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누적적인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인지 및 언어발달의 관계에서 온정적 양육방식과 일상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Warm Parenting Style and Daily Activity between Cumulative Parenting Stress and Child Development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3 no.2, 2017년, pp.149 - 164  

이형민 (한경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parenting style and daily activ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umulative parental stress and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54 mothers, their five-year-old children,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제까지의 선행 연구들은 각각의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으며 이 두 변인을 모두 고려한 연구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양육스트레스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자녀의 생애초기부터 누적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양육방식과 일상에서의 활동을 통한 상호작용의 매개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누적적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의 발달(인지 및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온정적인 양육방식과 일상적인 상호작용의 매개적인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PKSC) 1차년도에서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1,154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 어머니의 누적적인 양육스트레스, 온정적 양육방식, 일상적 상호작용이 아동의 인지 및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는 에 제시하였다.
  • 어머니의 누적적인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인지 및 언어 발달 간의 관계에 있어서 온정적 양육방식과 일상적인 상호작용의 매개적인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우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일상적인 상호작용의 매개적인 역할이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eater-Deckard와 Scarr(1998)에 의한 양육스트레스의 네 가지는 상황은? Deater-Deckard와 Scarr(1998)는 다음의 네 가지의 상황이 다른 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를 구분 하는 개념임을 밝혔다. 첫째, 스트레스 경험에 있어서 아동 개인 혹은 부모 역할이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경우, 둘째, 부모가 아동의 행동이나 아동을 양육하는 동안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서 이를 스트레스로 평가 혹은 규정하는 경우, 셋째, 스트레스의 영향 정도에 따라서 그 대처 방식이나 정도가 달라질 경우, 넷째, 양육스트레스가 부모와 아동의 삶에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에 이를 양육 스트레스로 개념화가 가능하다.
양육으로 인한 일상적 다툼이나, 생활 사건을 중심으로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는 경우 어떤 장단점이 있는가? , 2005; Mathis & Bierman, 2015)하는 것과 질문지를 통하여 부정적인 생활 사건 빈도의 총합을 산출하여 스트레스로 측정(Sarason, Johnson, & Siegel, 1978)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양육으로 인한 일상적 다툼이나, 생활 사건을 중심으로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는 경우에 좀 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하여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PSI만큼 전반적인 양육스트레스를 알아볼 수는 없으며 부모에게 초점이 덜 맞추어 있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있다(Harmeyer, Ispa, Palermo, Carlo, 2016).
자녀와의 상호작용의 빈도가 낮다는 것이 왜 아동의 인지와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 자녀와의 상호작용의 빈도가 낮다는 것이 왜 아동의 발달 중 인지와 언어발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인지는 부모-자녀 상호작용 과정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아동은 부모와 정서적으로, 물리적으로 함께하는 동안 지식을 습득하고 함께 일상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식을 학습하게 되고 이는 이후의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만 5세에는 게임의 규칙을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고, 역할놀이에 있어서도 다양한 주제와 즉흥적인 배역의 설정 등과 같이 아동이 주도하는 활동이 증가하는 때이다. 그러므로 이때 아동에게 의미있는 타인인 부모와의 상호작용은 Vygotsky가 언급한 바와 같이 부모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아동의 잠재수준에 도달 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권정윤, 김은희 (2014). 통제적인 어머니의 놀이 상호작용과 아동의 반응. 아동교육학논집, 18(6), 333-361. 

  2. 김금주 (2000). 영아-어머니 상호작용 유형과 영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기현, 강희경 (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5(5), 141-150. 

  4. 김말경, 박혜원 (2008). 모의 양육행동 및 양육 스트레스와 K-BSID-2 수행간의 관계: 양육 스트레스의 중재효과 탐색. 아동학회지, 29(1), 243-255. 

  5. 김미숙, 문혁준 (2005). 아동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효능감과 양육 행동과의 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3(8), 25-35. 

  6. 김미옥 (2007). 영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관한 단기 종단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은설, 장혜진, 김문정, Susan Walker (2011). 영유아기 자녀 부모 특성별 부모교육 강화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8. 김은화 (2012). 영유아의 생활시간 및 부모-자녀 공유시간 실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현령, 류수민 (201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가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방식의 매개효과. 아동교육학논집, 19(2), 193-209. 

  10. 도남희, 민정원, 왕영희, 이예진, 김소아, 엄지민 (2014). 한국아동패널 2013.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1. 민현숙, 문영경 (2013).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과 영아의 발달 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22(1), 43-56. 

  12. 박명희, 서봉언, 김민영 (2015). 부모 소득 및 학력이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언어 및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부모양육태도와 교사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시아아동복지연구, 13(1), 37-54. 

  13. 방경숙 (2000). 영아기 어머니역할 교육 프로그램이 모아상호작용과 영아발달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엄선희 (1999).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오정순 (2012). 영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양육 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생애학회지, 2(2), 51-65. 

  16. 이기숙, 손수연 (2012). 한국.중국.일본.대만 유아의 일상생활 비교. 유아교육연구, 32(2), 49-71. 

  17. 이영미 (2011). 유아의 일상생활, 자녀양육과 어머니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유진 (2009). 영아의 조기 의사소통능력과 어휘발달 간 관계 및 조기 의사소통능력이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열린아동교육연구, 14(1), 143-165. 

