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분비교란물질 비스페놀 A를 처리한 마우스에서 홍삼 추출물의 간 섬유화 개선
Red Ginseng Extract Improves Liver Fibrosis in Mice Treated with the Endocrine Disruptor Bisphenol 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0 no.2, 2017년, pp.125 - 132  

최재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이용팀) ,  박춘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이용팀) ,  서경희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의생명화학과) ,  김형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이용팀) ,  윤지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이용팀) ,  안영섭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이용팀) ,  김진성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의생명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PA는 내분비교란물질로 널리 알려져 있다. BPA를 세포와 실험동물에 처리하여 독성을 유도하고 이를 인삼 추출물들이 BPA로 유도된 독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살펴보았다. WGE, DGE, RGE에 대한 항산화능을 DPPH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DGE 및 RGE는 DPPH 소거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켰다. 간암세포주 HepG2에 BPA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유도하고, 이를 인삼추출물에 의해 세포생존이 증가되는지 MTT법으로 측정하였다. BPA $200{\mu}M$ 처리하여 유도된 세포독성에 DGE 및 RGE는 세포 생존 능력을 증가시켰다. 실험동물에 BPA를 처리하여 독성을 유도하고 이를 인삼추출물들이 방어하는지 살펴보았다. 혈청에서 간 손상 생화학적 마커인 AST와 ALT가 RGE 투여군에서 증가했다. 또한, 손상된 간세포 재생및 증식이 RGE 투여군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RGE 주변 영역 및 간 미세 구조의 중심 정맥의 문맥에서 간 섬유화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RGE가 간 세포주에서 BPA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유의적으로 저해하였으며, 동물실험을 통하여 BPA에 의해 손상된 간에서 RGE가 간의 보호와 간 조직 재생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RGE가 외부에서 유입된 화학물질에 대한 간 손상 개선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RGE는환경독성 물질로 인한 질환치료약물에 대한 잠재적인 후보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sphenol A (BPA), a known endocrine disruptor, induces toxicity in cells and in experimental animals. Ginseng extract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whether they can inhibit BPA-induced toxicit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resh ginseng extract (WGE), dried white ginseng extract (DGE), and dried r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에서는 내분비교란물질로 널리 알려진 BPA를 세포와 실험동물에 처리하여 독성을 유도하고 이를 수삼 추출물(WGE), 백삼 추출물(DGE), 홍삼 추출물(RGE)이 BPA로 유도된 독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분비교란물질의 다른 명칭은? , 1996). 내분비교란물질이라는 용어 외에 환경호르몬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특정 호르몬 수용체에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호르몬과 유사한 역할을 하거나 혹은 내부호르몬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화학물질이기 때문이다(Kretschmer and Baldwin, 2005). 체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인체의 필요에 의하여 정교하게 내부적으로 조절되며, 인체에 필요한 기능을 적시적소에서 수행하며, 그 후에는 분해되어 체외로 대사되지만 내분비교란물질들은 부적절한 시점에 부적절한 용량으로 인체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Diamanti-Kandarakis et al.
내분비교란물질이란? 내분비교란물질(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은 사람을 포함하여 내분비계를 가진 모든 생물에서 생식, 발생, 대사, 면역 등에 관여하는 각종 생체호르몬의 합성, 저장, 분비, 체내수송, 결합 및 대사 과정에 개입할 수 있는 외인성 화학물질을 말한다(Kavlock et al., 1996).
비스페놀A이 체중증가를 유발하는 기전은? 또한, 비만을 야기할 수 있는 화학물질인 environmental obesogens 중 하나이다. 이 화학물질들은 지방세포로의 분화촉진, 대사항상성의 set point 변화, 식욕중추 자극, 미토콘드리아 기능저하 등 다양한 기전을 통하여 체중증가를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aillie-Hamilton, 2002; Grun and Blumberg, 2006). 또한, BPA는 제2형 당뇨병의 발병기전과도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bdel-Wahhab, M.A., N.S. Hassan, A.A. El-Kady, Y.A. Khadrawy, A.A. El-Nekeety, S.R. Mohamed, H.A. Sharaf and F.A. Mannaa. 2010. Red ginseng extract protects against aflatoxin B1 and fumonisins-induced hepatic pre-cancerous lesions in rats. Food. Chem. Toxicol. 48:733-742. 

