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들의 이공계 진로동기 형성과정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A Study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STEM career motivation formation: An approach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1 no.1, 2017년, pp.36 - 59  

정영희 (봉서중학교) ,  신세인 (전북대학교) ,  이준기 (전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문계고등학생의 이공계 진로동기를 진단하고 상태를 알기 위해 진로동기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근거이론 접근을 사용하여 인문계고등학생의 입장에서 진로동기 형성과정을 밝힘으로써 맥락에 적합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공계 교과 담당교사에게 이공계 직업을 결정하고 직업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려고 노력한 경험이 있는 학생을 추천해달라고 부탁하여 인문계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21명, 여학생 21명 총 4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319개의 개념과 56개의 하위범주,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인문계고등학생의 이공계 진로동기 형성과정은 '이공계관련 직업을 생각하게 된 계기'라는 인과적 조건과 '학교 안팎의 이공계관련 교육과 경험'이라는 맥락적 조건의 영향을 받아 '자기이해와 이공계 직업이해'이라는 중심현상에 대해 '사회적 지지와 장애물'의 중재적 조건의 영향을 받으면서 '이공계 직업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의 전략을 사용하여 '이공계 진로에 대한 만족감'의 결과로 나타났다. 과정분석, 핵심범주, 유형분석을 통하여 진로동기 관련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 나라 상황에 맞는 진로동기이론과 학교 안팎의 진로교육의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실질적인 이공계 진로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heory appropriate to the context by identifying the career motivation formation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among non probability sampling was us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러다임 분석이란? 패러다임 분석이란 체계적으로 구조와 과정이 통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정돈하는 것을 돕는 하나의 분석적 도식이라고 할 수 있다(Strauss & Corbin, 1998). 연구 참여자들의 심층면접 자료, 창의성 개발일지, 교과노트, 과제 보고서, 탐구과제 보고서 등을 근거로 분석한 결과들을 패러다임의 범주화 과정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이공계 진로동기 형성과정을 분석하였다.
진로와 관련된 선택이 개인의 삶에 중요한 이유는? 이러한 다양한 선택들 중에서 진로와 관련된 선택은 개인의 삶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결정 중의 하나이다. 그 이유는 자신의 능력과 소질을 발휘하고 자아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직업선택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미래의 직업은 더욱 전문화, 세분화되고 직업세계의 변화도 가속화될 것이며, 현재 유망한 직업들이 없어지기도 할 것이다.
미래의 직업에 대한 특징은? 그 이유는 자신의 능력과 소질을 발휘하고 자아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직업선택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미래의 직업은 더욱 전문화, 세분화되고 직업세계의 변화도 가속화될 것이며, 현재 유망한 직업들이 없어지기도 할 것이다. 이렇듯 개인의 평생에 걸친 지속적인 자아실현과 행복추구에서 직업과 진로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J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2. Crites, J. O. (1974). The and research handbook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CMI. Monterey, CA: cbt/McGraw-Hill. 

  3. Do, S. L. (2009). A causal model of career related motivation of women in engineering major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3(4), 767-785. 

  4. Farmer, H. S. (1980). Environmental, background, and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optimizing achievement and career motivation for high school girl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7(1), 58-70. 

  5. Granovetter, M. S. (1973).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6), 1360-1380. 

  6. Granovetter, M. S. (1974). Getting a job: A study of contacts and career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7. Gribbons, W. D., & Lohnes, P. R. (1968). Emerging careers. New York, NY: Teachers Colleges Press. 

  8. Gribbons, W. D., & Lohones, D. R. (1968). Relationships among measures of readiness for vocational plann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1. 13-20. 

  9. Grzeda, M. M., & Prince, J. B. (1997). Career motivation measures: a test of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8(2), 172-196. 

  10. Holmes, V. L., & Esses, L. M. (1988). Factors influencing Canadian high school girls' career motivatio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12, 313-328. 

  11. Hwang, Y. J. (2007). Determinants of career decision and perceived level of career information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17(1), 131-158. 

  12. Jung, C. Y., Jeong, J., Lee, J., Jeong, D., Lim, H., Lee, S., & Lim, J. (2015). Career education in South Korea: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8(3), 155-171. 

  13. Kim, B. K., & Jyung, C. Y. (2012).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leadership,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areer motiv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4(2), 49-71. 

  14. Kim, S. H. (2012). Impact of career decision -making training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of school dropouts. Journal of Evaluation on Counseling, 5(2), 47-59. 

  15. Kwon, H. (2016). Understanding grounded theory.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20(2), 181-216. 

  16. Lee, H. J. (2011). The role of career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career indecision.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7(4), 95-116. 

  17. Lee, J. H. (2013). The relationships between clusters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resilience and the career maturat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3(2), 39-59. 

  18. Lee, S. K. (2005). Korean high school student's vocational identity :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family environment.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18(2), 65-78. 

  19. Lincoln, Y. S., & Guba, E. G. (1989). Naturalistic inquiry. Beverley Hills, CA: Sage Publication. 

  20. London, M. (1983). Toward a theory of career motiv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8(4), 620-630. 

  21. London, M., & Mone, E. M. (1987). Career management and survival in the workplace. San Francisco, CA:Jossey-Bass. 

  22. Maurer, T., & Tarulli, B. (1994). Perceived environment, perceived outcome, and person variables in relationship to voluntary development activity by employe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9, 3-14. 

  23. Messick, S. (1995). Standards of validity and the validity of standards in performance assessment.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14(4), 5-8. 

  2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2011). Science curriculum. Seoul, Korea: Author. 

  25. Moon, S. T., & Kim, Y. (2002). A study on psychological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career decis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e third grade students of high schools in chung-nam province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4(2), 49-60. 

  26. Noe, R. A., & Ford, J. K. (1992). Emerging issues and new directions for training research.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10, 345-348. 

  27. Noe, R. A., Noe, A. W., & Bachhuber, J. A. (1990). An investigation of the correlates of career motiv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7, 340-356. 

  28. Oh, H. S., Bae, J. H., Lee, S. E., & Jang, H. J. (2010). The comparative study on career decision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9(2). 245-265. 

  29.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30.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31. Super, D. F. (1963). Career development: Self-concept theory. In D. E. Super, R. Starishevshky, N. Matlin, & J. P. Jordan (Eds.), Self-concepts in vocational development (pp. 17-31). New York, NY: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32. Tohidi, N. (1984). Sex differences in achievement/career motivation of Iranian boys and girls. Sex Roles, 11(5), 467-484. 

  33. Woo, J. I., & Lee, J. K.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e-scientist experience program in biotechnology for career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Biology Education, 42(3), 304-3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