  19. 이종숙, 신은수, 박은혜, 김영태, 유영의, 최일선 등 (2009). 영.유아 언어, 인지, 사회, 정서 발달 평가도구 개발. 아동교육학논집, 13(4), 269-290. 

  20. 임순화, 박선희 (2010).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녀수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영아의 표현 어휘 발달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251-278. 

  21. 조복희, 이진숙, 이홍숙, 권희경 (1999). 한국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37(10), 123-133. 

  22. 최효식, 윤해옥, 연은모 (2016).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긍정적 양육태도, 아동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 관계에 대한 단기 종단연구: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아동교육학논집, 20(2), 495-517. 

  23. 황성은, 황지은 (2015).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 간의 인과적 종단관계 분석. 아동학회지, 36(4), 163-176. 

  24.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보건, 19(1), 161-177. 

  25.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26. Abidin, R., Jenkins, C., & McGaughey, M. (1992). The relationship of early family variables to children's subsequent behavioral adjustmen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1), 60-69. 

  27. Anthony, L. G., Anthony, B. J., Glanville, D. N., Naiman, D. Q., Waanders, C., & Shaffer, S. (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ur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problems in the classroom.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2), 133-154. 

  28. Bayley, N. (1969).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NY: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29.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30. Belsky, J., Woodworth, S., & Crnic, K. (1996). Troubled family interaction during childhood.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8(3), 477-495. 

  31. Collins, W. A., Madsen, S. D., & Susman-Stillman, A. (2002). Parenting during middle childhood.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Children and parenting (pp. 103-133).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2. Conger, R. D., Patterson, G. R., & Ge, X. (1995). It takes two to replicate: A mediational model for the impact of parents' stress on adolescent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6(1), 80-97. 

  33. Crnic, K. A., Gaze, C., & Hoffman, C. (2005). Cumulative parenting stress across the preschool period: Relations to maternal parenting and child behaviour at age 5.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2), 117-132. 

  34.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35. Crnic, K. A., & Low, C. (2002). Everyday stresses and parenting.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in parenting: Practical issues in parenting (pp. 243-267). Mahwaw, NJ: Erlbaum. 

  36. Cummings, E. M., Davies, P. T., & Campbell, S. B. (2000).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and family process: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implications. NY: Guilford Press. 

  37. Deater-Deckard, K., & Scarr, S. (1996). Pareenting stress among dual-earner mothers and fathers: Are there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1), 45-59. 

  38. Deater-Deckard, K., & Scarr, S. (1998). Parenting stress and child adjustment: Some old hypotheses and new questions.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5(3), 314-332. 

  39. Harmeyer, E., Ispa, J. M., Palermo, F., & Carlo, G. (2016). Predicting self-regulation and vocabulary and academic skills at kindergarten entry: The role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other-child closenes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7, 153-164. 

  40. Jackson, A. P. (2000). Maternal self-efficacy and children's influence on stress and parenting among single black mothers in poverty. Journal of Family Issues, 21(1), 3-16. 

  41. Karrass, J., Van Deventer, M., & Braungart-Riker, J. (2003). Predicting shared parent-child book reading in infanc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7(1), 134-146. 

  42. Kline, R. B. (2013).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Y: The Guilford Press. 

  43. Magyary, D., Brandt, P., Hammond, M., & Barnard, K. (1992). School age follow-up of the development of preterm infants: Infant and family predictors. In S. L. Friedman & M. D. Sigman (Eds.),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low-birth weight children: Annual advance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pp. 215-237). Norwood, NJ: Ablex. 

  44. Masten, A., & Coatsworth, J. (1998).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favorable and unfavorable environments: Lessons from research on successful children. American Psychologist, 53(2), 205-220. 

  45. Mathis, E. T., & Bierman, K. L. (2015). Dimensions of parenting associated with child prekindergarten emotion regulation and attention control in low-income families. Social Development, 24(3), 601-620. 

  46. McBride, B. B., & Mills, G. (1994). A comparison of mother and father involvement with their preschool age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4), 457-477. 

  47. McCarthy, D. (1972). McCarthy Scales of Children's Abilities. NY: Psychological Corporation. 

  48. Murray, L., Hipwell, A., Hooper, R., Stein, A., & Cooper, P. (1996).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5 year-old children of postnatally depressed mother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7(8), 927-935. 

  49. Pianta, R. C., Nimetz, S. L., & Bennett, E. (1997). Mother-child relationships,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school outcomes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3), 263-280. 

  50. Pinderhughes, E. E., Dodge, K. A., Bates, J. A., Pettit, G. S., & Zelli, A. (2000). Discipline responses: Influence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ethnicity, beliefs about parenting, stress, and cognitive-emotional process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4(3), 380-400. 

  51. Rowe, M. L., & Goldin-Meadow, S. (2009). Early gesture selectively predicts later language learning. Developmental Science, 12(1), 182-187. 

  52. Sarason, I. G., Johnson, J. H., & Siegel, J. M. (1978). Assessing the impact of life changes: Development of the life experiences surve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6(5), 932-946. 

  53. Webster-Stratton, C. (1990). Stress: A potential disruptor of parent perceptions and family interactions. Special issue: The stresse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4), 302-312. 

  54. Yeo, K. J., & Teo, S. L. (2013). Child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between employed mothers and at home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90, 895-90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