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의 융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the Influence of Grateful disposi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n Stress coping of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4, 2017년, pp.101 - 109  

조미경 (대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감사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간호학과와 비간호과 학생 336명으로, 통계자료는 t-test,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간호학과 학생들이 비간호과 학생에 비하여 감사성향, 생활만족도,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에 유의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2학년이 1학년보다 감사성향, 주관적 행복감, 스트레스 대처에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감사성향은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대처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스트레스 대처에 주 영향 요인은 정적 정서와 감사성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육과정이나 교과 외 활동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주관적 안녕감과 감사성향을 높여줄 수 있는 방안의 강화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grateful disposi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n stress coping of college students in the convergence society. The participants were 336 colleg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It was f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구나 이제 사회에서 한 사람의 성인으로 책임 있는 역할을 시작하는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 능력은 개인적 차원에서 뿐 아니라 그들이 속한 이웃, 지역사회의 안녕과 건강 모두에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자아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또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높이고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는데 감사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정을 통한 긍정적인 학교생활 적응과 스트레스 대처에 유용한 대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감사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을 융복학적 측면에서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결과, 간호학과 학생들의 감사성향과 주관적 안념감, 스트레스 대처 정도가 비간호과 학생들보다 높았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감사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이 스트레스 대처와 어떤 관계에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에 이들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대학생들 의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융복합 사회에서 일 대학 학생들의 감사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감사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이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리적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Lazarus와 Folkman[5]은 심리적 스트레스를 “개인이 가진 자원을 요구하거나 개인이 수용할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하며, 안녕을 위협한다고 평가되는 개인과 환경간의 특정한 관계”라고 정의하였고 스트레스와 부적응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인지적 평가와 대처방식이라는 스트레스 과정적 측면을 중시하였다. Coyne 등은 스트레스 대처를 “개인의 수용능력을 넘는 부담스러운 것으로 평가되는 특정한 외적 및 내적 요구를 다루려는 개인의 인지적이고 행동적인 노력”으로 정의하였다.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2가지 유형은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Lazarus와 Folkman[5]은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문제중심대처(problem-focused cop ing)와 정서중심대처(emotion-focused coping)로 구분하였다. 문제중심대처는 스트레스의 근원을 변화시키거나 없애기 위해 문제에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반응을 말하며 정서중심대처는 정서적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스트레스와 관련된 정서적 고통을 조절하는 반응을 말한다[8].
스트레스 대처행동은 어떻게 구분 가능한가?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관계는 개인의 적응 및 안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6,7]. Lazarus와 Folkman[5]은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문제중심대처(problem-focused cop ing)와 정서중심대처(emotion-focused coping)로 구분하였다. 문제중심대처는 스트레스의 근원을 변화시키거나 없애기 위해 문제에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반응을 말하며 정서중심대처는 정서적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스트레스와 관련된 정서적 고통을 조절하는 반응을 말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Understanding of Stress Science, Shinkwangpub, 1997. 

  2. G. S. Kim, G. J. Kwak, S. J. Kim, N. Y. Lim, S. B, Lim, Y. S. Ha, & S. H. Cho, Controlling Stress and Tension, Academya, pp. 23-24, 2009. 

  3. E. Y. Chin, S. S. So, M. I. Lee, Effect of Life Stress and Anger Expression in College Students on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 nce, Vol. 13, No. 8, pp. 409-418, 2015. 

  4. Y. S. Park, J. H. Kim, Daily Hassles, Self-Efficacy, and Stress Responses of Adult Learners of Distance Education in Digital Convergence Era-Based on RN-BSN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9, pp. 397-407, 2015. 

  5. Lazarus, R. S., &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984. in Seung-Ae Choi, HyunHee Chung. The Path analysis among Dyfunctional Attitude, Stress Perception, Coping Style and Stress related Disorder Variable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5, No. 2, pp. 353-366, 2004. 

