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를 이용한 서울시 행복지수 분석 및 예측을 위한 실험 및 고찰
Forthcoming Big Data in Smart Cities: Experiment for Machine Learning Based Happiness Estimation in Seoul City 원문보기

Journal of KIBIM = 한국BIM학회논문집, v.7 no.1, 2017년, pp.28 - 35  

신동윤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  송유미 (성균관대학교 미래도시융합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ities have complex system composed diverse activities. The activities in cities have complex relationship that creates diverse urban phenomena. Big Data is emerging technology in order to understand such complex network.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such relations by analysing the diverse c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지표들 간의 상관관계 학습을 통하여 대상 지표의 미래 예측 방법에 대해 실험하는 것이다. 실험의 구체적인 방법은, 미리 설정된 28개의 다양한 도시 지표 사이의 상관관계를 정의하고 그 지표 중 하나인 “행복지수”를 예측해 보고 그 정확성을 파악해 보는 것이다.
  • 본 연구의 핵심은 복잡하게 얽혀있는 도시의 다양한 현상에 대한 인과관계 혹은 상관관계를 빅데이터 관점에서 정의해 보고, 그 결과를 머신 러닝 도구를 이용하여 학습하고 예측하여 정확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특히 전문가의 직관에 의존하는 기본의 방법에서 벗어나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통하여도시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이해하려는 시도로 그 의의가 있다.
  • 이 연구는 도시환경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발생하는 이러한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를 그 내용으로 한다. 도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행위들 간의 관련성 혹은 인과 관계 등을 파악하고 이를 기계 학습을 통하여 예측을 하는 방법에 대한 실험과 그 효용성에 대한 고찰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가설 설정

  • (b) Determine Influence 노드에¡서 행정구역별 지표 간의 가중치를 구하게 된다.
  • 이 연구의 출발은 도시에서 일어나는 여러 복잡한 행위들 간의 지표들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고 따라서 28개의 한정된 지표들만으로도 매우 효과적으로 도시의 현상에 대한 이해와 예측을 할 수 있다는 가정(Boyd, 2012)을 가지고 실험을 시작 하였다.
  • 첫째로 학습을 위해 유추된 상관관계 가중치 값이 연도별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과, 둘째로 근본적으로 데이터의 정확성 혹은 일관성이 높지 않다는 것을 가정해 볼 수 있다. 사용된 지표의 대부분이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이에 조사환경의 변화가 발생하는 설문조사의 특성상 다년에 걸친 조사가 실시된 환경의 일관성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의 도시 연구에 대한 새로운 시도는 무엇을 정의하나? 최근의 도시 연구에 대한 새로운 시도는 도시에서 발생하는 행위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도시의 현상의 상관관계를 정의하는 것이다. The Real Time City(Kitchin 2014a, 201b)와 같은 프로젝트는 도시의 수많은 지표들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하여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빅데이터로 불리는 방대해진 데이터 해석 기술과 함께 대두되는 기술들은? , 2015). 그와 동시에 인공지능, 머신 러닝, 혹은 딥 러닝이라고 불리는 데이터 분석의 자동화를 위한 방법이 그 핵심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Najafabadi, M. M.
도시는 무엇인가? 도시는 인간의 정치, 경제, 사회 활동이 종합적으로 발현되는 무대이면서 인간이 만든 가장 복잡한 시스템 중 하나일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빠른 도시화와 함께 스마트 시티와 같은 새로운 개념에 대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oyd, D., Crawford K. (2012). Critical questions for big data: Provocations for a cultural, technological, and scholarly phenomenon.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15(5): 662-679. 

  2. Gilks, W. R., Thomas A., Spiegelhalter D. J. (1994). A language, program for complex Bayesian modelling. The Statistician: 169-177. 

  3. Hampton, Strasser C. A., Tewksbury J. J., Gram W. K., Budden A. E., Batcheller A. L., Duke C. S., Porter J. H. (2013). Big data and the future of ecology.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11(3): 156-162. 

  4. Jagadish H., Gehrke J., Labrinidis A., Papakonstantinou Y., Patel J. M., Ramakrishnan R., Shahabi C. (2014). Big data and its technical challenges. Communications of the ACM 57(7): 86-94. 

  5. Kitchin, R. (2014). a. The real-time city? Big data and smart urbanism. GeoJournal 79(1): 1-14. 

  6. Kitchin, R. (2014). b. Making sense of smart cities: addressing present shortcomings.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rsu027. 

  7. Klinkenberg, R. (2013). RapidMiner: Data mining use cases and business analytics applications, Chapman and Hall/CRC. 

  8. Kolmogorov, V., Zabih R. (2001). Computing visual correspondence with occlusions using graph cuts. Computer Vision, 2001. ICCV 2001. Proceedings. Eigh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9. Montgomery, J. (2008). The new wealth of cities: city dynamics and the fifth wave, Ashgate Publishing, Ltd. 

  10. Najafabadi, M. Najafabadi M. M., Villanustre F., Khoshgoftaar T. M., Seliya N., Wald R., Muharemagic E. (2015). Deep learning applications and challenges in big data analytics. Journal of Big Data 2(1): 1. 

  11. Shin, D., Aliaga D., Tuncer B., Arisona S. M., Kim S., Zund D., Schmitt G. (2015). Urban sensing: Using smartphones for transportation mode classification.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53: 76-86. 

  12. Stark, O., Taylor J. E., Yitzhaki S. (1988). Migration, remittances and inequality: A sensitivity analysis using the extended Gini index.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28(3): 309-3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