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난임 환자에게 적용되는 온라인 기반 중재의 특성 및 효과 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of Online-based Intervention for Infertile Women: A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5 no.3, 2018년, pp.205 - 217  

김찬희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 ,  이선희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of online-based intervention for infertile women. Methods: We established the PICO (Participant-Intervention-Comparison-Outcome) strategy and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7 literatures retrieved from 3 elec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2), 난임 치료의 의미 있는 결과 지표인 생식기능, 임신율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지 않았다(Zillien, Haake, Fröhlich, Bense, & Souren, 2011). 따라서 본 연구는 여성 난임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되고 있는 온라인 기반 중재의 현황 및 특성을 살펴보고 중재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여성 난임 환자에게 적용된 온라인 기반 중재의 현황과 효과를 확인하고자 7개의 문헌을 선택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가장 최신의 연구결과를 반영한 체계적 문헌고찰로서, 여성 난임 환자에게 적용되고 있는 온라인 기반 중재의 방법에 대한 정리뿐만 아니라 중재의 효과 및 임신과 관련된 효과를 측정한 최초의 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온라인 기반 중재를 통한 생활습관의 개선은 임신의 기회를 증가시키고, 온라인 기반 난임 중재는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현재 다양하고 통합되지 않은 이질적인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 본 연구는 여성 난임 환자에게 적용되고 있는 온라인 기반 중재의 특성, 중재효과를 검증한 연구결과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여성 난임 환자에게 적용되고 있는 온라인 기반 중재의 특성과 효과를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온라인 기반 중재를 통한 생활 습관의 개선은 임신의 기회를 증가시켰다.
  • 본 연구는 여성 난임 환자에게 적용된 온라인 기반 중재의 현황과 효과를 확인하고자 7개의 문헌을 선택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가장 최신의 연구결과를 반영한 체계적 문헌고찰로서, 여성 난임 환자에게 적용되고 있는 온라인 기반 중재의 방법에 대한 정리뿐만 아니라 중재의 효과 및 임신과 관련된 효과를 측정한 최초의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고찰 방법으로 여성 난임 환자에게 적용되고 있는 온라인 기반 중재를 검색하기 위하여 인터넷을 활용한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문헌을 검색하였다. 국내의 경우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Koreamed를이용하여 2018년 9월 20일에 문헌을 검색하였고 국외의 경우, OVID-MEDLINE, OVID-EMBASE, Cochrane library를 이용하여 2018년 10월 11일에 문헌을 검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난임 환자에게 적용되고 있는 온라인 기반 중재의 특성 및 효과를 통합하여 정리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기반 중재가 수동적인 환자의 참여 유지를 도울 수 있는 이유는? 온라인 기반 중재의 접근의 용이성과 익명성은 난임 환자에게 있어 스스로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도와주며 정서적, 사회적 지지에 유용하다(Wright & Bell, 2003). 또한 환자 개개인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활발한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어 병원 방문을 통한 적극적인 중재 참여에 수동적인 환자들로 하여금 중재의 참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고(White & Dorman, 2001), 특히 환자의 행동이나 습관의 변화를 위한 중재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난임이란 무엇인가? 난임은 피임 없이 정상적으로 임신을 시도함에도 불구하고 1년 이내에 임신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으로(Yang & Yeo, 2017), 최근 운동부족과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변화에 따른 비만, 스트레스, 여성 경제활동의 활성화에 따른 결혼연령 지연 등의 원인으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다(Ahn, & Kim, 2017). 난임은 전 세계적으로 건강 증진을 위한 공중 보건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통계청(Statistics Korea, 2015)에 따르면 2017년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1.
난임이 최근에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난임은 피임 없이 정상적으로 임신을 시도함에도 불구하고 1년 이내에 임신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으로(Yang & Yeo, 2017), 최근 운동부족과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변화에 따른 비만, 스트레스, 여성 경제활동의 활성화에 따른 결혼연령 지연 등의 원인으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다(Ahn, & Kim, 2017). 난임은 전 세계적으로 건강 증진을 위한 공중 보건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통계청(Statistics Korea, 2015)에 따르면 2017년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arts, J. W., Van den Haak, P., Nelen, W. L., Tuil, W. S., Faber, M. J., & Kremer, J. A. (2012). Patient-focused internet interventions in reproductive medicine: A scoping review. Human Reproduction, 18(2), 211-227. https://doi.org/10.1093/humupd/dmr045 

