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합성 연구
Learning Experience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 A Meta-synthesis and Meta-ethnography Study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5 no.3, 2019년, pp.300 - 311  

이지애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행정학) ,  전지은 (삼성서울병원) ,  김수영 (의정부시청)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synthesize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 Methods: A systematic review was undertaken using meta-ethnography. Eight databases were searched up to January 2014 for peer-reviewed studies, written in Kor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메타 문화기술지 방법론에 의거해 관련 질적 연구들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의미 있는 주제들을 합성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시뮬레이션 교육 및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대부분의 질적 메타합성연구에서 문헌의 질 평가는 평가의 목적이 아닌 해당 연구를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다는 점을 고려하여(Sandelowski, Docherty, & Endem, 1997), 본 연구에서도 선정된 논문에 대한 이해의 목적으로 질 평가를 수행하였다.
  • 그러나 선행연구가 제시한 다양하고 상이한 결과를 간호교육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적 메타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결과들의 공통점과 다양성을 체계적으로 검토, 분석하고 합성하여 재해석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을 통합적으로 파악하고 이해하고자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경험에 관한 일차질적 연구들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통합하여 의미 있는 주제를 도출하고자 하는 질적 메타합성(qualitative meta-synthesis)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경험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간호교육에서 시뮬레이션 교육의 활용과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통해 선정된 총 9편의 질적 연구를 대상으로 메타 합성을 시행하였다. 시뮬레이션 실습은 미국에서 1990년대부터 활성화되기 시작한(Steropian, Brown, Gavilanes, & Driggers, 2004) 반면 우리나라는 2001년 표준화된 환자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을 시작으로 전체 간호대학의 약 10%에서만이 시뮬레이션 실습을 시행하고 있으며, 교육방법과 주제는 매우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다(Jang et al.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메타 문화기술지 방법론에 의거해 관련 질적 연구들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의미 있는 주제들을 합성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시뮬레이션 교육 및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학생들은 이론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시뮬레이션 실습과정을 통해 직접 실현해보면서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깨닫고 채우기 위해 노력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은 이론을 임상에 적용하는 과정이 어렵다는 것을 느끼고, 학습에 대한 동기를 다졌다(A7; A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뮬레이션 교육을 체험하면서 얻게되는 경험은? 간호대학생들은 기존의 교수법과 다른 시뮬레이션 교육을 체험하면서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된다.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한 긍정적 경험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임상현장과 비슷한 상황에 대응하면서 긴장감, 불안감을 느끼고(Song & Jae, 2018), 처음 접한 수업으로 인한 부담감(Kang, Choi, & Kim, 2013)을 느낀다. 또한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실감하면서 임상현장이 어렵게 느껴지고 자신감이 낮아지기도 하였으며(Kim, 2012), 시뮬레이션 수행 과정에서 타인의 주시에 대해 불안하거나 동료들과 함께 진행하면서 소극적으로 대처하는(Shearer, 2016) 등의 경험들이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교육이란? 시뮬레이션 교육은 시나리오를 통해 임상상황과 유사한 환경에서 학생들이 시뮬레이터를 대상으로 직접 간호를 적용해보고 생리적 변화를 관찰하는 학습방법이다(Kwak, 2017).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 간호대학생들은 간호지식과 실무능력을 능동적으로 학습하였고, 학생들의 간호역량과 실습만족도가 향상되었다(Kwak, 2017; Park, 2017).
간호교육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간호대학생은 간호교육을 통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을 갖춘 전문직업인 간호사로 성장한다. 간호교육은 크게 이론수업과 임상실습으로 구분되며, 이 중 임상실습은 이론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보건의료 현장에 적용하는 교육과정이다(Oremann, Gagne, & Phillips, 2018). 그러나 환자 권리의 신장 및 강화로 인해 임상실습을 하는 동안에도 학생들이 직접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할 수 있는 기회는 점점 줄어들고 있어 수행보다 관찰이나 모니터링 위주의 실습을 하는 실정이다(Kim, Kim, & Moon,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org Sapiano, Alexis, Sammut, Roberta, Trapani, Josef.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simulation in improving student nurses' knowledge and performance during patient deterioration: A pre and post test design. Nurse education today, vol.62, 128-133.

  2. 10.21742/AJMAHS.2018.06.64 

  3. Barker, Alex B., Leighton, Paul, Ferguson, Melanie A.. Coping together with hearing loss: a qualitative meta-synthesis of the psychosocial experiences of people with hearing loss and their communication partners. 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vol.56, no.5, 297-305.

