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일랜드 '주택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사용자 혜택 특성 연구
User Benefit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Homes in Ireland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6 no.2 = no.121, 2017년, pp.72 - 82  

이연숙 (연세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  안소미 (백석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학과) ,  현지원 (연세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  박재현 (연세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 world population is rapidly ageing and the disabled population is expected to age seriously as well. The concern about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is increased largely not just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nd service but the housing planning wher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everyday lif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공간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지원성을 설명한 Murtha & Lee의 사용자혜택이론을 분석틀로 활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일랜드의「주택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환경적 지원의 특성을 보다 명확히 정리하여, 미래 새로운 주택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 결과는 고령자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주택 내에서의 활동이 수월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주거환경계획의 특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아일랜드의 「주택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는 ‘사회적 용이성’에 대한 특징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한국의 인구변화에 대응할 수있도록 주택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고령화를 비롯한 인구변화를 대비한 선진사례로, 시간의 변화에 따라 거주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주며, 유연성을 갖춘 주택 설계를 위하여 제공된 아일랜드의「주택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혜택이론의 4가지 주개념을 기준으로 아일랜드의 「주택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 라인」이 사용자에게 어떠한 환경적 혜택을 지원하는지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가이드라인 항목들의 비중은 ‘생리적 유지’>‘지각적 유지’>‘행동의 용이성’>‘사회적 용이성’ 순으로 나타났는데, ‘생리적 유지’와 ‘지각적 유지’, ‘행동의 용이성’이 고르게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이드라인에 내재되어 있는 특징, 즉 공간이 거주자에게 어떠한 혜택을 주도록 계획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자혜택 이론을 활용하여 주거환경의 지원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개별 주택의 전반적 차원뿐만 아니라, 각각의 공간별로 중시되고 있는 공간의 혜택들을 파악하였다.
  • 이를 위해 고령화를 비롯한 인구변화를 대비한 선진사례로, 시간의 변화에 따라 거주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주며, 유연성을 갖춘 주택 설계를 위하여 제공된 아일랜드의「주택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일랜드 주택의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이 미래 인구의 고령화를 대비하여 거주자를 위해 어떠한 특성을 강조하였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간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지원성을 설명한 Murtha & Lee의 사용자혜택이론을 분석틀로 활용하였다.
  • 전반적으로 아일랜드의 「주택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은 고령자에 초점을 맞춘 관점에서 ‘생리적 유지’의 개념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지각적 유지’, ‘행동의 용이성’ 특성을 중심으로 정립되었음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건축 환경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혜택들과 특정 공간들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가설 설정

  • 10) 또한, 많은 노인들이 현재의 집에서 가능한 한 오래 보낼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으며, 자신의 집에서 노년을 보내는 것은 노인에게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독립성과 자주성의 혜택을 준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여겨지고 있다.11) 이때 일상에서 노인과 장애인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요구를 지원해 줄 수 있는 주택 계획에 유용하게 적용할수 있는 개념이 유니버설디자인이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1990년 미국 로널드 메이스가 제창한 개념으로 장애유무, 연령, 성별, 국적에 상관없이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 건축, 환경 디자인을 의미하는데,12) 특정한 사람이 아닌 모든 사람들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적 기능과 정신적 기능이 변하게 됨으로, 세계의 고령화와 함께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니버설 디자인이란? 11) 이때 일상에서 노인과 장애인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요구를 지원해 줄 수 있는 주택 계획에 유용하게 적용할수 있는 개념이 유니버설디자인이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1990년 미국 로널드 메이스가 제창한 개념으로 장애유무, 연령, 성별, 국적에 상관없이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 건축, 환경 디자인을 의미하는데,12) 특정한 사람이 아닌 모든 사람들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적 기능과 정신적 기능이 변하게 됨으로, 세계의 고령화와 함께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13) 국내의 주택과 관련된 유니버설 디자인 연구는 초기에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성 검토를 위한 문헌조사 및 설문조사들이 이루어져왔고,14) 2000년에 들어서, 외국의 유니버설 디자인 관련법과 우리나라의 경우를 비교한 연구들이 나타났는데, 황경원·신경주(2000)15) 는 미국의 유니버설 디자인 관련법과 규칙을 살펴보고, 한국의 적용 방향을 제안하였다.
아일랜드의「주택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이 가지는 의의는? 일반적으로 정부에 의해 마련된 가이드라인은 주로 공공의 영역에 해당하는 시설이나 건물에 집중되어있거나, 공공 지원 임대주택주택에 대한 지침에 그치고 있다. 이에 반해, 아일랜드의 경우는 일반 주택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정부에 의해 마련되고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의를 지닌다. 즉공공이 사적인 영역의 주택이 질적으로 어떠한 수준으로 지어져야 하는가를 제시한 것으로서 이전 시대에는 볼 수 없는 획기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약자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나 지방자치기관의 노력은? 3%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3) 이러한 노인 및 장애인의 증가에 따라, 최근 정부나 지방자치기관에서는 사회적 약자를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장애인 복지법(2017),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2016),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2016) 등을 개정하여 다양한 제도적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이들을 지원하는 시설이 증가하고 있다.4) 이들 고령자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그동안 공공시설이나 복지시설, 또는 사회복지서비스의 관점에 초점을 두어 왔으나, 개별 주택에서의 복지로 그 관심이 전환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raubach, M. & Power, A, Housing Conditions and Risk: Reporting on a European Study of Housing Quality and Risk of Accidents for Older People, Journal of Housing for the Elderly, 2011 

