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 흡연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of Smoking Prevention Programs for Korea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18 no.2, 2017년, pp.27 - 42  

이혜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보건학과) ,  김혜경 (이화여자대학교 융합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moking prevention programs and their effectiveness for Korea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by us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Electronic searches were performed in RISS, NAL, DBPia, KISS u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의 흡연 예방을 위한 향후 프로그램에 대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의 흡연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각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난 15년간 국내 학령기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흡연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구경향 및 중재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의 흡연을 예방하기 위한 근거 중심 중재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 선행연구(김윤경 등, 2008; 박은옥, 2004; 박인혜 등, 2006)에 따르면 흡연태도는 비흡연자를 대상으로 하는 흡연예방 프로그램보다 흡연자를 대상으로 하는 금연 프로그램에 있어서 더욱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금연 프로그램이 아닌 비흡연자 대상 흡연예방 프로그램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흡연태도에 있어서 이러한 결과가 나왔으리라 생각된다.
  • 본 연구는 지난 15년간 국내 학령기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흡연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구경향 및 중재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에게 실시한 흡연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통합하여 학교 및 지역사회 실천현장에서 근거중심실천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증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PICOTS-SD에 기초하여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 대상 흡연예방 프로그램과 관련된 총 21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 흡연 예방 프로그램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흡연 예방 프로그램 연구의 중재 내용을 분석한다.

가설 설정

  • 흡연예방 프로그램의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하는 데 있어 각 연구들 간에 대상자 특성, 중재 특성 등에 따라 이질성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무선효과모형(Random-effect model)을 채택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Borenstein 등, 2009). 또한 각 프로그램별 효과크기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 표준편차, 표본크기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평균차이(Standardized mean difference)를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흡연은 어떤 위험행동의 예측 요인인가? 흡연은 선진국에서 암, 심혈관 질환 등 각종 예방 가능한 질병의 주요 위험요인이며,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평균적으로 약 6년 정도 조기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숙자와 정영호, 2013). 특히 아동 및 청소년의 흡연은 향후 성인기 흡연의 결정요인으로서, 성인 흡연자 중 80% 이상이 아동 및 청소년기에 흡연을 시작하였다고 보고했으며(전종설과 김진석, 2014), Kendler 등(2013)은 청소년기의 흡연이 평생의 중독적인 약물 사용, 우울증 및 기타 건강 위험행동의 예측 요인이라고 하였다. 아동 및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단계로서 이 시기에 흡연을 시작하면니코틴 중독에 더욱 쉽게 빠지게 되며, 성인이 되어 흡연을 시작한 사람보다 금연이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Pirozzi와 Scholand, 2012).
아동 및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특히 아동 및 청소년의 흡연은 향후 성인기 흡연의 결정요인으로서, 성인 흡연자 중 80% 이상이 아동 및 청소년기에 흡연을 시작하였다고 보고했으며(전종설과 김진석, 2014), Kendler 등(2013)은 청소년기의 흡연이 평생의 중독적인 약물 사용, 우울증 및 기타 건강 위험행동의 예측 요인이라고 하였다. 아동 및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단계로서 이 시기에 흡연을 시작하면니코틴 중독에 더욱 쉽게 빠지게 되며, 성인이 되어 흡연을 시작한 사람보다 금연이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Pirozzi와 Scholand, 2012). 또한 담배는 입문용(gateway) 물질로서 음주나 다른 위험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건강위험행동이 고착화될 수 있기 때문에 아동 청소년기의 흡연은 평생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Jessor, 1991).
흡연예방 프로그램은 어떤 어려움을 갖고 있는가? 아동 청소년 흡연의 심각성이 알려진 이후로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중재가 시도되었지만, 이러한 개별 프로그램은 측정 도구 및 변수가 상이하고 중재 특성 또한 다양하여 통합적으로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효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다수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하고 가장 높은 수준의 근거를 제공하는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김혜경 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미옥, 정인숙. 인문계 여고생을 대상으로 한체험적 흡연예방프로그램의 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006;19(1):55-65. 

  2. 고숙자, 정영호. 청소년 흡연으로 인한 질병부담 - 사망자 수를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2013;4:18-26. 

  3. 교육부, 질병관리본부. 제12차(2016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 청주: 질병관리본부, 2016. 

  4. 김계수. 빅데이터 분석과 메타분석.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2015. 쪽 227-228. 

  5. 김명희, 조정민, 전미영. 초등학생을 위한 흡연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2005;11(1):63-71. 

  6. 김수영, 정영숙. 고등학생의 흡연예방교육 효과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3;20(2) :81-94. 

  7. 김영숙, 정복례. 국내 청소년 흡연과 금연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0;21(1):53-62. 

  8. 김유자, 강혜영. 흡연 예방교육이 초등학생의 흡연관련 지식, 태도 및 건강행위 실천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007;20(1):1-9. 

  9. 김윤경, 박인혜, 박정수. 청소년 금연프로그램효과의 메타분석. 한국간호과학회 2008; 38(2):204-216. 

  10. 김윤희, 허만세. 담배광고 비판교육의 청소년흡연예방 효과성 검증. 학교사회복지 2011;21:267-296. 

  11. 김인홍. 흡연 예방 교육프로그램이 남자중학생의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1학년을 중심으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3;14(2):242-252. 

