이 발견된 사례를 살펴보면 식육가공품을 포장하는 그물모양의 고무제 에서 햄으로 NDBA가 이행되기도 하였으며22) , 유아용 젖병 젖꼭지에서 NDMA와 NDBA를 비롯한 총 니트로사민이 30 ppb이상 검출되었다23) . 이에 따라 고무제 젖꼭지에 한하여 니트로사민에 대한 규제가 설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Scanlan, R.A., Issenberg, P.: N-nitrosamines in foods. CRC Crit. Rev. Food Technol., 5, 357-402 (1975). 

  2. Tricker A.R., Preussmann R.: Carcinogenic N-nitrosamines in the diet: occurrence, formation, mechanisms and carcinogenic potential. Mutat. Res., 259, 277-289 (1991). 

  3. Tricker A.R.: N-nitroso compounds and man: sources of exposure, endogenous formation and occurrence in body fluids. Eur J Cancer Prev., 6, 226-268 (1997). 

  4. Gray J.I., Dugan L.R.: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1975). 

  5. Rostkowska K., Zwierz K., Rozanski A., Moniuszko-Jakoniuk J., Roszczenko A.: Formation and metabolism of N-nitrosamines, Pol. J. Environ. Stud., 7, 321-325 (1998). 

  6. Wolff I.A., Wasserman A.E.: Nitrates, Nitrites, and Nitrosamines. Science, 177, 15-19 (1972). 

  7. Gangolli S.D., Brandt P.A. V. J. Feron, Janzowsky C., Koeman J.H., Speijers G.J.A., Spiegelhalder B., Walker R., Wishnok J.S.: Nitrate, nitrite and N-nitroso compounds. Eur. J. Pharmacol., 292, 1-38 (1994). 

  8. Wainright T.: The chemistry of nitrosamine formation: Relevance to malting and brewing. J. Inst. Brew., 92, 49-64 (1986). 

  9. Santos M.H.S.: Biogenic amines: their importance in food. Int. J. Food Microbiology, 29, 213-231 (1996). 

  10. Cappillas C.R., Colmenero F.J.: Biogenic amines in meat and meat products, Crit. Rev. Food Sci. Nutr., 44, 489-499 (2004). 

  11. Bulushi I.M.A., Poole S., Deeth H.C., Dykes G.A.: Biogenic amines in fish: roles in intoxication, spoilage, and nitrosamine formation-A Review, Crit. Rev. Food Sci. Nutr., 49, 369-377 (2009). 

  12. Gough T.A., Webb K.S., Coleman R.F.: Estimate of the volatile nitrosamine content of UK food. Nature, 272, 161-163 (1978). 

  13. Scanlan, R.A., Barbour, J.F., Hotchkiss, J.H., Libbey, L.M.: N-nitrosodimethylamine in beer. Food Cosmet. Toxicol., 18, 27-29 (1980). 

  14. Yamamoto M., Iwata R., Ishiwata H., Yamada T., Tanimura A.: Determination of volatile nitrosamine levels in foods and estimation of their daily intake in Japan. Food Chem. Toxicol., 22, 61-64 (1984). 

  15. Mavelle, T., Bouchikhi, B., Debry, G.: The occurrence of volatile N-nitrosamines in French foodstuffs. Food Chem., 42, 321-338 (1991). 

  16. Mitacek E.J., Brunnemann K.D., Suttajit M., Martin N., Limsila T., Ohshima H., Caplan L.S.: Exposure to N-nitroso compounds in a population of high liver cancer regions in Thailand: Volatile nitrosamine (VNA) levels in Thai food. Food Chem. Toxicol., 37, 297-305 (1998). 

  17. Yurchenko S., Molder U.: The occurrence of volatile N-nitrosamines in Estonian meat products. Food Chem., 100, 1713-1721 (2007). 

  18. Jo, C.H., Park, H.R., Kim, D.S., Lee, K.H., Kim, M.H.: Exposure assessment of N-nitrosamines in foods. Food Sci. Biotechnol., 5, 541-548 (2010). 

  19. Park J.E., Seo J.E., Lee J.Y., Kwon H.J.: Distribution of Seven N-nitrosamines in food. Toxicol. Res., 31, 279-288 (2015). 

  20. Li L, Wang P., Xu X., Zhou G.: Influence of various cooking methods on the concentrations of volatile N-nitrosamines and biogenic amines in dry-cured sausages. J. Food Sci., 77, 560-565 (2012). 

  21. Korea Agro-Fisheries and Food Trade Corporation: Food industry and issues outlook part 4. (2016). 

  22. Pensabene J.W., Fiddler W., Gates R.A.: Nitrosamine formation and penetration in hams processed in elastic rubber nettings: N-nitrosodibutylamine and N-Nitrosodibenzylamine. J. Agric. Food Chem., 43, 1919-1922 (1995). 

  23. Sen N.P., Kushwaha S.C., Seaman S.W., Clarkson S.G.: Nitrosamines in baby bottle nipples and pacifiers: Occurence, migration, and effect of infant formulas and fruit juices on in vitro formation of nitrosamines under simulated gastric conditions. J. Agric. Food Chem., 33, 428-433 (1985). 

  24. Hotchkiss J.H., Vecchio A.J.: Analysis of direct contact paper and paperboard food packaging for N-nitrosomorpholine and Morpholine. J. Food Sci., 48, 240-242 (1983). 

  25. Seo J.E.: Method development for determining seven N-nitrosamines and its application to agricultural food products. Maste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2016). 

  26.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food utensils, containers and packages. 2014-27 (2014). 

  27.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Guidelines on migration test from containers and packages (2013). 

  28. Seo J.E., Park J.E., Lee J.Y., Kwon H.J.: Determination of seven N-nitrosamines in agricultural food matrices using GC-PCI-MS/MS. Food Anal. Methods, 9, 1595-1605 (2016). 

  29. Park J.E., Seo J.E. Lee J.Y., Kwon H.J.: Distribution of seven N-nitrosamines in food. Toxicol. Res., 31, 279-288 (2015). 

  30. Bai X., Byun B.Y., Mah J.H.: Formation and destruction of biogenic amines in Chunjang (a black soybean paste) and Jajang (a black soybean sauce). Food Chem., 141, 1026-1031 (2013). 

  31. Garcia-mata M., Bosch-bosch N., Perez-rodriguez M.L.: Effect of cooking on nitrate in dehydrated soups. Int. J. Food Sci. Technol., 30, 45-48 (1995). 

  32. Tricker A.R., Siddiqi M., Preussmann R.: Occurrence of volatile N-nitrosamines in dried chillies. Cancer Lett., 38, 271-273 (1988). 

  33. Gough T.A., Goodhead K.: Occurrence of volatile nitrosamines in spice premixes. J. Sci. Food Agri., 26, 1473-1478 (19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