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냉장실의 온도 변동 편차가 과채류의 항산화 지표 및 어육류의 저장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fluctuation in a refrigerator on antioxidative index and storage qualities of various food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0 no.2, 2017년, pp.133 - 141  

박희정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명주 (삼성전자 냉장고 전문기술Lab) ,  이혜란 (배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신선 식품군의 저장 온도의 변동편차에 따른 항산화 지표와 신선도 품질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어육류에서는 $-0.3{\pm}0.8^{\circ}C$, $-0.6{\pm}2.3^{\circ}C$, $-1.5{\pm}4.4^{\circ}C$의 조건에서 수분 손실, 지질산패도 등을 분석하였고, 과채류에서는 $0.7{\pm}0.6^{\circ}C$, $1.2{\pm}1.4^{\circ}C$, $1.6{\pm}2.8^{\circ}C$ 조건에서 수분 손실,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항산화능, DPPH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소고기와 연어는 14일, 체리는 9일, 로메인은 7일 동안 저장 후 실험하였다. 소고기는 온도편차가 $4.0^{\circ}C$ 이상인 조건에서 수분 손실량이 가장 많았으며, 미생물도 온도 편차${\pm}4.0^{\circ}C$ 이상인 조건에서 가장 활발히 증식하였다. 지질의 과산화도는 저장 기간이 길어 질수록 과산화물가가 증가하였지만, 온도 편차 조건 별로 차이가 없었다. 연어의 경우는 조건 별 수분 손실량의 차이는 없었으며, 지질 과산화도는 온도 편차가 ${\pm}4.0^{\circ}C$ 이상인 조건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로메인과 체리 시료 모두에서 수분보유량은 $0.7{\pm}0.6^{\circ}C$ 저장 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체리의 경우 $0.7{\pm}0.6^{\circ}C$ 저장 조건에서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5), 로메인의 경우, 폴리페놀 함량이 $0.7{\pm}0.6^{\circ}C$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유지되었다 (p < 0.05). DPPH 활성은 초기 대비 7일차에 $0.7{\pm}0.6^{\circ}C$ > $1.2{\pm}1.4^{\circ}C$ > $1.6{\pm}2.8^{\circ}C$의 순서로 활성이 저하되었다. 이는 저장 온도와 독립적으로 저장 온도의 변동 편차가 식품의 신선도 및 품질 유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temperature-fluctuation with freshness quality in various foods. Method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cherries and romaine lettuce during storage at $0.7{\pm}0.6^{\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축 후 사후 강직 3~4일 후의 육류 (한우) 부위를 별도로구매한 후, 샘플링하여 H&E staining을 통해 냉장 온도가근섬유단백질의 자기소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장 온도 요인과 별개로 변동편차 요인을 설정하여 보관기간에 따른 항산화지표 및 품질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육류, 어류, 과일류, 채소류 등의 다양한 신선 식품군을 이용하여 미세한 정온 조건에서의 식재료의 신선도 유지능, 항산화 활성도와 항산화 성분의 보존능을 측정하고 저장조건에 따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소비자가 실제 섭취까지의 최적 보관 조건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신선 식품군의 저장 온도의 변동 편차에 따른 항산화 지표와 신선도 품질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어육류에서는 -0.