  4. The study on current status of simulation based nursing education Jang 1 2016 

  5. 10.22251/jlcci.2016.16.10.29 

  6. Kaakinen, Joanna, Arwood, Ellyn. Systematic Review of Nursing Simulation Literature for Use of Learning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6, no.1,

  7. 10.22251/jlcci.2016.16.12.495 

  8. 강희영, 최은영, 김해란. 간호학생의 팀기반 시뮬레이션 학습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9, no.1, 5-15.

  9. 10.18014/hsmr.2012.6.3.35 

  10. 김은주, 강승주.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1, 324-330.

  11. 김은정, 김영주, 문성미.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시 간호학생이 인식하는 디브리핑에 대한 의미, 반응, 그리고 효과적인 디브리핑 방법.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24, no.1, 51-59.

  12. Kim, Miok, Lee, Ae Young, Nam, Hyun A. Effects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Flow, Critical Judgemen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Simulation Training: focused on Obstetrical Nursing Cas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7, no.24, 521-534.

  13. 김미영, 박수현, 원종순.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시 발생하는 불안정도가 시뮬레이션 교육만족도,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23, no.4, 411-418.

  14. 김영진, 김지선, 김혜림, 박수비, 소샛별, 정보성, 조은애, 이선영, 김정은.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간호대학생 실습허용에 대한 견해 및 인식.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14, no.1, 10-20.

  15. Kim, Young-Hee, Hwang, Kyung-Hye, Cho, Ok-Hee. Simulation education with problem-based learning: Effect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apprehension.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46, no.1, 151-160.

  16. 고상진, 최은희. 시뮬레이션 기반 심정지 응급간호교육에서 팀 디브리핑의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9, no.6, 667-676.

  17. 2017 

  18. Krueger, Linda, Ernstmeyer, Kim, Kirking, Ellen. Impact of Interprofessional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Teamwork and Collaboration.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56, no.6, 321-327.

  19. Kwak, Eunmi. Effects of simulation-based integrated nursing practice on nursing students.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7, no.10, 445-455.

  20. Merritt, Lisa Schaeg, Brauch, Allison N., Bender, Annah K., Kochuk, Daria. Using a Web-Based e-Visit Simulation to Educate Nurse Practitioner Students.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57, no.5, 304-307.

  21. Moher, David, Liberati, Alessandro, Tetzlaff, Jennifer, Altman, Douglas G.. Reprint-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Physical therapy, vol.89, no.9, 873-880.

  22. Noblit 1988 

  23. Oremann 2018 

  24. 박영미.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7, no.6, 1-7.

  25. 10.1002/(sici)1098-240x(199708)20:4 3.0.co;2-e 

  26. Shearer, Jennifer N.. Anxiety, Nursing Students, and Simulation: State of the Science.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55, no.10, 551-554.

  27. 심가가, 손미선, 지은선.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아동간호 시뮬레이션이 간호학생의 불안, 자기효능감 및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10, 299-308.

  28. An approach to simulation program evaluation Steropian 170 2004 

  29. 윤정현, 이은주. SBAR 이용 팀 기반 시뮬레이션 학습이 간호학생의 비판적사고, 의사소통명확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9, 42-49.

  30. Shorten, A., Ruppel, H.. Looking for zebras and finding horses: A qualitative narrative study of pre-RN licensure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a ''normal'' postnatal simulation. Nurse education today, vol.48, 185-189.

  31. Au, M.L., Lo, M.S., Cheong, W., Wang, S.C., Van, I.K..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high-fidelity simulation activity instead of clinical placement: A qualitative study. Nurse education today, vol.39, 16-21.

  32. Najjar, Rana Halabi, Lyman, Bret, Miehl, Nick.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with High-Fidelity Sim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12, no.1,

  33. Liaw, Sok Ying, Palham, Sabrina, Chan, Sally Wai‐Chi, Wong, Lai Fun, Lim, Fui Ping. Using simulation learning through academic‐practice partnership to promote transition to clinical practice: a qualitative evalu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71, no.5, 1044-1054.

  34. Sundler, A.J., Pettersson, A., Berglund, M..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when examining nursing skills in clinical simulation laboratories with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study. Nurse education today, vol.35, no.12, 1257-1261.

  35.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intravenous injection practice using low fidelity simulator Kim 789 2018 

  36.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simulation practice focusing on cardiac arrest Song 119 2018 

  37. Kim,Yeong-Kyeong,, Jang Sun Hee,, 조영숙,, 김필환,.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Adapting to Simulation Class: An Approach with a Grounded Theory. 질적연구 =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vol.17, no.2, 99-110.

  38. Learning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team based high-fidelity simulation Heo 21 20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