  2. Ahn, I. S., & Kim, D. I. (2017). The study of infertility stress of female participating in Korean medicine pilot program for subfertility.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30(1), 56-67. https://doi.org/10.15204/jkobgy.2017.30.1.05 

  3. Blumenthal, J. A., Emery, C. F., Smith, P. J., Keefe, F. J., Welty-Wolf, K., Mabe, S., et al. (2014). The effects of a telehealth coping skills intervention on outcome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rimary results from the INSPIREII study. Psychosomatic Medicine, 76(8), 581-592. https://doi.org/10.1097/PSY.0000000000000101 

  4. Cousineau, T. M., Green, T. C., Corsini, E., Seibring, A., Showstack, M. T., Applegarth, L., et al. (2008). Online psychoeducational support for infertile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uman Reproduction, 23(3), 554-566. https://doi.org/10.1093/humrep/dem306 

  5. Domecq, J. P., Prutsky, G., Mullan, R. J., Hazem, A., Sundaresh, V., Elamin, M. B., et al. (2013).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s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98(12), 4655-4663. https://doi.org/10.1210/jc.2013-2385 

  6. Epstein, Y. M., Rosenberg, H. S,, Grant, T. V., & Hemenway, N. (2002). Use of the internet as the only outlet for talking about infertility. Fertility and Sterility, 78(3), 507-514. https://doi.org/10.1016/S0015-0282(02)03270-3 

  7. Gaeini, A. A., Satarifard, S., Mohamadi, F., & Choobineh, S. (2014). The effect of 12 weeks aerobic exercise on DHEAso4, 17OHProgestron concentrations, number of follicles and menstrual condition of women with PCOS. Hormozgan Medical Journal, 18(4), 298-305. 

  8. Gregersen, T. L., Green, A., Frausing, E., Ringbaek, T., Brondum, E., & Suppli Ulrik, C. (2016). Do telemedical interventions improv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PD?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11, 809-822. https://doi.org/10.2147/COPD.S96079 

  9. Haemmerli, K., Znoj, H., & Berger, T. (2010). Internet-based support for infertil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33, 135-146. https://doi.org/10.1007/s10865-009-9243-2 

  10. Higgins, J. P. T., & Green, S. (Eds.). (2011).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London: John Wiley & Sons. 

  11. Homan, G. F., Davies, M., & Norman, R. (2007). The impact of lifestyle factors on reproductive performance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those undergoing infertility treatment: A review. Human Reproduction Update, 13(3), 209-223. https://doi.org/10.1093/humupd/dml056 

  12. Kahlor, L. A., & Mackert, M. (2009). Perceptions of infertility information and support sources among female patients who access the Internet. Fertility and Sterility, 91(1), 83-90. https://doi.org/10.1016/j.fertnstert.2007.11.005 

  13. Kim, K. H., Kim, J. H., Lim, K. C., Lee, K. S., Jeong, J. S., Choe, M. A., et al. (2012). Quality assessment tools and reporting standards i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3), 221-230. https://doi.org/10.7586/jkbns.2012.14.3.221 

  14. Kim, Y. J., & Hwang, B. D. (2016). The infertility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n the obstetrics and gynecology specialized hospital and effect of pregnancy on the type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17(8), 318-326. https://doi.org/10.5762/KAIS.2016.17.8.318 

  15. Klonoff-Cohen, H., Chu, E., Natarajan, L., & Sieber, W. (2001). A prospective study of stress among women undergoing in vitro fertilization or gamete intra fallopian transfer. Fertility and Sterility, 76(4), 675-687. 

