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도입에 따른 중등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
Ways to Improve In-Service Science Teachers' Expertise with the Introduction of 'Integrated Scienc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2, 2017년, pp.263 - 271  

곽영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재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양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이 학교 현장에서 정착되기 위해서는 현직교사에 대한 재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교과목 신설에 대비하여 중등 과학교사의 자격종별로 현직교사 재교육 내용을 구상하고,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과학교육 전문가 22명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특징을 성격과 목표, 내용 체계 및 내용 구성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가르치기 위해 필요한 교사 역량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학교 현장의 중등학교 과학교사 자격증 유형별 특징과 통합과학 지도를 위해 추가되어야 할 교사 역량을 탐색하여, 교사 자격증 유형별로 2015 개정 통합과학의 이해 직무 연수(A형), 통합과학 직무연수(B형), 통합과학 부전공 자격연수(C형) 등 3가지 유형의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각각의 연수 프로그램 유형별로 교사 자격증별 대상자, 운영시간, 연수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구성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전문가 의견에 기초하여 현직 교사뿐만 아니라 통합과학 교사 양성과정 개선안과 통합과학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과목 개선안을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과학 지도를 위한 현직교사 재교육 연수 프로그램 구성상의 유의점 및 통합과학 교사 양성과정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acher reeducation is required to be comfortable with the 'Integrated science' subject as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is research, we designed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the types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certificates, and developed ways to 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통합과학’ 교과목 신설에 대비하여 2018 년부터 학교현장에서 통합과학 교육과정을 가르쳐야 할 중등 과학과 현직교사 재교육 내용을 구상하고,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8년부터 통합과학 교육과정을 가르쳐야 할 학교 현장의 과학교사 재교육(연수) 프로그램 구안을 위해, 현재 학교 현장의 과학교사들이 지니고 있는 교사자격증 유형별로 통합과학을 가르치기 위해 어떠한 교사역량이 필요한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특징,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의 통용가능성, 학교 현장의 과학교사 자격증 유형별로 요청되는 통합과학 지도 역량, 통합과학 지도를 위한 현직교사 재교육 연수 프로그램 구성(안) 도출 등을 위해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 전문가 심층면담, 전문가 협의회 등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 분석에 근거하여, 2018년부터 통합과학 교육과정을 가르쳐야 할 중등 과학과 현직 교사 재교육 내용을 구상하고,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과 통합과학 교사 양성 괴정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 현직 교사들이 새로 도입된 통합과학 교과를 지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과 별도로, 교원양성기관의 이수과목의 개편도 이에 맞춰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통합과학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이수과목은 무엇으로 할 것인지를 질문하였다.
  • 교육과정의 변화는 이를 현장에서 실천하는 교원 인사제도(교원의 양성체제 및 교육과정, 자격 부여, 교원의 수급과 임용, 교원의 현직연수, 승진 등)의 변화를 불가피하게 요구한다(Lee, 1994; MEST, 20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원 인사제도 중 현직교사 연수 측면의 대응과제를 탐색하려고 한다. 먼저 ‘통합과학’을 비롯한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이 학교 현장에서 실효성을 거두려면 이를 구현할 수있는 역량을 갖춘 교사가 필수 불가결하지만, 개정된 교육과정의 현장 시행을 앞둔 현재 학교현장의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이 소지한 자격증을 살펴보면, 단일 자격증(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 택1)을 소지한 과학교사의 경우 자신의 전공영역 이외에 타(他)과학 과목을 전혀 이수하지 않은 까닭에 고등학교 ‘통합과학’ 지도는 물론 중학교 ‘과학’ 과목을 가르치는 데 상치교사여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MOE, 1997).
  • 구체적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통합과학 교과를 새로 도입함에 따라 현재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과학 교원의 통합과학 교과 지도의 자격을 어떻게 지원할 것인지, 통합과학 교사 자격 취득을 위한 교원양성 기의 이수과목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 등과 같은 교원정책적 대응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직 과학교사들을 위한 통합과학 지도 자격 지원의 일환으로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향후 통합과학 교사 자격 취득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 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지도를 위해 요청되는 중등 과학과 현직교사의 역량은 무엇이며, 이러한 역량을 갖추기 위해 어떤 연수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 1차 델파이 조사에서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특징을 질문한 것은 전문가들이 파악한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특징에 비추어 ‘통합과학의 이해’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얻으려는 것이다. 즉, 통합과학이 기존 공통과학과 어떤 점에서 같고 다른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통합과학 지도를 위한 현직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에서 전문가들이 제시한 2015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특징은 Table 3과 같다.
  • 즉, 향후 통합과학 교사 자격 취득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 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지도를 위해 요청되는 중등 과학과 현직교사의 역량은 무엇이며, 이러한 역량을 갖추기 위해 어떤 연수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은? 교육부가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2015년 9월에 확정⋅발표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중하나는 공통 필수과목으로 통합사회,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을 신설하여 모든 학생이 진로 및 진학 경로를 막론하고 반드시 이수하도록 한 것이다. 한국과학창의재단(KOFAC)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Ⅰ, Ⅱ를 통해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에 부합하는 통합과학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미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통합과학 교육과정 정착 방안을 제안하였다(KOFAC, 2015a; 2015b).
1차 델파이 조사로 제안할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의 구성방향은? 첫째, 새로운 통합과학 내용 이해를 위한 과학내용학의 경우 전문가들이 응답한 “핵심개념(big ideas) 중심의 통합성 강조”라는 특징을 반영하여 통합과학을 구성하는 영역별 핵심개념, 즉 물리학의 운동량과 충격량, 화학의 물질의 구성과 변화, 생명과학의 세포라는 생명계, 지구과학의 지구계 등과 같은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과학내용학 연수 프로그램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통합과학 교육과정 개정의 한계는?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원 인사제도 중 현직교사 연수 측면의 대응과제를 탐색하려고 한다. 먼저 ‘통합과학’을 비롯한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이 학교 현장에서 실효성을 거두려면 이를 구현할 수있는 역량을 갖춘 교사가 필수 불가결하지만, 개정된 교육과정의 현장 시행을 앞둔 현재 학교현장의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이 소지한 자격증을 살펴보면, 단일 자격증(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 택1)을 소지한 과학교사의 경우 자신의 전공영역 이외에 타(他)과학 과목을 전혀 이수하지 않은 까닭에 고등학교 ‘통합과학’ 지도는 물론 중학교 ‘과학’ 과목을 가르치는 데 상치교사여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MOE, 1997). 이러한 맥락에서 제6차 교육과정에서 ‘공통과학’ 과목 개설과 더불어 실시된 ‘공통과학’ 교사연수와 마찬가지로 2015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실행에 대비한 ‘통합과학을 가르치기 위해 요구되는 교사 전문 역량’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 연수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MOE,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ng, D., & Kang, S. (2012).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inter-disciplinary science education(IV).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6(1). 115-127. 