  2. Baillie-Hamilton, P.F. 2002. Chemical toxins: a hypothesis to explain the global obesity epidemic. J. Altern. Complement Med. 8:185-192. 

  3. Bang, C.S., S.H. Hong, K.T. Suk, J.B. Kim, S.H. Han, H. Sung, E.J. Kim, M.J. Kim, M.Y. Kim and S.K. Baik. 2014.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urushiol (Rhus vernicifera Stokes), and probiotics (Lactobacillus rhamnosus R0011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R0052) on the gut-liver axis of alcoholic liver disease. J. Ginseng Res. 38:167-172.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5. Di Sario, A., E. Bendia, G.S. Baroni, F. Ridolfi, A. Casini, E. Ceni, S. Saccomanno, M. Marzioni, L. Trozzi and P. Sterpetti. 2002. Effect of pirfenidone on rat hepatic stellate cell proliferation and collagen production. J. Hepatol. 37:584-591. 

  6. Diamanti-Kandarakis, E., J.-P. Bourguignon, L.C. Giudice, R. Hauser, G.S. Prins, A.M. Soto, R.T. Zoeller and A.C. Gore. 2009.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an Endocrine Society scientific statement. Endocr. Rev. 30:293-342. 

  7. Grun, F. and B. Blumberg. 2006. Environmental obesogens: organotins and endocrine disruption via nuclear receptor signaling. Endocrinology 147:s50-s55. 

  8. Heo, J.H., S.T. Lee, M.J. Oh, H.J. Park, J.Y. Shim, K. Chu and M.H. Kim. 2011. Improvement of cognitive deficit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by long term treatment with Korean red ginseng. J. Ginseng Res. 35:457-461. 

  9. Hwang, E.K. 2013. Protective effect of rutin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acute hepatotoxicity in rats. J. Vet. Clin. 30:12-16. 

  10. Hwang, J.T., M.S. Lee, H.J. Kim, M.J. Sung, H.Y. Kim, M.S. Kim and D.Y. Kwon. 2009. Antiobesity effect of ginsenoside Rg3 involves the AMPK and PPAR- ${\gamma}$ signal pathways. Phytother. Res. 23:262-266. 

  11. Jenkins, S., A. Grandison, J. Baxter, D. Day, I. Taylor and R. Shields. 1985. A dimethylnitrosamine-induced model of cirrhosis and portal hypertension in the rat. J. Hepatol. 1:489-499. 

  12. Kaneko, H. and K. Nakanishi. 2004. Proof of the mysterious efficacy of ginseng: basic and clinical trials: clinical effects of medical ginseng, Korean red ginseng: specifically, its anti-stress action for prevention of disease. J. Pharmacol. Sci. 95:158-162. 

  13. Kavlock, R.J., G.P. Daston, C. DeRosa, P. Fenner-Crisp, L.E. Gray, S. Kaattari, G. Lucier, M. Luster, M.J. Mac and C. Maczka. 1996. Research needs for the risk assessment of health and environmental effects of endocrine disruptors: a report of the US EPA-sponsored workshop. Environ. Health. Persp. 104:715. 

  14. Ki, S.H., J.H. Yang, S.K. Ku, S.C. Kim, Y.W. Kim and I.J. Cho. 2013. Red ginseng extract protects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fibrosis. J. Ginseng Res. 37:45-53. 

  15. Kim, H.Y., K.S. Kang, N. Yamabe and T. Yokozawa. 2008.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Korean ginseng and heat-processed Korean ginseng on diabetic oxidative stress. Am. J. Chin. Med. 36:989-1004. 