  16. Lane, M., Robker, R. L., & Robertson, S. A. (2014). Parenting from before conception. Science, 345(698), 756-760. https://doi.org/10.1126/science.1254400 

  17. Min, S. W., Kim, Y. H., & Cho, Y. R. (2008). Stress, depression and factors influencing on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2(1), 19-32. 

  18. Moura-Ramos, M., Gameiro, S., Canavarro, M. C., & Soares, I. (2012). Assessing infertility stress: re-examining the factor structure of the Fertility Problem Inventory. Human Reproduction, 27(2), 496-505. https://doi.org/10.1093/humrep/der388 

  19. Pasquali, R., Gambineri, A., Cavazza, C., Ibarra Gasparini, D., Ciampaglia, W., Cognigni, G. E., et al. (2011). Heterogeneity in the responsiveness to long-term lifestyle intervention and predictability in obese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European Journal of Endocrinology, 164(1), 53-60. https://doi.org/10.1530/EJE-10-0692 

  20. Rooney, K. L.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infertility. Dialogues in Clinical Neuroscience, 20(1), 41-47. 

  21. Sexton, M. B., Byrd, M. R., O'Donohue, W. T., & Jacobs, N. N. (2010). Web-based treatment for infertility-related psychological distress.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13(4), 347-358. https://doi.org/10.1007/s00737-009-0142-x 

  22. Starren, J., Tsai, C., Bakken, S., Aidala, A., Morin P., Hilliman C., et al. (2005). The role of nurses in installing telehealth technology in the home. Computers, Informatics, and Nursing, 23(4), 181-189. 

  23. Statistics Korea. (2015). Classified disease compensation and health care costs: 2004-2014 [Internet]. cited March 1, 2016,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DT_35001_A071311&conn_pathI2 

  24. Terzioglu, F., Turk, R., Yucel, C., Dilbaz, S., Cinar, O., & Karahalil B. (2016). The effect of anxiety and depression scores of couples who underwent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s on the pregnancy outcomes. African Health Sciences, 16(2), 441-450. https://doi.org/10.4314/ahs.v16i2.12 

  25. Tuil, W. S., Verhaak, C. M., Braat, D. D., de Vries Robbe, P. F., & Kremer, J. A. (2007). Empowering patients undergoing in vitro fertilization by providing Internet access to medical data. Fertility and Sterility, 88(2), 361-368. https://doi.org/10.1016/j.fertnstert.2006.11.197 

  26. Van Dijk, M. R., Koster, M. P. H., Willemsen, S. P., Huijgen, N. A., Laven, J. S. E., & Steegers-Theunissen, R. P. M. (2017). Healthy preconception nutrition and lifestyle using personalized mobile health coaching is associated with enhanced pregnancy chance. Reproductive Biomedicine Online, 35(4), 453-460. https://doi.org/10.1016/j.rbmo.2017.06.014 

  27. White, M., & Dorman, S. M. (2001). Receiving social support online: implications for health education. Health Education Research, 16(6), 693-707. https://doi.org/10.1093/her/16.6.693 

  28. Wright, K. B., & Bell, S. B. (2003). Health-related support groups on the internet: Linking empirical findings to social support and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heory.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8(1), 39-54. https://doi.org/10.1177/1359105303008001429 

  29. Yang, S. R., & Yeo, J. H. (2017). Effects of irrational parenthood cognition, post traumatic stress. Korean Society of Women Health Nursing, 23(2), 145-153. https://doi.org/10.4069/kjwhn.2017.23.2.145 

  30. Zillien, N., Haake, G., Frohlich, G., Bense, T., & Souren, D. (2011). Internet use of fertility patients: A systemic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and Endocrinology, 8(4), 281-2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