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생존자를 위한 심리교육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for Cancer Survivo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2, 2017년, pp.143 - 163  

박진희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배선형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of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for cancer survivors. Methods: Ten databases were searched. Two reviewers independently performed the selection of the studies, data extraction and assessment. The risk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985년 이후부터 최근 2016년까지 실시된 암생존자를 위한 심리교육중재의 심리사회적 효과에 대한 무작위대조군실험연 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분석을 하여 심리교육중재의 효과를 규명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암생존자에게 실시된 심리교육중재 연구들을 통합하고 분석하기 위해 실시한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암생존자를 대상으로 심리교육중재에 대한 국내외 무작위대조군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심리교육중재가 심리사회적 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크기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리교육중재는 암생존자의 삶의 질, 대처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불안, 우울 및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암생존자는 영국 Macmillan Cancer Support [19]의 정의에 따르면 암 진단 후 생존해 있는 모든 사람 중 말기암 환자를 제외한 사람들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병기 I, II, III의 암진단을 받고, 수술과 항암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요법 등의 주 치료가 종료된 만 19세 이상의 환자 중 전이나 재발이 없는 자를 의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암생존자를 위한 심리교육중재 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선별된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고, 메타분석을 시행하여 심리교육중재의 심리사회적 결과변수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와 각 중재유형별 효과크기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 최근 근거중심실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암생존자의 삶의 질 증진 및 적응을 위한 근거중심간호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각각의 중재의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암생존자의 심리적 스트레스나 삶의 질, 혹은 적응을 위한 심리교육중재의 효과에 대한 학술지 게재 논문을 수집, 분석, 종합하여 포괄적이고 객관적인 결론을 도출하기 위하여 체계적 고찰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암생존자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건강증진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중재요소와 방법을 규명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리교육중재의 장점은 무엇인가? 심리교육중재는 약물요법 이상으로 암환자의 증상관리에서 효과가 증명되고 있으며 암치료가 종료된 후 다시 일상생활로의 복귀시 적응력을 증진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증명되면서 많은 중재 연구들이 시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심리교육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연구들이 실시되었으나 이들 연구들을 보면 암환자의 증상관리[11, 14]나 생존기간[13]에 대한 효과만을 파악하거나, 전이된 여성암환자[15], 전립선암환자[16], 여성암환자[17], 유방암환자[10]를 대상으로 한 연구만으로 국한되었으며 암생존자를 대상으로 한 심리교육중재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피부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18]만 확인되는 등 암생존자의 디스트레스 관리와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심리교육중재에 대한 고찰은 미비한 실정이다.
심리교육중재의 정의는 무엇인가? 심리교육중재는 “대상자의 요구도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고 문제해결능력 및 대처기술을 향상시키고 감정을 표현하도록 지지하며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치료적 접근”으로 정의된다[12]. Barsevick 등[12]에 의하면 심리교육중재는 상담 및 심리요법(counseling or psychotherapy), 행동요법(behavioral therapy), 교육 및 정보제공(education or information),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및 기타(심리사회적 성격을 가진 치료적 접근) 등으로 구분되는 중재법으로 암환자가 신체적, 심리적 문제들을 이겨낼 수 있는 긍정적인 힘을 가지고 어려움을 겪더라도 극복가능하고 적응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보와 대처기술을 증진시키고 스스로 자가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재법이다.
심리교육중재의 결과변수로 삶의 질이 가장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심리교육중재의 결과변수는 삶의 질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심리적 디스트레스, 우울, 불안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치료와 중재에 따른 환자의 예후개선을 평가하는 최종결과변수로 삶의 질이 주요하게 고려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10]. 한편 심리사회적 결과를 측정한 도구의 사용빈도를 분석한 결과, 다른 심리사회적 결과변수와 달리 삶의 질의 경우 일반적인 삶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보다 질병특이성 속성이 반영된 도구들의 사용빈도가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shing KT, Miller AM. Assessing the utility of a telephonically delivered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to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frican American breast cancer survivors: A pilot trial. Psycho-Oncology. 2016;25(2):236-238. http://dx.doi.org/10.1002/pon.3823 

  2. Ashing-Giwa KT. Enhancing physical well-being and overall quality of life among underserved Latina-American cervical cancer survivors: Feasibility study. Journal of Cancer Survivorship. 2008;2(3):215-223. http://dx.doi.org/10.1007/s11764-008-0061-2 

  3. Bjorneklett HG, Lindemalm C, Ojutkangas ML, Berglund A, Letocha H, Strang P,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support group intervention on the quality of life and fatigue in women after primary treatment for early breast cancer. Supportive Care in Cancer. 2012;20(12):3325-3334. http://dx.doi.org/10.1007/s00520-012-1480-1 

