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he Effect of a Proximal and Distal Tibiofibular Joint Manipulation on Dorsiflexion and Balance in Individuals with a History of Lateral Ankle Sprai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JKPT =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29 no.2, 2017년, pp.95 - 100  

Chae, Yun-Wo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College) ,  Park, Ji-Wo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Medical Health,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Nam, Ki-Seok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Yeungnam University College)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hanges in dorsiflexion and balance following proximal and distal tibiofibular joint manipulation in individuals with a history of lateral ankle sprain (LAS). Methods: Fifteen participants with a history of unilateral LAS, exhibiting a restriction in ankl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eazell 등21은 도수교정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도 체중부하 런지검사의 반복적인 측정에 의해 발등쪽굽힘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몸쪽정강종아리관절 또는 먼쪽정강종아리관절 각각에 도수교정을 적용 후 얻은 발등쪽굽힘의 증가는 치료의 효과로 보기 어렵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복적인 측정을 통해 발등쪽굽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수교정을 적용하기 전과 후 만을 비교하였다. 도수교정을 적용하지 않은 반대쪽 발목에서의 발등쪽굽힘이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LAS 병력이 있는 발목에서의 발등쪽굽힘의 증가는 도수교정의 효과로 보인다.
  • 몸쪽과 먼쪽정강종아리관절은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기능적 단위로 같이 움직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강종아리관절에 대한 도수교정을 먼쪽에만 적용한 것이 아니라 몸쪽과 먼쪽을 같이 적용하여 정강뼈에 대한 종아리뼈의 정상적 관절운동형상학을 회복하려 시도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LAS의 병력을 갖고 있으면서 발등쪽굽힘에 제한이 있는 대상자를 대상으로 몸쪽과 먼쪽정강종아리관절에 대해 도수교정을 적용하여 발등쪽굽힘과 균형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몸쪽과 먼쪽정강종아리관절에 대한 도수교정이 발등쪽굽힘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대상자 선정을 위해 LAS의 병력을 갖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측정을 통해 선정하였다. 설문지를 통한 일차 대상자 선정의 조건으로는 1)지난 2년 내에 LAS의 병력을 갖고 있는 자, 2)병력이 있었던지 6개월 이상인 자, 3)한쪽에만 병력이 있으며 반대쪽에는 병력이 없는 자, 4) 쪼그려 앉기의 마지막에 제한이 있는 자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rker HB, Beynnon BD, Renstron PA. Ankle injury risk factors in sports. Sports Med. 1997;23:69-74. 

  2. Feger MA1, Glaviano NR, Donovan L et al. Current trends in the management of lateral ankle sprain in the United States. Clin J Sport Med. 2017;27(2):145-52. 

  3. Fallat L, Grimm DJ, Saracco JA. Sprained ankle syndrome: Prevalence and analysis of 639 acute injuries. J Foot Ankle Surg. 1998;37(4):280-5. 

  4. Hubbard TJ, Wikstrom EA. Ankle sprain: Pathophysiology, predisposing factors, and management strategies. Open Access J Sports Med. 2010; 16:115-22. 

  5. Czajka CM, Tran E, Cai AN et al. Ankle sprains and instability. Med Clin North Am. 2014;98(2):313-29. 

  6. van Rijn RM, van Os AG, Bernsen RM et al. What is the clinical course of acute ankle sprain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m J Med. 2008; 121(4):324-31. 

  7. Martin RL, Davenport TE, Paulseth S et al. Ankle stability and movement coordination impairments: Ankle ligament sprain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3;43(9):A1-40. 

  8. Drewes LK, McKeon PO, Kerrigan DC et al. Dorsiflexion deficit during jogging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 Sci Med Sport. 2009;12(6):685-7. 

  9. Palmieri-Smith RM, Hopkins JT, Brown TN. Peroneal activation deficits in person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Am J Sports Med. 2009; 37(5):982-8. 

