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암생존자의 행복감에 대한 진화론적 개념분석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of Korean Cancer Survivors' Happines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8, 2018년, pp.365 - 377  

조혜경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  송미순 (공주여자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암 생존자의 삶에서 경험하는 행복감을 진화론적 개념분석 방법을 통해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2000년 1월부터 2017년 9월까지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11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암 생존자의 행복감에서 나타나는 속성은 마음의 평정을 이루는 주관적 경험, 삶의 만족감과 안녕감을 위한 긍정적 마음, 작은 것의 소중함과 고마움을 깨닫게 되는 삶의 의미, 타인을 이해하고 도우며 더불어 살아가는 삶을 위한 관계형성이었다. 선행요인으로는 삶의 위기를 수용하고 현실에 대처하며 자기성찰과 환경적 지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결과요인은 내면의 힘이 증가하고, 사랑을 느끼며, 새로운 삶을 추구하고, 자기실현을 이루게 된다. 본 연구는 한국 암 생존자의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단계적 사정을 위한 기본틀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다학제적 융합프로그램을 통한 암 생존자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concept of happiness that would be experienced in life of Korean cancer survivors. The concepts of happiness were analyzed using the Rogers'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method for 11 papers satisfying the selection criteria, among domestic journals publ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에 이르러 행복은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가? 에피쿠로스는 행복을 육체적 고통이나 문제가 없는 쾌락이라고 정의하면서 이성적이고 합리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3]. 현대에 이르러 물질적 풍요는 행복을 계량화하고 서열화하면서 물질적 만족을 행복으로 보았으며, 개인의 주관적 가치관에 따라 만족감이 성취된 심리상태로 이해되고 있다.
신화에서 나타나는 행복이란? 행복에 대한 개념은 신화에서부터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진화되어 왔다. 신화에서 나타나는 행복은 천국에서의 삶이었고, 소크라테스는 자기성찰을 통해서 진정한 행복이 성취될 수 있다고 믿었으며, 아리스토 텔레스는 이상적인 목표를 지속적으로 지향하는 삶으로 보았다. 에피쿠로스는 행복을 육체적 고통이나 문제가 없는 쾌락이라고 정의하면서 이성적이고 합리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3].
암생존자라는 호칭이 생겨날 만큼 암 치료뿐 아니라 재활 등에 더욱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암생존자라는 호칭이 새로 생겨날 만큼 암 치료가 종료된 후에도 오랫동안 삶을 영위하고 있는 암환자에 대해 질병치료뿐만 아니라 재활 및 사회적 정신적 안녕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더 나아가 행복에 이르도록 하는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2]. 이는 질병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질병 이후의 삶을 보다 행복하고 충만하게 살고자 하는 바람이 대두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죽음의 문턱에서 살아 돌아와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암생존자의 행복에 대하여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Y. A. Kang. (2015). The Conditions of Happiness: Thinking on Happiness with Emmanuel Levinas. Research in Philosophy and Phenomenolog, 66, 1-25 

  2. M. R. Yun, M. S. Song (2013). A Qualitative Study on Breast Cancer Survivor's Experiences. Perspective in Nursing Science, 10(1), 41-51. 

  3. B. S. Hong. (2012). Humanistic reflection about happiness.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7, 6-34. 

  4. Costa, P. T. & McCrae, R. R. (1980). Influence of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on subjective well-being: happy and unhappy peop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8(4), 668. 

  5. Bradburn, N. M. (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Oxford, England: Aldine. 

  6.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7. Veenhoven, R. (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1), 1-34. 

  8. Lynbomirsky, S., & Lepper, H. S.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5, 137-155. 

  9. Yun M. R., Song M. S.(2013). A qualitative study on breast cancer survivors' experience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0(1, 41-51. 

  10. Lyubomirsky S, Tkach C, DiMatteo MR. (2006).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happiness and self-esteem. Social Indicators Research., 78(3), 363-404. 

  11. S, H. Kim. (2010). Understanding Cancer Survivorship and Its New Perspectives. Asian Oncology Nursing, 10(1), 19-29. 

  12. H. S. Byun, H. J. Park, J. Y. Kim. (2012). A Conceptual Analysis of Cancer Survivorship. Asian Oncology Nursing, 12(3), 237-245. 

  13. B. H. Seong & S. A. Yoon. (2010). Definition of happiness and its determinants. Journal of Brain Education. 9(6), 103-134. 

  14. Camp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New York: McGraw-Hill. 

  15. Ryff, C.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16. J. H. Park, D. w. Shin(2012). One Million Cancer Survivors, Health Care of Cancer Survivors. Health Policy Forum. 10(4), 66-72. 

  17. Walker L, Avant K. (2005).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4th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J Publishing. 

  18. Rodgers, B. L., Knafl, K. A. (2000).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hiladelphia : U. S. Publishing. 

  19. D. G. Gwon. (2016). Cancer is a gift that made us realize the importance of life [Internet]. Gyeonggi: A Monthly Cancer; 2016[cited 2016 August 17]. Available from: http://www.cancerline.co.kr/html/15355.html. 

  20. Dolan P, White M. P.(2007). How can measures of subjective well-being be used to inform public policy?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2(1), 71-85. 

  21. Diener E., Lucas R .E., Oishi S., Suh E. M.(2002) Looking up and looking down: Weighting good and bad information in life satisfaction judgment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8(4), 437-45. 

  22. K. J Hyun. (2004). An exploratory study of sources and themes of happiness among koreans: a longitudinal approach. Mental Health & Social Work. 18, 60-100. 

  23. M. H. Lee. (2013) A reconstruction for the family-related analytical concept, from the familism to the family-centrism. Jou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28, 359-393. DOI :10.17207/jstc.2013.11.28.359 

  24. Goodwin, P. J. (2005). Support groups in advanced breast cancer. Cancer, 1(104, 11 Suppl), 2596-2601. DOI : org/10.1002/cncr.21245 

  25. S. M. Lew.(2009). The corelation between the recent happiness phenomenon in Korea society and the concept of happiness in East Asian thought. Social Theory. 15, 267-95. 

  26. Doyle N. (2008). Cancer survivorship: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 62(4), 499-509. 

  27. H. K. Kang. (2017). Convergence Factors to Posttraumtic Growth in Female Urogenital Neoplasm Survivo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DOI : 10.15207/JKCS.2017.8.10.1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