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진화론적 방법을 활용한 영성 개념분석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of Spiritualit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2, 2017년, pp.242 - 256  

고일선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최소영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김진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larify attribute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pirituality. Methods: Rodgers's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fifty seven studies from the literature related to spirituality as it appears in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of theology, medic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시간의 흐름을 분석할 수 있는 관련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검색기간은 2000년 1월부터 2015년 12월로 한정하였다. 검색기간을 2000년 이후로 지정한 이유는 1998년 국내에서 Kim과 Lee[18]의 영성 개념분석이 보고되어 그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성개념의 진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문화적 맥락은 우리나라에서의 영성개념사용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문헌의 경우 의학, 신학, 상담심리학, 사회복지학, 간호학 학술지에 게재된 문헌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 정보원(RISS), 보건연구정보센터(RICH) 등을 통해 ‘영성’, ‘영적 요구’, ‘영적 간호’를 검색어로 검색한 결과, 1차로 4,907개의 문헌이 추출되었다.
  • 본 연구는 시간의 흐름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는 Rodgers[25]의 진화론적 개념분석방법에 따라 영성의 속성, 선행요인, 결과를 도출하는 개념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성 개념분석을 통해 시간의 흐름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개념 정의를 명확히 하여 간호대상자의 영적 요구사정과 영적 간호중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의의는 Rodgers의 진화론적 방법에 따른 영성 개념분석을 통해 시간의 흐름과 사회 문화적 맥락을 반영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것과 새로이 추가된 영성의 속성, 선행요인, 결과를 확인하여 영성 개념의 진화를 파악한 것이다. 이는 간호교육에서 간호개념에 관심을 가질 때 그 개념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화할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 이와 관련하여 간호학에서 2000년 이전 국내외에서 시행된 영성의 개념분석 연구로 Burkhardt [9], Kim과 Lee [18], Howden [26]의 연구 3편을 찾아볼 수 있었으나 아직까지도 영성의 개념에 대한 합의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의 영성개념의 진화에 관심을 가지고 간호학, 의학, 신학, 상담심리학, 사회복지학 등을 중심으로 2000년 이후 문헌에 제시된 영성에 대한 개념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영성의 속성과 새롭게 대두되는 영성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Rodgers의 진화론적 개념분석방법에 따라 영성개념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넷째, 영성이 높으면 안녕감이 높을 것이다.
  • 다섯째, 영성이 높으면 이웃과 세상을 향해 열린 삶을 살 것이다.
  • 둘째, 개인이 선택한 종교활동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영성이 낮거나 영적 요구가 높을 것이다.
  • 둘째, 영성의 정의와 가설을 제시한다.
  • 둘째, 타인이나 이웃과 신뢰가 형성되면 영성이 높거나 영적 요구가 낮을 것이다.
  • 셋째, 영성이 높으면 자아실현이 잘 이루어질 것이다.
  • 셋째, 영성이 높으면 절대자 중심의 삶을 살 것이다.
  • 첫째, 개인이 삶의 의미와 목적을 명확하게 하면 영성이 높거나 영적 요구가 낮을 것이다.
  • 첫째, 개인이 절대자와 친밀한 관계를 맺게 되면 영성이 높거나 영적 요구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영성은 흔히 ‘종교’ 또는 ‘종교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종교는 ‘초월적인 존재인 절대자와 밀접한 관계를 촉진하기 위해 고안된 신념, 행위, 상징 등의 조직화된 체계’를 의미하며[4], ‘종교성’은 ‘종교적 몰입 또는 헌신을 표현하는 종교적 행동과 태도’를 의미한다[5]. 이러한 영성과 종교의 관계는 문화권마다 다르게 형성되어지는데, 예를 들어 한국인과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영성과 종교를 연관시키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일본인과 유럽계 미국인은 영성과 종교를 분리하여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3].
간호실무현장에서 영성이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 대상자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요구뿐만 아니라 영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는 전인적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실무현장에서 영성(spirituality)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1]. Nightingale[2]은 영성이란 모든 인간의 내재된 본성으로 회복과 치유의 가장 강력한 자원이라고 하였으며, 간호사가 환자의 회복과 치유를 돕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종교적 헌신과 영적 가치를 바탕으로 한 간호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영적 간호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러나 실무현장에서 간호사들은 영적 간호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복잡한 영성의 정의로 인해 영적 간호의 이해와 실천에 많은 혼란과 어려움이 있고 이를 실천하는 데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게 된다[24]. 따라서 영성의 개념적 속성을 규명하여 재정의하는 작업은 간호사가 간호대상자의 영적 요구를 이해하고 이를 충족시키는 데 도움을 주어 간호대상자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Rodgers [25]에 의하면 개념은 특정 맥락 안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적으로 발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어, 사용되는 의미가 점점 모호해지거나 또는 역사적 사건에 따라 변형되어지기도 하므로, 개념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맥락과 시간의 흐름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Park HJ. Spirituality of measuring tool development and the spirituality of catholic social welfare workers. Journal of Woori Theology. 2003;2:196-223. 