  16. Kretschmer, X.C. and W.S. Baldwin. 2005. CAR and PXR: xenosensors of endocrine disrupters? Chem. Biol. Interact. 155:111-128. 

  17. Lee, D.H. 2012.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and environmental diseases. J. Korean Med. Assoc. 55:243-249. 

  18. Lee, H.J., Y.H. Lee, S.K. Park, E.S. Kang, H.J. Kim, Y.C. Lee, C.S. Choi, S.E. Park, C.W. Ahn and B.S. Cha. 2009.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and attenuates the development of diabetes in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rats. Metabolism 58:1170-1177. 

  19. Lee, J.S., G.N. Kim and H.D. Jang. 2008.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Storag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f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497-1509. 

  20. Lee, S., M.S. Lee, C.T. Kim, I.H. Kim and Y. Kim. 2012a. Ginsenoside Rg3 reduces lipid accumulation with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ctivation in HepG2 cells. Int. J. Mol. Sci. 13:5729-5739. 

  21. Lee, S.H., H.J. Lee, Y.H. Lee, B.W. Lee, B.S. Cha, E.S. Kang, C.W. Ahn, J.S. Park, H.J. Kim and E.Y. Lee. 2012b.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in high fat fed Sprague-Dawley rats. Phytother. Res. 26:142-147. 

  22. Olaso, E. and S.L. Friedman. 1998. Molecular regulation of hepatic fibrogenesis. J. Hepatol. 29:836-847. 

  23. Park, H.J., D.H. Jung, H. Joo, N.S. Kang, S.A. Jang, J.G. Lee and E.H. Sohn. 2010. The comparative study of anti-allerg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by fermented red ginseng and red ginseng. Korean J. Plant Res. 23:415-422. 

  24. Quan, H.Y., H.D. Yuan, M.S. Jung, S.K. Ko, Y.G. Park and S.H. Chung. 2012. Ginsenoside Re lowers blood glucose and lipid levels via activ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in HepG2 cells and high-fat diet fed mice. Int. J. Mol. Med. 29:73-80. 

  25. Seo, E.Y. and W.K. Kim. 2011. Red ginseng extract reduced metastasis of colon cancer cells in vitro and in vivo. J. Ginseng. Res. 35:315-324. 

  26. Sohn, E.H., J.W. Yoon, H.J. Koo, D.W. Park, Y.J. Jeong, S. Namkoong, H.S. Han and S.C. Kang. 2012. Immunomodulating effects of red ginseng on the regulation of cytokine release in vivo. Korean J. Plant Res. 25:578-585. 

  27. Sung, S.K., Y.K. Rhee, C.W. Cho, Y.C. Kim, O.H. Lee and H.D. Hong. 2013.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fermented Rhodiola sachalinensis and Korean red ginseng mixture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Korean J. Food. Nutr. 26:358-365. 

  28. Svegliati Baroni, G., L. D'Ambrosio, G. Ferretti, A. Casini, A. Di Sario, R. Salzano, F. Ridolfi, S. Saccomanno, A.M. Jezequel and A. Benedetti. 1998. Fibrogenic effect of oxidative stress on rat hepatic stellate cells. Hepatology 27:720-726. 

  29. Vandenberg, L.N., M.V. Maffini, C. Sonnenschein, B.S. Rubin and A.M. Soto. 2009. Bisphenol-A and the great divide: a review of controversies in the field of endocrine disruption. Endocr. Rev. 30:75-95. 

  30. Wang, L., J. Hao, J. Hu, J. Pu, Z. Lu, L. Zhao, Q. Wang, Q. Yu, Y. Wang and G. Li. 2012. Protective effects of ginsenosides against bisphenol A-induced cytotoxicity in 15P-1 sertoli cells via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signalling and antioxidant mechanisms. Basic Clin. Pharmacol. Toxicol. 111:42-49. 

  31. Xu, Y., M. Rojkind and M.J. Czaja. 1996. Regulation of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1 by cytokines and oxygen free radicals in rat hepatic fat-storing cells. Gastroenterology 110:1870-18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