  6. J. H. Kim, & J. H. Lee, The factors of Stress coping and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Research Institute in the Behavioral Science, Vol. 7, pp. 127-138, 1985. 

  7. J. W. Lee, K. H. Kang,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of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syste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5, No. 4, pp. 69-74, 2014. 

  8. J. K. Ko, T. Y. Yoon, & J. H. Park, The Effects of coping Style on Subjective Well-Being among Medical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 19, No. 3, pp. 225-233, 2007. 

  9. K. A. Ham, B. H. Byeon, S. M. Che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2, No. 6, pp. 2163-2176, 2011. 

  10. S. J. Kwon, K. H. Kim., & H. S. Lee.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Gratitude Questionnair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1, No. 1, pp. 177-190. 2006. 

  11. McCullough, M. E., Tsang, J., & Emmons, R. A. The Grateful Disposi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82, No. 1, pp. 112-127, 2002. 

  12. Emmons, R. A. & McCullough, M. E.(EBS.) The Psychology of Gratitude, New york: Oxford Univ. Press, 2004. 

  13. McCullough, M. E., Kilpatrick, S. D., Emmons, R. A., & Larson, D. B. Is Gratitude a Moral Affect? Psychological Bulletin, Vol. 127, No. 2, pp. 249-266, 2001. 

  14. Emmons, R. A., & McCullough, M. E. Counting blessings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84, No. 2, pp. 377-389, 2003. 

  15. Watkins, P. C., Woodward, K., Stone, T., & Kolt, R. L. Gratitude and happiness: Development of a measure of gratitude, and relationships with subjective well-being,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 31, pp. 431-451, 2003. 

  16. J. H. Noh, M. G. Lee, Why Should I be Thankful?: The Effects of Gratitude on Well-being in Individuals Under Stres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30, No. 1, pp. 159-183, 2011. 

  17. Andrews, F. M., & Withey, S. B.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s Perception of Life Quality, New York: Plnum, 1976. in Myoung-So Kim, Hye-Won Kim, Kyung-Ho Cha, Jee-Young Lim, & Young-seok Han. Elploration of the Structure of Happy Life and Development of the Happy Life Scale among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8, No. 2, pp. 415-442, 2003. 

  18. Diener, E. Happiness: The science of subjective well-being, Browse content, Noba, 2016. 

  19. B. S. Park, Compared the Quality of life of medica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and related factors, Gachon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1. 

  20. K. H. Cha,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Vol. 11, No. 3, pp. 321-337, 2004, 

  21. K. W. Kim, Y. H. Cho, Medication and Moder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Career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among Freshmen,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Vol. 18, No. 4, pp. 197-218. 2011. 

  22. Emmons, R. A., & McCullough, M. E. Counting blessings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 -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84, No. 2, pp. 377-389, 2003. 

  23. K. H. Lim, The Effects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Ego-Resilience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Science Institute, Vol. 41, No. 2, pp. 101-118. 2010. 

  24. J. S. Lee. Interactive effect of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on Subjective Well-being, Korea University, Master's thesis, 1991. 

  25. H. J. Hur, The Effect of Perfectionism on Subjective Well-being: Mediated by Inferiority,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4. 

  26. Toussaint, L., & Friedman, P. Forgiveness, Gratitude, and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of Affect and Beliefs, The Journal of Happiness Study, Vol. 10, pp. 635-654, 2009. 

  27. K. S. Ham, Relationship between Job Preparation Stress, Ego Resilienc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Sahmyook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4. 

  28. Wood, A. M., Joseph, S., & Lineley, P. A. Coping Style as a Psychological Resources of grateful people,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 26, pp. 1076-1093, 2007. 

  29. Y. J. Kim, Type of Coping with Stress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5, No. 3, pp. 29-39, 2014. 

  30. Folkman, S. & Moskowitz, J. T. Positive affect and other side of Coping. American Psychologist, Vol. 55, pp. 647-654,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