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수학학습 포기 인식과 정의적 요인 연관성 분석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Give Up on Learning Mathematics: Correlations with Non-cognitive Learner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0 no.2, 2017년, pp.143 - 151  

고호경 (아주대학교) ,  김형원 (텍사스대학교) ,  카지 시주오 (야마구찌대학교) ,  최수영 (아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학포기자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실시한 수학학습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등학생 수학학습 포기 인식과 연관성이 높은 정의적 영역 요인과 정의적 영역 검사 문항을 추출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R의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통해 기계학습 분석과 연관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정의적 영역 요인 중에서는 효능감, 흥미 등이 가장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의적 영역 문항 중에서는 수학학습 포기 인식과 흥미 요인의 문항인 '나는 수학이 좋다'와 효능감 문항인 '나는 앞으로 수학을 더 잘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등 8문항을 순위별로 추출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정의적 영역 검사 간편 버전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 함양을 위한 지도에 있어서 보다 중점을 두어야 하는 사항을 시사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간편 버전은 향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정의적 영역 검사에 활용될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are giving up on learning mathematics at all grade levels, including elementary school. The study in this paper considers seven non-cognitive student characteristics to identify which are strongly correlated with giving up on mathematic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수학을 포기했다고 인식하는 학생들과 수학의 정의적 영역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학학습 포기 인식과 연관성이 있는 정의적 영역 요인을 추출하고 또한 초등학생들의 정의적 영역 검사 문항 중 가장 관련성이 높은 문항을 선별하고자 한다. 수학포기 인식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영역 요인을 결정함으로써 우리는 향후 수학을 포기했다고 스스로 인식하는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교육적 도움을 줄 때 보다 핵심적인 접근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이란 ? 수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이란 수학에 대한 경험으로 인하여 형성된 정서, 신념, 태도 등을 포함하는 심리적 특성(박선화 상경아, 2011)으로써, 효능감, 흥미,태도, 동기, 가치 등과 같은 측정 요소를 포함한다(예,Fennema & Sherman, 1976; Pekrun et. Al, 2007;Sherer & Maddux, 1982)
근래 들어 수학을 포기한 사람이라는 뜻의 신조어는? 근래 들어 수학을 포기한 사람이라는 뜻의 신조어로 ‘수포자’란 말이 사회적으로 회자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학계에서의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 저하로 인한 우려도 적지 않은 바(예, 이미경 외 2004; 이미경 외, 2007; 이재학 외 2013; 조지민 외, 2011), 이에 교육당국은 수학학습 포기자의 수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수학학습에 정의적 영역의 요인과 문항은 한국과학창의재단(2015)에서 개발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로써 흥미, 학습태도, 가치, 동기, 학습의지, 효능감 요인으로 구성되어있는데 각각의 의미는? 수학학습에 정의적 영역의 요인과 문항은 한국과학창의재단(2015)에서 개발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로써([표 1]), 흥미, 학습태도, 가치, 동기, 학습의지, 효능감 요인으로 구성되어있다. 흥미는 수학에 대한 감정, 학습태도는 학습 습관이나 자기 관리 등의 학습을 관리하는 행동, 가치는 수학교과의 중요성, 학습동기는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 학습의지는 과제집착력을 포함한 자기조절력, 마지막으로 효능감은 수학 학습 수행능력에 대한 확신이나 신념을 의미한다. 예로써, 학생들의 수학포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4종의 선택지 중 한 가지를 선택하도록 학생들에게 질문하였는데, 이는 “포기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고호경 외 (2017). 수학나눔지원단 운영.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2017-1.(Ko, H. K. et al. (2017). Managing the mathematics learning support group.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Research Report, 2017-1.) 

  2. 박분희.황종섭 (2006). 한국과 미국 중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신념, 성취도 비교 연구. 아동교육, 15(3), 23-32.(Park. B. H., & Hwang, J. S. (2006). Study and Comparison: Beliefs and Achievement toward Mathema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Americ. Child Education, 15(3), 23-32.) 

