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흰다리새우 유생의 저염분 순치방법에 따른 생화학적 특성변화
Effect of Acclimation Methods on Physiological Status of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Larvae to Low Salinitie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5 no.1, 2017년, pp.6 - 12  

김수경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심나영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장진우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전제천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김수경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신윤경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흰다리새우 초기유생이 (Postlarvae 15) 4 psu 저염분 순치 시 생리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로서 순치방법, 즉 일반 해수를 비교구로 하고 8시간마다 빠르게 염분을 50%씩 감소를 한 실험구 (fast acclimation; F.A.)와 하루에 50%씩 천천히 염분을 감소시킨 실험구 (slow acclimation; S.A.)를 설정하여 생리학적 변화를 비교하였다. 생존율, gloucose와 혈중 요소성 질소의 함량이 순치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이온의 조성은 순치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저염분에 순치된 새우의 체액 조성 중 마그네슘과 나트륨은 염분 32 psu에서 보다 낮은 농도를 보였다. 특히 나트륨 농도는 직접적으로 새우의 삼투압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데 빠르게 순치를 시킨 F.A. 실험구에서 급격히 나트륨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분 32 psu에서 16 psu로 감소). 순치과정에서 새우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처음 50% 염분을 감소시키는 과정은 8시간 이상으로 유지하고 그 이후에는 빠르게 순치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the physiological change of th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postlarvae 15 stages, under different acclimation methods up to the endpoint of 4 practical salinity unit (psu). Besides using sea water as the control, two acclimation methods, fast acclimation (50% salinity reduc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자연해수에서 염분 4 psu에 도달하기까지 8시간마다 염분을 50% 감소시켜 24시간 안에 도달하는 방법과 천천히 24시간마다 염분을 50% 감소시켜 72시간 동안 순치시키는 방법으로 초기유생의 조직으로부터 삼투압, 생화학적 특성 및 이온변화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저염분 순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흰다리새우가 세계적으로 지역의 제한을 받지 않고 가장 많이 양식이 되는 종인 이유는?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는 광염성 종으로 1~40 psu까지 광범위한 염분 범위에서도 생존이 가능하여 세계적으로 지역의 제한을 받지 않고 가장 많이 양식이 되고 있는 종이다. 우리나라의 2011년 새우 생산량은 2,844톤이었으며 2015년에는 5,500톤으로 급격히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의 2011년 새우 생산량은?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는 광염성 종으로 1~40 psu까지 광범위한 염분 범위에서도 생존이 가능하여 세계적으로 지역의 제한을 받지 않고 가장 많이 양식이 되고 있는 종이다. 우리나라의 2011년 새우 생산량은 2,844톤이었으며 2015년에는 5,500톤으로 급격히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이 중 흰다리새우의 비율이 99.
우리나라의 새우 생산량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2011년 새우 생산량은 2,844톤이었으며 2015년에는 5,500톤으로 급격히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이 중 흰다리새우의 비율이 99.4%로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토속종인 대하와 보리새우 양식은 매우 미미한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twood HL, SP Young, JR Tomasso and CL Browdy. 2003. Survival and growth of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postlarvae in low salinity and mixed-salt environments. J. World Aquac. Soc. 34:519-523. 

  2. Bachere E, E Mialhe and J Rodriguez. 1995. Identification of defense effector in the haemolymph of crustacea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shrimp, Penaeus japonicus (Bate): prospects and applications. Fish Shellfish Immunol. 5:597- 612. 

  3. Boyd CE and T Thunjai. 2003. Concentrations of major ions in waters of inland shrimp farms in China, Ecuador, Thailand, and the United States. J. World Aquac. Soc. 34:524-532. 

  4. Castillo-Soriano FA, VA Ibarra-Junquera, FJ Olivos-Ortiz, FJ Barragan-Vazquez and AO Meyer-Willerer. 2010. Influence of water supply chemistry on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culture in low-salinity and zero-water exchange ponds. Panam. J. Aquat. Sci. 5:376-386. 

  5. Charmantier G and C Soyez. 1994. Effect of molt stage and hypoxia on osmoregulatory capacity in the penaeid shrimp Penaeus vannamei. J. Exp. Mar. Biol. Ecol. 178:233-246. 

  6. Davis DA, TM Samocha and CE Boyd. 2004. Acclimation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to inland, low salinity waters. SRAC publication No. 2601. 

  7. Fieber LA and PL Lutz. 1982. Calcium requirements for molting in Macrobrachium rosemberggi. J. World Aquac. Soc. 13:21-27. 