  • 그러나, 일반 소비자들은 신선 식재료 구매 후 바로 섭취하는 경우 보다는 보통 2~7일 정도의 보관 기간을 거친 후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에 가정 내 보관 기간 동안 식품 품질을 유지시키는 최적 저장 조건을 찾는 것은 주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장 기간 및 저장 온도의 변동 편차에 따른 다양한 식재료의 저장 중 품질 변화를 살펴보았다. 저장 온도 편차에 따른 육류 신선도 분석 시 본 연구에서는 육즙 손실률이 5% 이상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장 온도 요인과 별개로 변동편차 요인을 설정하여 보관기간에 따른 항산화지표 및 품질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육류, 어류, 과일류, 채소류 등의 다양한 신선 식품군을 이용하여 미세한 정온 조건에서의 식재료의 신선도 유지능, 항산화 활성도와 항산화 성분의 보존능을 측정하고 저장조건에 따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소비자가 실제 섭취까지의 최적 보관 조건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 최근 보급되고 있는 가정용 냉장고는 2~4℃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저장 시 온도 변동폭을 최소화하여 제품 신선도 및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팀은 선행연구를 통해 저장 온도 조건 차이가 비교적 세밀한 1, 3, 4℃ 에서의 저장 기간에 따른 항산화 성분의 유지능을 분석하였고, 저장 온도에 따라 항산화 성분의 손실률이 달라짐을 보고하였다.4 그러나 온도 조건과 온도 변동 편차 조건이 혼합 설정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육류의 저장 온도에 따른 제품 신선도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저장 온도에 따른 제품 신선도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미생물 증식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며, 육류, 생선류, 과일류, 채소류 등 다양한 식재료에서 저장 기간 및 저장 온도가 증가될수록 미생물의 증식이 활발해짐을 보고하였다.8-10 Jung 등8의 연구에서는 저장온도가 높거나 온도 편차가 심할 경우 도미의 근단백질 분해가 빨리 나타나 도미의 신선도가 저하됨을 보고하였고, 소고기를 실험재료로 이용한 Kwon 등9의 연구에서는 5oC에서 일정하게 보관할 경우 저장 일수에 따라 육즙손실 및 미생물 증식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Durmaz등10의 연구에서는 육제품을 4oC 및 21oC에서 보관 시, 저장온도에 상관없이 저장 시간에 따라 리스테리아균 (Listeria monocytogenes)이 증식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식품의 냉장의 효과는 무엇인가? 식품의 냉장은 미생물의 생육이나 각종 화학반응 및 수분 손실 등이 억제되어 식품의 품질을 유지시킬 수 있는 단기 저장법이다. 냉장 보관은 식품의 신선도 유지뿐만 아니라 식품의 유통기한을 증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식품업체에서는 상품별 최적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콜드체인 (cold chain) 시스템을 통해 신선식품이 상온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입고부터 출고까지 식품의 안전한 유통을 위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는 등의 냉장 유통을 강화하고 있다.
냉동 보관 중 식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냉장 보관은 식품의 신선도 유지뿐만 아니라 식품의 유통기한을 증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식품업체에서는 상품별 최적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콜드체인 (cold chain) 시스템을 통해 신선식품이 상온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입고부터 출고까지 식품의 안전한 유통을 위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는 등의 냉장 유통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냉장 보관 중이라도 저장 시간, 냉장 온도 조건은 냉장 중에서 일어나는 식품의 품질변화인 지질 산화, 단백질 변성, 비타민 파괴, 악취 생성 및 어육류의 자가분해, 미생물의 생육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되고있으며,1-6 냉동 보관 조건에서도 저장 온도의 변동 편차는냉동조건 시 얼음의 재결정 크기 및 결정 수에 영향을 미쳐냉동 식품의 식품 품질을 저하시킨다고 알려져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Hall MK, Jobling JJ, Rogers GS. Influence of storage temperature on the seasonal shelf life of perennial wall rocket and annual garden rocket. Int J Veg Sci 2013; 19(1): 83-95. 