  2. Kim HJ. Historical research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pirituality. World and Word. 2007;21:46-98. 

  3. Kim SG. Religion, spirituality and health. Journal of Religion and Culture. 2010;15:45-79. 

  4. Yoon KH. A study on the meaning of the christian spirituality. Jinrinondan. 2000;5(4):81-94. 

  5. Lee MH. Psychiatry and spirituality: For the integration of psychotherapy and spiritual direction. Korea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2005;9:55-84. 

  6. Keel HS. Spiritual traditions east and west in today's world. Humanities Journal. 2007;21:271-300. 

  7. Park NK.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health and spirituality. Christian Cultural Studies. 2006;11:139-154. 

  8. Kwon YK.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of human interests. Theology and Ministry. 2009;31:77-100. 

  9. Yoo J. The tendency and outlook of spiritual research. Theology and Praxis. 2010;24(2):183-212. 

  10. Dein S. Spirituality, psychiatry and participation: A cultural analysis. Transcultural Psychiatry. 2005;42(4):526-544. http://dx.doi.org/10.1177/1363461505058909 

  11. Kim KH. The considerations for application of spirituality in the mental health field.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013;32(1):213-229. 

  12. Verghese A. Spirituality and mental health. Indian Journal of Psychiatry. 2008;50(4):233-237. http://dx.doi.org/10.4103/0019-5545.44742 

  13. Bessinger D, Kuhne T. Medical spirituality: Defining domains and boundaries. Southern Medical Journal. 2002;95(12):1385-1388. 

  14. King MB, Koenig HG. Conceptualising spirituality for medical research and health service provision.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09;9:116. http://dx.doi.org/10.1186/1472-6963-9-116 

  15. Cho SB, Kim SH. Development of a spirituality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2; 13(2):877-890. 

  16. Lee KY, Kim CH, Kim DW. Development of the spirituality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3;15(4):711-728. 

  17. Kim YH, Choi GJ, Kim SD. An analytic study on the trends of spiritually in Korea.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9;10(2):813-829. 

  18. Kim JS, Ahn SS, Han SY. The positive contribution of spirit.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2009;15(1):207-226. 

  19. Kang G. Psychometric analyses on spiritual experience index. Yonsei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2003;16(1):165-189. 

  20. Choi HR. Spiritual issues in counseling.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1;13(1):1-13. 

  21. Oh JY. Social work practice and spirituality. Korean Journal of Welfare Counseling. 2009;4(1):55-66. 

  22. Oh YS, Jung HT. Thoughts on spirituality and social welfare: With focus on the analysis of the concept. Spirituality and Social Welfare. 2013;1(1):107-123. 

  23. Tanyi RA. Towards clarification of the meaning of spiritualit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2;39(5):500-509.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2.02315.x 

  24. Oh PJ, Kang KA. Spirituality: Concep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5):1145-1155. 

  25. Chiu L, Emblen JD, Van Hofwegen L, Sawatzky R, Meyerhoff H.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concept of spirituality in the health science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04;26(4):405-428. http://dx.doi.org/10.1177/0193945904263411 

  26. Cohen MZ, Holley LM, Wengel SP, Rabbi Mendel K. A platform for nursing research on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Definitions and measure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2;34(6):795-817. http://dx.doi.org/10.1177/0193945912444321 

  27. Delgado C. A discussion of the concept of spirituality. Nursing Science Quarterly. 2005;18(2):157-162. http://dx.doi.org/10.1177/0894318405274828 

  28. Gall TL, Malette J, Guirguis-Younger M. Spirituality and religiousness: A diversity of definitions. Journal of Spirituality in Mental Health. 2011;13(3):158-181. http://dx.doi.org/10.1080/19349637.2011.593404 

  29. Gray J. Measuring spirituality: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Theory Construction and Testing. 2006;10(2):58-64. 

