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중년 환자의 우울이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 - 극복력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Effects of Depression on the Rehabilitation Motivation of Middle-Aged Stroke Patient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4, 2017년, pp.58 - 66  

오수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황선영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년기 뇌졸중 환자의 우울과 재활동기의 관계에서 극복력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대학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S시에 소재한 3개의 병원과 U시에 소재한 4개의 병원에서 입원하여 재활치료중인 40세 이상 64세까지의 중년기 환자 185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2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 보고식으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인과적 단계방식이 활용 되었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을 위해 PROCESS가 활용되고 Bootstrapping 방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56.26이었고, 남성이 70.3%이었으며 우울 수준은 평균 21.21점, 극복력은 평균 25.52점, 재활동기의 평균은 47.44점이었다. 우울은 극복력 및 재활 동기와 부적인 관련성을 가졌다. 이에 반해서, 극복력과 재활 동기는 정적인 관련성을 가졌다. 즉 우울과 재활동기의 관계에서 극복력이 완전 매개효과로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뇌졸중 환자에게 재활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middle-aged stroke patients. There was a total of 185 middle-aged patients aged 40 to 64 years, who were diagnosed with stroke 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재활치료중인 중년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우울이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재활동기 향상을 위한 극복력 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뇌졸중 진단 후 재활병원에서 재활치료중인 40세부터 64세까지의 중년기 환자로 뇌졸중 환자의 우울이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으로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우울이 극복력을 매개로 하여 재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 매개효과로 나타났다.
  • 극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중재프로그램의 개발과 간호중재가 필요하며 대상자에게 개입할 때 재활 동기가 향상될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재활치료를 하는 뇌졸중 환자에게 우울이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극복력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중재를 제시하여 환자의 재활의 효과를 높여 회복시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 본 연구는 중년 뇌졸중 환자의 우울이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56.
  • 본 연구는 중년기에 재활치료중인 뇌졸중 환자의 우울과 재활동기, 극복력 정도를 파악하고 우울이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우울과 재활동기, 극복력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파악하고, 우울이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뇌졸중 환자대상으로 본 연구와 동일한 도구를 이용하여 우울과 재활동기 관계를 살펴 본 연구는 없었다. 이에 직접비교의 어려움이 있어 다른 우울 측정도구를 사용한 연구결과와 비교해 본다. 뇌졸중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본 연구에서와 같이 우울과 재활동기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4,18,1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혈관이 파열 되거나 혈전으로 인한 폐쇄로 인해 발생하는 뇌혈류의 차단으로 산소와 영양공급을 막아 뇌조직의 일부가 손상된 질환이다[3]. 뇌졸중의 유형별로는 심평원 청구 자료의 뇌졸중 입원을 분석한 결과 2009년에는 전체 뇌졸중 발생 중 허혈성 뇌졸중이 76.
뇌졸중의 유형별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뇌졸중은 뇌혈관이 파열 되거나 혈전으로 인한 폐쇄로 인해 발생하는 뇌혈류의 차단으로 산소와 영양공급을 막아 뇌조직의 일부가 손상된 질환이다[3]. 뇌졸중의 유형별로는 심평원 청구 자료의 뇌졸중 입원을 분석한 결과 2009년에는 전체 뇌졸중 발생 중 허혈성 뇌졸중이 76.1%, 출혈성 뇌졸중이 23.9%이었으며, 2000년의 허혈성 뇌졸중 64.7%, 출혈성 뇌졸중 35.3%에 비하여 허혈성 뇌졸중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4].
뇌졸중 발생시 치료를 통해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를 최소화하는게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뇌졸중은 일단 발생하면 사망 또는 심각한 장애를 유발하게 되며, 70~75%는 완전히 회복되지 못하고 손상된 뇌의 부위에 따라 편마비를 비롯하여 운동장애, 감각 장애, 보행장애, 통증, 정서장애 등의 문제를 동반하게 된다[5]. 따라서 뇌졸중이 발생한 경우 적절한 치료를 통해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를 최소화해야 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SIS, The cause of death in 2015, statistics, (accessed, 9, 2016). Available From: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Maj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program guidelines. 2008 Retrieved February 25, 2013, From http://www.mw.go.kr. 

  3. World Health Organization(2015). Retrieved March 4, 2015, Available From http://www.who.int/topics/cerebrovascular accident/en/ 

  4.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stroke, revision, 2015, Available From: http://www.stroke-crc.or.kr/popup_090513.html, (accessed, 3, 2015). 