  2. Henry HA, Juarez JD, Field CB, Vitousek PM. Interactive effects of elevated CO2, N deposition and climate change on extracellular enzyme activity and soil density fractionation in a California annual grassland. Glob Chang Biol 2005; 11(10): 1808-1815. 

  3. Koukounaras A, Siomos A, Sfakiotakis E. Postharvest CO2 and ethylene production and quality of rocket (Eruca sativa Mill.) leaves as affected by leaf age and storage temperature. Postharvest Biol Technol 2007; 46(2): 167-173. 

  4. Park HJ, Lee MJ, Lee HR. Vitamin C and antioxidant capacity stability in cherry and romaine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J Nutr Health 2016; 49(1): 51-58. 

  5. Nielsen T, Bergstrom B, Borch E. The origin of off-odours in packaged rucola (Eruca sativa). Food Chem 2008; 110(1): 96-105. 

  6. Shin PG, Chang AC, Hong SC, Lee KS, Lee KH, Lee YB. Changes of rice storage proteins affected by dry and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Environ Agric 2008; 27(4): 456-459. 

  7. Martino MN, Zaritzky NE. Ice recrystallization in a model system and in frozen muscle tissue. Cryobiology 1989; 26(2): 138-148. 

  8. Jung DS, Kweon MR, Auh JH, Cho KY, Choi YH, Kook SU, Park KH. Effects of temperature and fluctuation range on microbial growth and quality of foods stored in domestic refrigerator.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6; 28(4): 632-637. 

  9. Kwon KH, Kim JH, Kim BS, Cha HS, Kim JY, Kim SH.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beef during storage using cold chain containers. Korean J Food Preserv 2015; 22(6): 788-795. 

  10. Durmaz H, Sagun E, Sancak H, Sagdic O. The fate of two Listeria monocytogenes serotypes in 'cig kofte' at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Meat Sci 2007; 76(1): 123-127. 

  11. Llorach R, Martinez-Sanchez A, Tomas-Barberan FA, Gil MI, Ferreres F. Characterisation of polypheno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ive lettuce varieties and escarole. Food Chem 2008; 108(3): 1028-1038. 

  12. Ferretti G, Bacchetti T, Belleggia A, Neri D. Cherry antioxidants: from farm to table. Molecules 2010; 15(10): 6993-7005. 

  13. Park WB, Kim DS. Changes of contents of ${\beta}$ -carotene and vitamin 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juice of angelica keiskei Koidz stored at different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5; 27(3): 375-379. 

  14. Choi HG, Kang NJ, Moon BY, Kwon JK, Rho IR, Park KS, Lee SY. Changes in fruit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depending on ripening levels, storage temperature, and storage periods in strawberry cultivars. Korean J Hort Sci Technol 2013; 31(2): 194-202. 

  15. Cordenunsi BR, Genovese MI, Oliveira do Nascimento JR, Hassimotto NM, dos Santos RJ, Lajolo FM.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ree strawberry cultivars. Food Chem 2005; 9(1): 113-121. 

  16. Rahman MS, Al-Rizeiqi MH, Guizani N, Al-Ruzaiqi MS, Al- Aamri AH, Zainab S. Stability of vitamin C in fresh and freezedried capsicum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J Food Sci Technol 2015; 52(3): 1691-1697. 

  17. Saini RK, Shang XM, Ko EY, Choi JH, Keum YS. Stability of carotenoids and tocopherols in ready-to-eat baby-leaf lettuce and salad rocket during low-temperature storage. Int J Food Sci Nutr 2015; 67(5): 489-495. 

  18. Verkerk R, Schreiner M, Krumbein A, Ciska E, Holst B, Rowland I, De Schrijver R, Hansen M, Gerhauser C, Mithen R, Dekker M. Glucosinolates in Brassica vegetables: the influence of the food supply chain on intake, bioavailability and human health. Mol Nutr Food Res 2009; 53 Suppl 2: S219. 

  19. Santos J, Mendiola JA, Oliveira MB, Ibanez E, Herrero M. Sequential determination of fat- and water-soluble vitamins in green leafy vegetables during storage. J Chromatogr A 2012; 1261: 179-188. 

  20. Slinkard K, Singleton VL. Total phenol analysis: automation and comparison with manual methods. Am J Enol Vitic 1977; 28: 49-55. 

  21. Nabavi SM, Ebrahimzadeh MA, Nabavi SF, Hamidinia A, Bekhradnia AR.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Parrotia persica Mey. Pharmacol 2008; 2: 560-567. 

  22.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 181(4617): 1199-1200. 

  23. Lee KH, Kim KS, Kim MH, Shin SR, Yoon KY. Studies on the softening of strawberry during circulation and storage: (1) changes of cell wall components, protein and enzymes during ripen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8; 27(1): 29-34. 