  8. Hall MR and EH van Ham. 1998.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stress on lood glucose in the giant tiger Prawn, Penaeus monodon. J. World Aquac. Soc. 29:290-299. 

  9. Huong DTT, S Jasmani, V Jayasankar and M Wilder. 2010. Na/K-ATPase actiity and osmo-ionic regulation in adult whiteleg shrimp Litopenaeus vannamei exposed to low salinities. Aquaculture 304:88-94. 

  10. Jayasankar V, S Jasmani, T Momura, S Nohara, DTT Huong and MN Wilder. 2009. Low salinity rearing of the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Acclimation, survival and growth of postlarvae and juveniles. JARQ 43:345-350. 

  11. Loeza F, MA Hurtado, JL Ramirez, O Arjona, IS Racotta and E Palacios. 2005. Effect of HUFA on osmoregulatory capacity in shrimp (Litopenaeus vannamei) postlarvae. 6th International Crustacean Congress, Glasgow, UK, p. 167. 

  12. Lignot JH, C Spanings-Pierro and G Charmantier. 2000. Osmoregulatory capacity as a tool in monitoring the physiological condition and the effect of stress in crustaceans. Aquaculture 191:209-245. 

  13. Laramore S, RC Laramore and J Scarpa. 2001. Effect of low salinity on growth and survival of postlarvae and juvenile Litopenaeus vannamei. J. World Aquac. Soc. 32:385-392. 

  14. Mantel LH and LL Farmer. 1983. Osmotic and ionic regulation, in Mantel, LH. (Ed.) The biology of crustacea 5. Internal anatomy and physiological regulation: 53-161. 

  15. McGraw WJ, DA Davis, D Teichert-Coddington and DB Rouse. 2002. Acclimation of Litopenaeus vannamei postlarvae to low salinity: Influence of Age, Salinity endpoint, and rate of salinity reduction. J. World Aquac. Soc. 33:78-84. 

  16. McGraw WJ and J Scarps. 2003. Minimum Environmental potassium for survival of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Boone) in freshwater. J. of Shellfish Res. 22: 263-267. 

  17. McGraw WJ and J Scarps. 2004. Mortality of freshwater-acclimated Litopenaeus vannamei associated with acclimation rate, habituation period, and ionic challenge. Aquaculture 236:285-296. 

  18. McGraw WJ, DA Davis, D Teichert-Coddington and DB Rouse. 2002. Acclimation of Litopenaeus vannamei Postlarvae to low salinity: Influence of age, salinity endpoint, and rate of salinity reduction. J. World Aquac. Soc. 33:78-82. 

  19. Pequeux A. 1995. Osmotic regulation in crustaceans. J. Crustac. Biol. 15:1-60. 

  20. Purssell RA, M Pudek, J Brubacher and RB Abu-Laban. 2001. Derivation and validation of a formula to calculate the contribution of ethanol to the osmolar gap. Ann. of Emerg. Med. 38:653-659. 

  21. Palacios E and IS Racotta. 2007. Salinity stress test and its relation to future performance and different physiological responses in shrimp postlarvae. Aquaculture 268:123-135. 

  22. Racotta IS and E Palacios. 1998. Hemolymph metabolic variables in response to experimental manipulation stress and serotonin injection in Penaeus vannamei. J. World Aquac. Soc. 29:351-356. 

  23. Robertson JD. 1953. Further studies on ionic regulation in marine invertebrates. J. of Exp. Biol. 30:277-299. 

  24. Roy LA, DA Davis, IP Saoud and RP Henry. 2007. Effects of varying levels of aqueous potassium and magnesium on survival, growth and respiration of the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reared in low salinity waters. Aquaculture 262:461-469. 

  25. Sanchez MN, V Gonzalez, P Aguayo, JM Sanchez, MA Tanimoto, J Elizondo and M Uribe. 2001. Fish oil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beneficially affect biliary choesterol nucleation time in obese women losing weight. J. Nutr. 131:2300-2303. 

  26. Saoud IP, DA Davis and DB Rouse. 2003. Suitability studies of inland well waters for Litopenaeus vannamei culture. Aquaculture 21:373-383. 

  27. Scarpa J and DE Vaughan. 1998. Culture of the Marine Shrimp, Penaeus vannamei, in Freshwater. Aquaculture 98:473. 

  28. Spaargaren DH, PA and Jr. Haefner. 1987. The effect of environmental osmotic conditions on blood and tissue glucose levels in the brown shrimp, Crangon crangon (L.). Comp. Bioche. Physiol. 87A:1045-10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