  5. F. D. Monahan, W. Phippes, J. Phippes, medical-surgical Nursing Health & Illness Perspectives(8th ed), pp. 1428-1429, Missouri: Elsevier Mosby, 2007.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Health Statistics 2014. retrieved April, 15. 2016.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7. S. G. Bae, S. K Lee, C. H. Han "Influencing and Mediating Factors in Stroke: Based on 2007-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 pp. 418-428,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1.418 

  8. H. J. Yi, M. S. Lee, "Adjustment of Middle-aged People with Hemiplegia after a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6, no. 5, pp. 792-802, 2006. DOI: https://doi.org/10.4040/jkan.2006.36.5.792 

  9. S. O. Shin, E. K. Roh, "A Influencing Factors in Korea Adults Strok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12, pp. 6227-6236, 2013. DOI: https://doi.org/10.5762/KAIS.2013.14.12.6227 

  10. S. Y. Lee, M. L. Heo,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Middle-aged Men's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Society, vol. 16, no. 7, pp. 4777-4785,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7.4777 

  11. S. Y. Oh, J. S. Lee, "Hemiplegic Experience after Stroke among Middle Aged Ma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5, pp. 582-593,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5.582 

  12. N. Maclean, P. Poend, C. Wolfe, & A. Rudd, "Qualitative analysis of stroke patient's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British Medical Journal, vol. 321, no. 7268, pp. 1051-1057, 2000. DOI: https://doi.org/10.1136/bmj.321.7268.1051 

  13. A. Karahan, Y. Kucuksen, S. Yilmaz, H. Salli, A. T. Gungor, & M. Sahin, "Effects of rehabilitation services on anxiety, depression, care-giving burde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f stroke caregivers", Journal of Faculty of Medicine in Hradec Kraa.lovee, vol. 57, no. 2, pp. 68-72. 2014. DOI: https://doi.org/10.14712/18059694.2014.42 

  14. Y. Kim, "The Impact of Acceptance of Disabilit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Rehabilitative Motivationin Hemiplegic Patients after 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6. 

  15. S. S. Luthar, & D. Cicchetti, "The construct of resilience; Implication for interventions and social policie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 12, no. 4, pp. 857-885,2000. DOI: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4156 

  16. M. S. Chung, "Resilience, Coping methods, Quality of Life,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20, no. 4, pp. 345-354, 2011.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1.20.4.345 

  17. E. A. Cho, H. E. Oh,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Quality of Life, Resilience and Immune Respon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1, no. 3, pp. 285-293, 2011. DOI: https://doi.org/10.4040/jkan.2011.41.3.285 

  18. S. J. Imm,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silience in stroke patients at h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13. 

  19. E. S. Choi, E. N. Lee, J. L. Cho,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 vol. 23, no. 1, pp. 19-27, 2016. DOI: https://doi.org/10.5953/JMJH.2016.23.1.19 

  20.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Psychological Measurement , vol. 1, no. 3, pp. 385-401, 1977. DOI: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21. M. Y. Ham, "An Effects of Individualized Early Rehabilitation Education Program for Patients Acute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Unpublished doctoral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1. 

  22. H. S HAN,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 the Disabled",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14, no. 4, pp. 554-563, 2002. 

  23. J. A. Lee, "A Study on the Impact of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Social Support on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mbu University, Seoul, 2011. 

  24. J. G, Tak, Psychological testing: understanding development and evaluation methods, Seoul: hakjisa, 2007. 

  25. L. Campbell-Sills, & M. B. Stein, "Psychometric analysis and refinement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validation of a 10-item measure of resilience",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 20, no. 6, pp. 1019-1028. 2007. DOI: https://doi.org/10.1002/jts.20271 

  26. J. H. Kim, "Relationship between dysphagia and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elderly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14. 

  27. A. S. Park, E. Ko, H. S. Kang, "Comparison of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Family Support and Adherence to Rehabilitation between Depressive and Non-depressive Stroke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 19, no. 2, pp. 138-147, 2016. DOI: https://doi.org/10.7587/kjrehn.2016.138 

  28. J. H. Yang, O. S. Ki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Resilience of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6, no. 3, pp. 327- 337, 2016. DOI: https://doi.org/10.4040/jkan.2016.46.3.327 

  29. S. Y. Bae, "Effects of discharge education program with music on resilience and stress responses in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University, Daegu,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