  24. Kim JY, Kim JH, Lim GO, Jang SA, Song KB. Effect of combined treatment of ultraviolet-c with aqueous chlorine dioxide or fumaric acid on the postharvest quality of strawberry fruit "Flamengo"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1): 138-145. 

  25. Choi MG, Chung HS, Moon KD.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materials on maintenance of quality of solidago virgaurea spp. gigantea in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Korean J Food Preserv 2008; 15(6): 804-809. 

  26. Park JE, Kim HM, Hwang SJ. Effect of harvest time, precooling, and storage temperature for keeping the freshness of 'Maehyang' strawberry for export. Prot Hortic Plant Fact 2012; 21(4): 404-410. 

  27. Sirocchi V, Devlieghere F, Peelman N, Sagratini G, Maggi F, Vittori S, Ragaert P. Effect of Rosmarinus officinalis L. essential oil combined with different packaging conditions to extend the shelf life of refrigerated beef meat. Food Chem 2017; 221: 1069-1076. 

  28. Gram L, Ravn L, Rasch M, Bruhn JB, Christensen AB, Givskov M. Food spoilage--interactions between food spoilage bacteria. Int J Food Microbiol 2002; 78(1-2): 79-97. 

  29. Dainty RH, Mackey B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enotypic properties of bacteria from chill-stored meat and spoilage processes. Soc Appl Bacteriol Symp Ser 1992; 21: 103S-114S. 

  30. Yim DG, Jo C, Kim HC, Seo KS, Nam KC. Application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combined with aging for improvement of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quality of beef loin. Korean J Food Sci Anim Resour 2016; 36(2): 215-222. 

  31. Sallam KI, Samejima K.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quality of ground beef treated with sodium lactate and sodium chlorid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Lebenson Wiss Technol 2004; 37(8): 865-871. 

  32. Limbo S, Torri L, Sinelli N, Franzetti L, Casiraghi E. Evaluation and predictive modeling of shelf life of minced beef stored in highoxygen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at different temperatures. Meat Sci 2010; 84(1): 129-136. 

  33. Witte VC, Krause GF, Bailey ME. A new extraction method for determining 2-thiobarbituric acid values of pork and beef during storage. J Food Sci 1970; 35(5): 582-585. 

  34. Brewer MS, Harbers CA. Effect of packaging on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ound pork in long-term frozen storage. J Food Sci 1991; 56(3): 627-631. 

  35. Hong IJ, Lee JK, Koo SJ. Screening and prevention of the mutagenicity for fishes according to cookery and storage. Korean J Soc Food Sci 2000; 16(6): 652-662. 

  36. Yang Z, Wang H, Wang W, Qi W, Yue L, Ye Q. Effect of 10 MeV E-beam irradiation combined with vacuum-packaging on the shelf life of Atlantic salmon fillets during storage at $4^{\circ}C$ . Food Chem 2014; 145: 535-541. 

  37. Shumilina E, Slizyte R, Mozuraityte R, Dykyy A, Stein TA, Dikiy A. Quality changes of salmon by-products during storage: assessment and quantification by NMR. Food Chem 2016; 211: 803-811. 

  38. Kim JY, Lee CR, Cho KY, Lee JH, Lee KT. Antioxidative and Lp-PLA2 inhibitory activities in 29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Preserv 2009; 16(4): 512-517. 

  39. Goncalves B, Landbo AK, Knudsen D, Silva AP, Moutinho-Pereira J, Rosa E, Meyer AS. Effect of ripeness and postharvest storage on the phenolic profiles of Cherries (Prunus avium L.). J Agric Food Chem 2004; 52(3): 523-530. 

  40. Serrano M, Diaz-Mula HM, Zapata PJ, Castillo S, Guillen F, Martinez-Romero D, Valverde JM, Valero D. Maturity stage at harvest determines the fruit quality and antioxidant potential after storage of sweet cherry cultivars. J Agric Food Chem 2009; 57(8): 3240-3246. 

  41. Kim JG. Fresh-cut market potential and challenges in Far-East Asia. Acta Hortic 2007; 746: 3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