  30. Kang KA, Kim SJ, Song MK. Relationship of self-esteem, meaning in life, and spiritual well-be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9;15(4):343-349. http://dx.doi.org/10.4094/jkachn.2009.15.4.343 

  31. Kim CN, Song MO. A study on the spiritual wellbeing of the hospice patients.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003;17(2):255-265. 

  32. Kim Y, Kwon YS, Park KM.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uicidal risk, self-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6;17(1):112-124. 

  33. Kim JO, Ryoo EN, Ha EH. Loneliness and spiritual needs of the senior school elderly in a certain a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4):1721-1727. http://dx.doi.org/10.5762/KAIS.2012.13.4.1721 

  34. Lee ML. Concept analysis of spirituality in cancer patients: Focusing on christianity, buddhism, atheism and agnosticis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3;15(4):551-562. 

  35. Lee WH, Kim MS, Kim SH. A study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spiritual health inventory (SHI) for Korean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1;13(2):233-246. 

  36. Lydon-Lam J. Models of spirituality and consideration of spiritual assess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birth Education. 2012;27(1):18-22. 

  37. McBrien B. A concept analysis of spirituality.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06;15(1):42-45. http://dx.doi.org/10.12968/bjon.2006.15.1.20309 

  38. McEwan W. Spirituality in nursing: What are the issues? Orthopedic Nursing. 2004;23(5):321-326. 

  39. McEwen M. Analysis of spirituality content in nursing textbooks.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4;43(1):20-30. 

  40. Wi ES, Yong J. Distress, depression, anxiety, and spiritual needs of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4):314-322. http://dx.doi.org/10.5388/aon.2012.12.4.314 

  41. So H, Min HS. Spiritual wellbeing and life attitude of breast cancer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06;9(1):5-14. 

  42. Choi MH, Kim KH, Kim KO, Kim KS, Kim SK, Kim JS, et al. A study on needs for the aged'spiritual nursing care. The Chung-Ang Journal of Nursing. 2001;5(1):1-9. 

  43. Han SS. The nature of nursing and spirituality. The Journal of Research Institute for Hospice & Palliative Care. 2003;3:8-28. 

  44. Torskenaes KB, Baldacchino DR, Kalfoss M, Baldacchino T, Borg J, Falzon M, et al. Nurses' and caregivers' definition of spirituality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Malta and Norwa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5;23(1):39-53. http://dx.doi.org/10.1111/jonm.12080 

  45. Stephenson PS, Berry DM. Describing spirituality at the end of life.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5;37(9):1229-1247. http://dx.doi.org/10.1177/0193945914535509 

  46. Kim SN. Spirituality among physicians and nurses in metropolitan c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0;19(2):143-153. http://dx.doi.org/10.12934/jkpmhn.2010.19.2.143 

  47. Oh PJ, Chun HS, So WS. Spiritual assessment scale: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1;1(2):168-179. 

  48. Hadzic M. Spirituality and mental health: Current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Spirituality in Mental Health. 2011;13(4):223-235. http://dx.doi.org/10.1080/19349637.2011.616080 

  49. Han YM. Spiritual needs of hospice patient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0;3(1):39-48. 

  50. Min SY. Concept analysis of the spirituality.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1;13(2):59-67. 

  51. Sessanna L, Finnell D, Jezewski MA. Spirituality in nursing and health-related literature: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Holistic Nursing. 2007;25(4):252-262. http://dx.doi.org/10.1177/0898010107303890 

  52. Yun DK. Spiritual desires and spiritual formation. The Korea Theological Study Institute. 2012;158:233-258. 

  53. Lee HA. The spiritually sensitive social work practice. Church Social Work. 2003;1:183-206. 

  54. McSherry W. The principal components model: A model for advancing spirituality and spiritual care within nursing and health care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6;15(7):905-917.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648.x 

  55. Sung MH.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on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9;9(1):15-22. 

  56. Lee YE, Park HS, Son SK.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ing-being and attitude toward death in nursing students. Faith & Scholarship. 2007;12(3):195-232. 

  57. Puchalski CM. The role of spirituality in health care. Baylor University Medical Center Proceedings. 2001;14(4):352-3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