  2. Center for Universal Design,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Raleigh, NC: Center for Universal Design.,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1997 

  3. Centre for Excellence in Universal Design. Universal Design Guideline for Home in Ireland, Centre for Excellence in Universal Design&National disability authority, 2015 

  4. Putnam, M, Moving from separate to crossing aging and disability service networks, Aging and disability: Crossing network line, New York, 2007 

  5. Wan, H. & Daniel, G. & Paul, K, International Population Report, An Aging World, 2015 

  6. 강미희, 홍현진, 어린이도서관 이용자편익과 이용자 특성간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3권, 1호, 2012 

  7. 국토해양부, 장애인주거실태조사, 2010 

  8. 권오정, 하해와,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주택의 욕실계획, 대한가정학회지, 제42권, 3호, 2004 

  9. 김민경, 남윤옥, 포괄적 주택개념에 기초한 장애인 및 노인주거 계획요소,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17권, 4호, 2011 

  10. 류효진, 문정민, 치유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주거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제21권, 2012 

  11. 박명숙, 남영신, 한국과 일본의 노인복지제도에 관한 비교연구, 유라시아연구, 제17권, 1호, 2010 

  12. 박혜선, 한혜련, 한옥공간의 환경심리적 요소 고찰을 통한 현대 주거공간의 힐링적 제안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권, 1호, 2013 

  13. 보건복지부,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 연구원, 2014 

  14. 신유리, 김경미, 유동철, 김동기, 장애인의 나이 들어감의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비판사회정책, 제50권 6호, 2016 

  15. 안소미,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주거건축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논문, 1998 

  16. 오찬옥, 국민주택규모의 아파트 주거환경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2권, 3호, 2013 

  17. 유서연, 이연숙, 인간중심적인 주거환경계획을 위한 실내 디자인지침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24권, 2호, 2004 

  18. 윤가영, 이연숙, 안창헌, 일본의 서비스 복합형 노인주택 최근 개발사례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제1권, 5호, 2013 

  19. 이연숙, 실내환경심리행태론, 연세대학교, 1998 

  20. 이연숙, 안소미, 임수현, 총체적 건강을 위한 건축 공간계획의 실험적 복합이론 구축연구, 한국생태환경학회지, 제10권 1호, 2010 

  21. 이연숙, 장미선, 박지영, 지체장애인 맞춤형 주택 디자인가이드라인의 사용자혜택 분석, 한국주거학회지, 제26권, 6호, 2015 

  22. 이연숙, 안소미, 박재현, 사용자혜택이론에 따른 신혼.육아가구맞춤형 주택계획가이드라인의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5권, 5호, 2016 

  23. 이예구, 이연숙, 안창헌, 사용자이득 기준에 의거한 도시한옥의 건강특성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지, 제9권, 4호, 2010 

  24. 이현철, 정강화, 도시공원의 적용 가능한 유니버설디자인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1권, 5호, 2010 

  25. 이호성, 최찬환, 이특구, 무장애 주택설계에 관한 국내외 국가표준의 비교 연구-현관, 침실, 거실을 중심으로,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제16권, 1호, 2010 

  26. 임예지, 윤혜경, 박예완, 이연숙, 대중매체를 통해 본 노인요양 시설 공간 환경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3권, 1호, 2011 

  27. 정광태, 송복희, 신현봉, 윤한경,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청년층과 노인층의 깊이인식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제23권, 3호, 2004 

  28. 조영행,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따른 부산시민공원 보행 환경 평가, 대한건축학회지, 제18권, 1호, 2016 

  29. 주거복지연구단, 취약계층을 위한 주거복지, 연세대학교, 2016 

  30. 차승화, 사용자이득기준에서 조명된 국내 부엌디자인의 현대화 과정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지, 제8권, 4호, 2008 

  31.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0-2060년, 2011 

  32. 한균, 권순정, 고령사회에 대응한 고령자주택의 계획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제19권, 2호, 2013 

  33. 홍현진, 강미희, 어린이발달을 지원하는 어린이도서관 공간기준:이용자 편익기준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제27권, 2호, 2010 

  34. 황경원, 신경주, 한국 노인주택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위한 기초연구, 한국노년학연구, 제20권, 3호,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