  12. 김재희, 이유정, 강성미, 오유미. 초등학생을 위한 단계별 흡연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4;15(8):5131-5139. 

  13. 김혜경, 박지연, 권은주, 최승희, 조한익. 금연/흡연예방 프로그램의 방법에 대한 효과성 평가-최근 3년 간 국내학술지 논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13;30(5):61-77. 

  14. 박민아, 김미예, 하영선. 청소년 간접흡연 예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4;25(1):44-53. 

  15. 박성희, 황정해, 최윤경, 강창범. 성인 흡연자의 금연 프로그램 효과 - 무작위대조군 실험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12;29(3):1-14. 

  16. 박순우, 이주영, 박정한. 고등학생을 위한 학교 흡연예방 프로그램 효과 평가.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4;21(1):153-170. 

  17. 박은옥. 흡연예방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간호과학회 2004;34(6):1004-1013. 

  18. 박인혜, 박정수, 김윤경. 청소년 흡연예방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6;9:1-16. 

  19. 백경신. 초등학생을 위한 흡연예방교육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6;17(2):273-282. 

  20. 손현미, 정미영, 홍윤경. 일개 여자중학교의 흡연예방을 위한 참여형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커뮤니티 맵핑 활동의 효과.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2016;29(3) :286-298. 

  21. 송주은, 안정아. 국내 모성적응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13;19(3):129-141. 

  22. 신성례, 오복자, 윤혜경, 신선화. 학교기반 또래지도자 중심의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14;44(6):649-659. 

  23. 심상희, 김현숙, 김윤신. 모둠토의를 활용한 초등학생 흡연예방교육의 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010;23(2):246-255. 

  24. 안현숙, 박인혜. 활동중심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흡연지식, 흡연태도, 흡연거절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16(5):465-486. 

  25. 안형식, 김현정. 체계적 고찰 연구의 개요. 대한의사협회지. 2014;57(1):49-59. 

  26. 이은혜, 김일옥. 초등학생을 위한 흡연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3;9(2):264-275. 

  27. 이정숙, 김수진, 권영란. 청소년 흡연과 음주예방프로그램의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2009;18(2):105-115. 

  28. 임미영, 윤영미. 초등학교 흡연 예방 교육의 효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9; 26(1):39-50. 

  29. 임미영, 박정원. 중학교 흡연 예방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5;16(1):49-58. 

  30. 전종설, 김진석. 청소년 흡연 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 연구 경향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2014;16(1):305-326. 

  31. 최연희, 하영선, 박민아.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한 학교 기반 흡연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2;23(3):327-337. 

  32. 최영미, 강현숙. 중학생의 흡연예방을 위한 실험중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2004;11(3):335-343. 

  33. 최지혜, 김명, 최은진, 김혜경. 시청각 교육과 토론을 통합한 청소년 금연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3;20(3):19-35. 

  34. 하지연, 신성만. 청소년 금연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인지행동치료 및 동기강화상담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016;1(2):19-37. 

  35. 현혜진, 안혜영.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금연중재논문(1980-2007)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8;19(3):469-479. 

  36. 홍정이, 강희숙.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약물남용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 음주와 흡연을 중심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3;20(3):61-76. 

  37. 황성동. 알기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15. 쪽 48-49. 

  38. 황혜숙, 전진호, 김원중. 일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흡연예방교육 시행의 효과.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4;21(1):171-182. 

  39. APA. APA publication and communication board working group on journal article reporting standards. Reporting standards for research in psychology: Why do we need them? What might they be? American psychologist 2008;63(9):839-851. 

  40. Bench S, Day T, Metcalf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An introduction for nurse researchers. Nurse Researcher 2013;20(5): 38-44. 

  41. Borenstein M, Hedges LV, Higgins PT, & Rothstein HR.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Chichester, UK: A Jon Wiley and Sons. 2009. 

  42.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43. de Kleijn MJ, Farmer MM, Booth M, Motala A, Smith A, Sherman S, ... Shekelle P. Systematic review of school-based interventions to prevent smoking for girls. Systematic Review 2015;14(4):109. doi:10.1186/s13643-015-0082-7 

  44. Higgins JPT,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UK: Wiley; 2014. 

  45. Jesssor R. Risk behavior in adolescence: a psychosoci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ction.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1991;12:595-605. 

  46. Kendler KS, Myers J, Damaj MI, Chen X. Early smoking onset and risk for subsequent nicotine dependence: a monozygotic co-twin control stud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13;170(4):408-13. 

  47. Leslea P, Muhammad UA, Meghan K, Parminder R, Diana S. Interven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obacco smoking i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eventive medicine 2016;85:20-31. 

  48. Pirozzi C, Scholand MB. Smoking cessation and environmental hygiene. Med. Clin. North Am 2012;96:849-867. 

  49. Thomas RE, Baker PRA, Thomas BC, Lorenzetti DL. Family-based programmes for preventing smoking by children and adolescent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5;2. Art. No.: CD004493. doi: 10.1002/14651858. CD004493.pub3. 

  50. Thomas RE, McLellan J, Perera R. Schoolbased programmes for preventing smoking.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3;4. No.: CD001293. 

  51. Wolf FM. Meta-analysis: Quantitative methods for research synthesis. Beverly Hills, CA: Sage. 1986.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