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 화학교사들의 실천적 지식(PPK) 함양을 위한 사례연구 -실행공동체(CoP) 활동의 반성적 논의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for Developing 'Personal Practical Knowledge(PPK)'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Based on the Reflective Discussion of Community of Practice(CoP) Activit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2, 2017년, pp.347 - 358  

김유정 (서울대학교) ,  홍훈기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 화학교사가 사범대학의 삶과 교육을 통해 발달시켜가는 교사 전문성을 실천적 지식(PPK)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예비 화학교사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5명의 예비 화학교사가 실행 공동체(CoP) 활동을 통하여 사범대학 삶과 교육에 대한 반성적 논의에 참여하였으며, 논의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예비 화학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5가지 영역 중 교과내용 지식은 방대한 화학 지식으로 편극화된 경향이 있고, 교육과정 지식은 교육과정 자료들을 비판적으로 선택 분석 응용하는 수준으로 이어지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학습 지식에서는 특히 탐구실험 지도력이 부족하며, 교수 학습환경 지식은 사범대학-지역사회 간 연계부족, 교육 관련자들과의 소통의장 부족으로 인해 발달에 제한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예비 화학교사들은 교직에 목적을 두지 않는 주변인들로부터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었고, 교사로서의 신념을 충분히 숙고할 수 있는 대화의 장이 학과 내 부족하여 교사자신관련 지식을 충분히 함양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화학교사의 실천적 지식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자신관련 지식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예비교사 현직교사 교수자 지역사회 담당자 교육행정가 교육 연구자 등이 함께 하는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운영이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교과내용 지식의 깊이와 방향성에 대한 제고,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재구성해볼 수 있는 기회의 제공, 탐구실험 지도력 향상을 위한 교과내용실험 과목의 개선, 교육봉사 활동의 개선이 예비 화학교사의 실천적 지식 함양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in terms of personal practical knowledge(PPK), and draw a discussion for pre-chemistry teacher education. A reflective discussion through a Community of Practice(CoP) activity has been conduct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력 5년 미만의 초임 과학교사들이 과학 내용을 지도할 때 불안을 느끼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주 원인은 무엇인가? , 2009)에 따르면, 경력 5년 미만의 초임 과학교사들이 과학 내용을 지도할 때 불안을 느끼는 비율이 79%로 상당히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교사들은 ‘교사 양성과정에서의 교육 과정이 학교 상황에 대한 실제적인 감각을 길러주지 못했기 때문임’을 불안감의 주요 원인으로 꼽고 있다. 또한 수학⋅과학 교과 중등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현장 적합성을 분석한 연구(Kim et al.
NSES는 교사의 전문성을 무엇으로 정의하고 있는가? 이러한 학생들의 능력과 태도는 학교 과학교육을 통하여 현실화될 수 있으며 특히 과학교육을 이끌어가는 교사의 전문성에 의하여 그 질이 크게 좌우된다고 볼 수 있다. NSES(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는 교사의 전문성을 사범대학 시절 경험으로부터 교직 경력 마지막에 이르기까지의 연속적인 과정 속에서 지속적으로 변화⋅발전해나가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예비교사 시절의 경험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Lederman의 연구 결과는(Lederman et al.
실천적 지식은 어떤 영역으로 구분되는가? 그런데 이러한 실천적 지식은 교사가 되어야만 비로소 함양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예비교사 단계에서부터 그 근간을 형성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하는 것이므로, 예비교사의 삶과 교육을 실천적 지식의 관점에 투영해보는 일은 그들이 교사로서의 실제적 전문성을 어떻게 발달시켜 가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실천적 지식은 내적 영역인 교사자신관련 지식과, 외적 영역인 교과내용 지식, 교육과정 지식, 교수⋅학습 지식, 교수⋅학습환경 지식의 5가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Table 3) 모든 영역이 조화롭게 발달되어 통합되었을 때 비로소 전문가적인 지식의 형태를 띌 수 있다. 특히 교사자신관련 지식은 가치관이나 신념, 소명의식 등을 포함한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 정도를 나타내는 지식으로, 이론적으로 습득한 지식이나 현장 경험 등이 통합되어 실제적 지식으로 발현되는 과정에서 일종의 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Beyer, C. J., & Davis, E. A. (2012). Learning to critique and adapt science curriculum materials: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6(1), 130-157. 

  2. Bloom, B. S., Engelhart, M. D., Furst, E. J., Hill, W. H., & Krathwohl, D. R.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I: The cognitive domain. 

  3. Bogdan, R., & Biklen, S. (1998). Foundations of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1-48. 

  4. Choi, S., Lee, J., & Noh, T. (2015). A case study of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demonstration of STEAM less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4), 665-676. 

  5. Creswell, J. W. (2012).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6. Dewey, J. F., Coward, M. P., & Hancock, P. L. (Eds.) (1987). Continental extensional tectonics (No. 28). Blackwell Science Incorporated. 