  2. Choi, B., Kwon, J., Kim, B., Kim, C., Kim, H., Baek, S., & Chung, W. (1997).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KNUE Research report. 

  3. Chung, M., Kim, K., Ryoo, S-. C., Kim, B., Park, S., & Moon C. (2010). Improving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Research Report RR 2010-11). Seoul: KEDI. 

  4. Hong, M. (2002). A Study on the Problems of Training Science(physics) Teachers and how to improve it - a research about appointments of teachers and their training. - major in physics education. Master's thesis of Kyung-Hee University. 

  5. Hwang, G., Park, S., Yoon, K., Lee, S., & Choi, E. (2014).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certificate standards without examination. MOE &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6. Kang, H. (1999). A study on the educational system of integrated studies major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BNU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 1-15. 

  7. Kim, E., Park. S., Kim. S., & Lee. W. (2015). Explore teacher policy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reform of integrated curriculum. Seoul: 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 (KFTA). 

  8. Kim, E., Jeon, J., & Lee, J. (2016). Improving the quality and relevance of practic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KOFAC report. BD16020005). Seoul: KOFAC. 

  9. Kim, Y. (2000). The state of the art of common science teaching in high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2), 200-213. 

  10. Kim, Y. & Lee, M. (1994). Th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common science and science-technology-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4(3), 330-343. 

  11. Kim, Y., & Kim, J. (1997). The real situation of teaching and improvement plan for common science subject in the 6th curriculum. Report of Science Education, 28, 207-218. 

  12. KOFAC (2015a). Development research of draft of 2015 revised subject curriculum I - Science curriculum. Seoul: KOFAC. 

  13. KOFAC (2015b). Development research of draft of 2015 revised subject curriculum II - Science curriculum. (Research Report BD15110002). Seoul: KOFAC. 

  14. Kwak, Y., Lee, Y., Dong, H., Lee, I., Lee, J., & Kim, H. (2016). Ways to improve in-service science teachers' expertise with the introduction of 'Integrated Science' in 2015 revised curriculum. (Issue Paper ORM 2016-26-4). Seoul: KICE. 

  15. Lee, H. (1994).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 training and reeducation policy for innovation of science education. The symposium on ways to innovate school science education.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1994. 10. 28-29). 

  16. Lee, H., Son, D., Kwon, H., Park, K., Han, I., Jung, H., Lee, S., Oh, H., Nam, J., Oh, Y., & Phang, S. (2012).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analysis on integrative STEM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1), 30-45. 

  17. Lee, H., Son, Y., No, K., & Song, J. (1996). The ways to improve the training, employment and retraining of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6(1), 103-120. 

  18. Lee, K. (1993).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the common science subjec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3(2), 198-209. 

  19. Lee, Y., Choi, S., & Park, Y. (199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rea specification on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es in Korea - Focused on the clarification of pertinent departments and their required subject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20. Maeng, H., & Son, Y. (2011).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of elementary teachers depend on application experience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601-614. 

  21. MEST (2010). 2010 Manual for certification of teachers. MEST. 

  22. MOE (1997). Science Curriculum. MOE Notification 1997-15 [Issue 9]. 

  23. MOE (2015). Announcement of major issues of 2015 integrated curriculum of liberal arts and general science courses (2015. 9. 24.). MOE press release. 

  24. MOE (2016). 2016 Manual for certification of teachers. MOE. 

  25. Shin, Y., & Han, S. (2011). A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in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Educatio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514-523. 

  26. Son, M., Ahn, Y., Cho, D., Kim, P., & Kim, W. (2012). Research on development of a future curriculum for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Seoul: 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 (KFTA). 

  27. Yang, C., Kwak, Y., Han, J., & Noh, T. (2013). Current status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recruitment of general science teachers and ways to improve them as suggested by professors from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2), 345-358. 

  28. Yoon, H., Yoon, W., & Woo, A. (2011).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Science Textbook.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5(3), 757-7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