  4. Bower JE, Crosswell AD, Stanton AL, Crespi CM, Winston D, Arevalo J, et al. Mindfulness meditation for younger breast cancer survivo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ancer. 2015;121(8):1231-1240. http://dx.doi.org/10.1002/cncr.29194 

  5. Branstrom R, Kvillemo P, Moskowitz JT. A randomized study of the effects of mindfulness train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ymptoms of stress in patients treated for cancer at 6-month follow-up.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012;19(4):535-542. http://dx.doi.org/10.1007/s12529-011-9192-3 

  6. Classen CC, Kraemer HC, Blasey C, Giese-Davis J, Koopman C, Palesh OG, et al. Supportive-expressive group therapy for primary breast cancer patients: A randomized prospective multicenter trial. Psycho-Oncology. 2008;17(5):438-447. http://dx.doi.org/10.1002/pon.1280 

  7. Crane-Okada R, Kiger H, Sugerman F, Uman GC, Shapiro SL, Wyman-McGinty W, et al. Mindful movement program for older breast cancer survivors: A pilot study. Cancer Nursing. 2012;35(4):E1-E13. http://dx.doi.org/10.1097/NCC.0b013e3182280f73 

  8. Dolbeault S, Cayrou S, Bredart A, Viala AL, Desclaux B, Saltel P, et al. The effectiveness of a psycho-educational group after early-stage breast cancer treatment: Results of a randomized French study. Psycho-Oncology. 2009;18(6):647-656. http://dx.doi.org/10.1002/pon.1440 

  9. Germino BB, Mishel MH, Crandell J, Porter L, Blyler D, Jenerette C, et al. Outcomes of an uncertainty management intervention in younger African American and Caucasian breast cancer survivors. Oncology Nursing Forum. 2013;40(1):82-92. http://dx.doi.org/10.1188/13.onf.82-92 

  10. Hershman DL, Greenlee H, Awad D, Kalinsky K, Maurer M, Kranwinkel G, et 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clinicbased survivorship intervention following adjuvant therapy in breast cancer survivors.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13;138(3):795-806. http://dx.doi.org/10.1007/s10549-013-2486-1 

  11. Hoffman CJ, Ersser SJ, Hopkinson JB, Nicholls PG, Harrington JE, Thomas PW. Effectiveness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in mood, breast- and endocrine-related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in stage 0 to III breast canc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2;30(12):1335-1342. http://dx.doi.org/10.1200/jco.2010.34.0331 

  12. Jang S. Effects of meditation program on power,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3;22(3):205-215. http://dx.doi.org/10.12934/jkpmhn.2013.22.3.205 

  13. Lengacher CA, Shelton MM, Reich RR, Barta MK, Johnson-Mallard V, Moscoso MS, et al.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MBSR(BC)) in breast cancer: Evaluating fear of recurrence (FOR) as a mediator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s in a randomized control trial (RCT).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014;37(2):185-195. http://dx.doi.org/10.1007/s10865-012-9473-6 

  14. Lepore SJ, Helgeson VS. Psychoeducational support group enhances quality of life after prostate cancer. Cancer Research Therapy and Control. 1999;8:81-91. 

  15. Lerman R, Jarski R, Rea H, Gellish R, Vicini F. Improving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of female cancer survivor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12;19(2):373-378. http://dx.doi.org/10.1245/s10434-011-2051-2 

  16. Loprinzi CE, Prasad K, Schroeder DR, Sood A. Stress management and resilience training (SMART) program to decrease stress and enhance resilience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A pilot randomized clinical trial. Clinical Breast Cancer. 2011;11(6):364-368. http://dx.doi.org/10.1016/j.clbc.2011.06.008 

  17. Marcus AC, Garrett KM, Cella D, Wenzel L, Brady MJ, Fairclough D, et al. Can telephone counseling post-treatment improve psychosocial outcomes among early stage breast cancer survivors? Psycho-Oncology. 2010;19(9):923-932. http://dx.doi.org/10.1002/pon.1653 

  18. May AM, Korstjens I, van Weert E, van den Borne B, Hoekstra-Weebers JE, van der Schans CP, et al. Long-term effects on cancer survivors' quality of life of physical training versus physical training combined with cognitive-behavioral therapy: Results from a randomized trial. Supportive Care in Cancer. 2009;17(6):653-663. http://dx.doi.org/10.1007/s00520-008-0519-9 

  19. Meneses K, McNees P, Azuero A, Loerzel VW, Su X, Hassey LA. Preliminary evaluation of psychoeducational support interventions on quality of life in rural breast cancer survivors after primary treatment. Cancer Nursing. 2009;32(5):385-397. http://dx.doi.org/10.1097/NCC.0b013e3181a850e6 