  7. Dow, P. B. (1999). Schoolhouse politics: Lessons from the Sputnik era. iUniverse. 

  8. Elbaz, F. (1981).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Report of a case study. Curriculum inquiry, 11(1), 43-71. 

  9. Gu, W. (2007). Research on the trend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on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 Teacher Education, 24(1), 299-321. 

  10. Han, J. (2012). Research on the pre-service teachers' life and identity change in a college of education. Teacher Education Research, 51(1), 75-89. 

  11. Hong, M. (2005). Theoretical study of social studies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Social studies Education, 44(1), 101-124. 

  12. Hume, A., & Berry, A. (2011). Constructing CoRes-a strategy for building PCK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1(3), 341-355. 

  13. Jang, H., Koh, E., & Choi, B. (2014). The influence of the curriculum in advance of practicum of the practicum-affiliated course o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ractice teaching.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0(3), 21-48. 

  14. Jeon, H., Yoo, M., Hong, H., & Park,. E. (2009). Study on teaching anxiety and effect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1), 68-78. 

  15. Jo, Y. (1995).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higher education for female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3(5), 163-191. 

  16. Jung, J. (2013). An exploration of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experience through interview with inservice teachers and its instructional effectivenes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5(2), 453-478. 

  17. Kim, B. (2003). A study on the motivation of prospective teachers' entrance into teachers college and the process of their adaptation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1), 57-83. 

  18. Kim, E. (2010), A Study on practical knowledge: The implication on teacher education and problem.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7(4), 27-46. 

  19. Kim, H., & Lee, N. (2014). Explor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focusing student teaching.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0(2), 171-201. 

  20. Kim, J., & Kim, J. (2003). Theoretical study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2), 77-96. 

  21. Kim, K., & Yoon, J., Park, J., & Noh, T. (2011).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sidered by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teaching demonstra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1), 99-114. 

  22. Kim, S., Lee, S., Shin, J., Kim, J., & Yoo, J. (2015). A study on site suitability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ocusing on science and math subject. Asian Journal of Education, 16(4), 1-30. 

  23. Kim, Y., Mun, J., Park, J., & Lim, G. (2010). Comparison of perception on science teacher preparation courses by beginner and experienced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8), 1002-1016. 

  24. Ko, M., Nam, J., & Lim, J. (2009). Two case studies of the development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1), 54-67. 

  25. Kwak, Y. (2003). Exemplary science teachers' suggestions for how to improve scien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Earth Science Society, 24(3), 117-127. 

  26.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Lederman, N. G., Gess-Newsome, J., & Latz, M. S. (1994).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subject matter and pedagog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29-146. 

  28. Lee, S., Min, H., Won, J., & Paik, S. (2011). The change i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through mentor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4), 621-640. 

  29. Maxwell, J. A. (2012).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Vol. 41). Sage publications. 

  30. Meijer, P., Verloop, N., & Beijaard, D. (2001).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bout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4(3), 171-184. 

  31. Meijer, P., Zanting, A., & Verloop, N. (2002). How can student teachers elicit experienced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ools, suggestions, and significanc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3(5), 406-419. 

  32.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ies Press. 

  33. Noh, T., Kim, Y., Yang, C., & Kang, H. (2011). A case study on beginning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gifted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8), 1214-1228. 

  34. Noh, T., Park, J., & Kang, H. (2016). Interactions among PCK components of pre-service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considered in processes of making written test Ite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5), 769-781. 

  35. Oh, P., Lee, S., Lee, G., Kim, C., & Kim, H. (2008). Narrative inquiry on student-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with extra curricular science classes of a high school: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constructed by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6), 546-564. 

  36. Park, E. (2005). A study on the self-efficacy and teaching-efficac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9(4), 103-124. 

  37. Remillard, J. & Bryans, M. (2004). Teachers' orientations toward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Implications for teacher learn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52-388. 

  38. Seo, K. (2009). Teachers' experience of reconstructing national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7(3), 159-189. 

  39. Shim, H. (2016).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ion development and practical knowledge formation in biology laboratory teaching club.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40. Stake, R.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Sage. 

  41. Van Driel, J. H., Jong, O. D., & Verloop, N. (2002).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86(4), 572-590. 

  42. Yang, C., Bae, Y., & Noh, T. (2015).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curriculum design for teaching in science muse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1), 95-107. 

  43. Yeo, S., & Hong, J. (2006). The effect of the practice teaching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perception about science teaching. The Bulletin of Science Education, 19, 115-123. 

  44. Yoon, J. (2017). A case study on experiential elements in teaching practice for developing PCK factors of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3), 675-702. 

  45. Yoon, J. (2014). An examination on the influences and methods of mentoring for improv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11), 309-332. 

  46. Yu, E. (2009) Identity formation of preservice earth-science teachers who changed their major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