  10. Halabchi F, Angoorani H, Mirshahi M et al. The prevalence of selected intrinsic risk factors for ankle sprain among elite football and basketball players. Asian J Sports Med. 2016;7(3):e35287. 

  11. Cruz-Diaz D, Lomas Vega R, Osuna-Perez MC et al. Effects of joint mobilization on chronic ankle instabili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isabil Rehabil. 2015;37(7):601-10. 

  12. Marron-Gomez D, Rodriguez-Fernandez AL, Martin-Urrialde JA. The effect of two mobilization techniques on dorsiflexion in people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Phys Ther Sport. 2015;16:10-5. 

  13. Vicenzino B, Branjerdporn M, Teys P et al. Initial changes in posterior talar glide and dorsiflexion of the ankle after mobilization with movement in individuals with recurrent ankle sprain.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6;36(7):464-71. 

  14. Cruz-Diaz D, Lomas Vega R, Osuna-Perez MC et al. Effects of joint mobilization on chronic ankle instabili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isabil Rehabil. 2015;37(7):601-10. 

  15. Hoch MC, Andreatta RD, Mullineaux DR et al. Two-week joint mobilization intervention improves self-reported function, range of motion, and dynamic balance in those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 Orthop Res. 2012;30(11):1798-804. 

  16. Hoch MC, McKeon PO. Joint mobilization improves spatiotemporal postural control and range of motion in those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 Orthop Res. 2011;29(3):326-32. 

  17. Fisher BE, Piraino A, Lee YY et al. The effect of velocity of joint mobilization on corticospinal excitability in individuals with a history of ankle sprain.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6;46(7):562-70. 

  18. Huber T, Schmoelz W, Bolderl A. Motion of the fibula relative to the tibia and its alterations with syndesmosis screws: a cadaver study. Foot Ankle Surg. 2012;18(3):203-9. 

  19. Fujii M, Suzuki D, Uchiyama E et al. Does distal tibiofibular joint mobilization decrease limitation of ankle dorsiflexion? Man Ther. 2010; 15(1):117-21. 

  20. Bennell KL, Talbot RC, Wajswelner H et al.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a weight-bearing lunge measure of ankle dorsiflexion. Aust J Physiother. 1998;44(3):175-80. 

  21. Beazell JR, Grindstaff TL, Sauer LD et al. Effects of a proximal or distal tibiofibular joint manipulation on ankle range of motion and functional outcomes in individual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2;42(2):125-34 

  22. Fryer GA, Mudge JM, McLaughlin PA. The effect of talocrural joint manipulation on range of motion at the ankle. J Manipulative Physiol Ther. 2002;25(6):384-90. 

  23. Harkey M, McLeod M, Van Scoit A et al. The immediate effects of an anterior-to-posterior talar mobilization on neural excitability,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and dynamic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 Sport Rehabil. 2014;23(4):351-9. 

  24. Andersen S, Fryer GA, McLaughlin P. The effect of talo-crural joint manipulation on range of motion at the ankle joint in subjects with a history of ankle injury. Australas Chiropr Osteopathy. 2003;11(2):57-62. 

  25. Hubbard TJ, Hertel J. Anterior positional fault of the fibula after sub-acute lateral ankle sprains. Man Ther. 2008;13(1):63-7. 

  26. Fukuhara T, Sakamoto M, Nakazawa R et al. Anterior positional fault of the fibula after sub-acute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injury. J Phys Ther Sci. 2012;24:115-7. 

  27. Kavanagh J. Is there a positional fault at the inferior tibiofibular joint in patients with acute or chronic ankle sprains compared to normals? Man Ther. 1999;4:19-24. 

  28. Moiler K, Hall T, Robinson K. The role of fibular tape in the prevention of ankle injury in basketball: a pilot study.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6;36(9):661-8. 

  29. Grindstaff TL1, Beazell JR, Sauer LD et al. Immediate effects of a tibiofibular joint manipulation on lower extremity H-reflex measurements in individual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 Electromyogr Kinesiol. 2011;21(4):652-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