  3. 박선화.상경아 (2011).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특성 및 영향 요인. 학교수학, 13(4), 697-716.(Park, S. H., & Sang, K. (2011). Characteristics of and factors affecting on students' attitude toward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3(4), 697-716.) 

  4. 이미경 외 (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연구보고RRE 2004-2-1. 한국교육과정평가원.(Lee, M. K., et al. (2004). The PISA 2003 Results-An Analysis of performances and influences on Mathematical Literacy, Reading Proficiency, Scientific Literacy. Report, RRE 2004-2-1.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ducation.) 

  5. 이미경 외 (2007). OECD/PISA 평가틀 및 공개 문항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7-24.(Lee, M. K., et al. (2007). An Analysis of the Assessment Rubric for and Released Items of OECD/PISA. Report, ORM 2007-24.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ducation.) 

  6. 이재학.정상권.김선희.최민식.원유미.김영진, 고호경 (2013).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중학교 기하영역 자료 개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 27(3), 341-356.(Lee, J. H., Chung, S. K., Kim, S. H., Choi, M. S., Won,, Y. M., Kim, Y. J., & Ko, H. K. (2013). Development of Meterial for Middle School Geometry using Storytelling.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3). 235-249.) 

  7. 이종희.김선희.김수진.김기연.김부미.윤수철.김윤민 (2011).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 검사 도구 개발 및 검증. 학교수학, 50(2), 247-261.(Lee, C. H., Kim, S. H.. Kim, S. J. Kim, K. Y., Kim, B. M Yun, S. C., & Kim, Y. M. (2011).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n affective inventory in Mathematical Learning.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2), 247-261.) 

  8. 임해미 (2016).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기대가 수학 학습 동기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학연구, 26(4). 701-714.(Rim, H. (2016).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itudes, Parental Expectations, Motivation and Achievement Focusing on Mathematic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6(4). 701-714.) 

  9. 조지민.김수진.이상하.김미영.옥현진.임해미 (2011). 2011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PISS/TIMSS) : TIMSS 2011 본검사 시행보고서, 연구보고 RRE 2011-4-1. 한국교육과정평가원.(Cho, J. M., Kim, S. J., Lee, S. H., Kim, M. Y., Ok, H. J., & Lim, H. M. (2011). The 2011 International Academic Achievements Tests (PISS/TIMSS): An Administration Report of the 2011 TIMSS. Report, RRE 2011-4-1.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ducation.) 

  10. 홍순애 (2012). 아동의 수학적 성향, 수학불안, 수학적 자기효능감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1(2), 311-323.(Hong, S. A. (2012). The Effects of Children's Mathematics Disposition Anxiety and self-efficacy on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Child Education, 21(2), 311-323.) 

  11.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수학학습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2015-12.(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5).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Mathematics Learning. Research Report, 2015-12.) 

  12. Collins, J. L. (1982). Self-efficacy and ability in achievement behaviour.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York. 

  13. Hidi, S., & Baired, W. (1988). Strategies for increasing text-based interest and students' recall of expository texts. Reading Research Quarterly, 23, 465-483. 

  14. Ma, X., & Xu, J. (2004). Determining the causal ordering between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110, 256-280. 

  15. Moore, C. (2009). R workshop: introduction to geographic mapping and spatial analysis with R. http://umn.edu/-moor0554. 

  16. Pekrun, R., Frenzel, A. C., Goetz, T., & Perry, R. P. (2007). The Control value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s. An Integrative approach to emotions in education. In P. A. Schutz & R. Pekrun (Eds.), Emotion in Education (pp. 13-36). London, UK: Elsevier. 

  17. Fennema, E., & Sherman, J., A. (1976). Fennema-Sherman mathematics attitude scales: Instruments designed to measure attitudes toward the learning of mathematics by females and mal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7(5), 324-326. 

  18. Randhawa, B. S., Beamer, J. E., & Lundberg, I. (1991). Role of mathematics self-efficacy in the structural model of mathematics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5, 41-48. 

  19. Revolution Analytics (2013). R: The most powerful and most widely used statistical software. http://www.revolutionanalytic s.com/content/r-most-powerful-and-most-widely-used-statistical-software. 

  20. Sherer, M., & Maddux, J. E.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