  20. Meneses KD, McNees P, Loerzel VW, Su X, Zhang Y, Hassey LA. Transition from treatment to survivorship: Effects of a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on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Oncology Nursing Forum. 2007;34(5):1007-1016. http://dx.doi.org/10.1188/07.onf.1007-1016 

  21. Mishel MH, Germino BB, Gil KM, Belyea M, Laney IC, Stewart J, et al. Benefits from an uncertainty management intervention for African-American and Caucasian older long-term breast cancer survivors. Psycho-Oncology. 2005;14(11):962-978. http://dx.doi.org/10.1002/pon.909 

  22. Miyashita M. A randomized intervention study for breast cancer survivors in Japan: Effects of short-term support group focused on possible breast cancer recurrence. Cancer Nursing. 2005;28(1):70-78. http://dx.doi.org/10.1097/00002820-200501000-00011 

  23. Napoles AM, Ortiz C, Santoyo-Olsson J, Stewart AL, Gregorich S, Lee HE, et al. Nuevo Amanecer: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community-based, peer-delivered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to improve quality of life in Latinas with breast cancer.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5;105(Suppl 3):e55-e63. http://dx.doi.org/10.2105/ajph.2015.302598 

  24. Nelson EL, Wenzel LB, Osann K, Dogan-Ates A, Chantana N, Reina-Patton A, et al. Stress, immunity, and cervical cancer: Biobehavioral outcomes of a randomized clinical trial [corrected]. Clinical Cancer Research. 2008;14(7):2111-2118. http://dx.doi.org/10.1158/1078-0432.ccr-07-1632 

  25. Osei DK, Lee JW, Modest NN, Pothier PK. Effects of an online support group for prostate cancer survivors: A randomized trial. Urologic Nursing. 2013;33(3):123-133. http://dx.doi.org/10.7257/1053-816X.2013.33.3.123 

  26. Park JH, Bae SH, Jung YS, Kim KS. Quality of life and symptom experience in breast cancer survivors after participating in a psychoeducational support program: A pilot study. Cancer Nursing. 2012;35(1):E34-E41. http://dx.doi.org/10.1097/NCC.0b013e318218266a 

  27. Park K, Jun JS, Jung SY. The effects of Korean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symptoms, sleep and quality of life, in Korea breast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3;21(3):249-262. 

  28. Penedo FJ, Dahn JR, Molton I, Gonzalez JS, Kinsinger D, Roos BA, et al. Cognitive-behavioral stress management improves stress-management skills and quality of life in men recovering from treatment of prostate carcinoma. Cancer. 2004;100(1):192-200. http://dx.doi.org/10.1002/cncr.11894 

  29. Rottmann N, Dalton SO, Bidstrup PE, Wurtzen H, Hoybye MT, Ross L, et al. No improvement in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following psychosocial cancer rehabilitation. A randomised trial. Psycho-Oncology. 2012;21(5):505-514. http://dx.doi.org/10.1002/pon.1924 

  30. Siddons HM, Wootten AC, Costello AJ. A randomised, waitlist controlled trial: Evaluation of a cognitive-behavioural group intervention on psycho-sexual adjustment for men with localised prostate cancer. Psycho-Oncology. 2013;22(10):2186-2192. http://dx.doi.org/10.1002/pon.3273 

  31. Simpson JS, Carlson LE, Beck CA, Patten S. Effects of a brief intervention on social support and psychiatric morbidity in breast cancer patients. Psycho-Oncology. 2002;11(4):282-294. http://dx.doi.org/10.1002/pon.565 

  32. Traeger L, Penedo FJ, Benedict C, Dahn JR, Lechner SC, Schneiderman N, et al. Identifying how and for whom cognitive-behavioral stress management improves emotional wellbeing among recent prostate cancer survivors. Psycho-Oncology. 2013;22(2):250-259. http://dx.doi.org/10.1002/pon.2074 

  33. Willems RA, Bolman CA, Mesters I, Kanera IM, Beaulen AA, Lechner L. Short-term effectiveness of a web-based tailored intervention for cancer survivors on quality of life, anxiety, depression, and fatigu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sycho-Oncology. 2017;26(2):222-230. http://dx.doi.org/10.1002/pon.4113 

  34. Yun YH, Lee MK, Bae Y, Shon EJ, Shin BR, Ko H, et al. Efficacy of a training program for long-term disease- free cancer survivors as health partn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Korea.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2013;14(12):7229-7235. http://dx.doi.org/10.7314/apjcp.2013.14.12.7229 

  35. Zhang H, Zhou Y, Cui Y, Yang J. The effectiveness of a rehabilitation programme for Chinese cancer survivors: A pilot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16;22(1):79-88. http://dx.doi.org/10.1111/ijn.12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