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창의성과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reativity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n Innovative Behavior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 2020년, pp.317 - 325  

정현 (대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고영혜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창의성과 셀프리더십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간호학과 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창의성이 높을수록,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학년이 낮을수록 혁신행동에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혁신행동은 창의성 및 셀프리더십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혁신행동의 주요 영향 요인은 창의성, 셀프리더십, 학년으로 나타났으며, 혁신행동을 36.0%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혁신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입학 시부터 졸업 시까지 창의성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이나 중재 프로그램 등 다양한 전략을 강구하고 셀프리더십을 강화할 수 있는 이론과 실습에서의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reativity and self-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of college nursing students in the convergence society. The participants were 202 college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창의성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혁신 행동 증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이에 본 연구의 주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창의성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창의성, 셀프리더십 및 혁신 행동 정도를 파악하고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융·복합적 측면에서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 간호대학생의 창의성, 셀프리더십, 혁신행동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 간호대학생의 혁신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들을 밝힘으로써 향후 간호대학생의 혁신행동 향상을 위한 모형과 중재 개발을 위한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2개의 지역에서 편의추출에 의한 자료수집으로 본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제한이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된 요인 중에서 간호교육 과정을 통해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창의성 및 셀프리더십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간호대학생의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 융·복합적 측면에서 확인함으로써 미래의 간호사를 준비하는 간호대학생의 혁신행동 증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혁신의 정의는 무엇인가? 세계화와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현대 사회에서는 풍부한 지식과 변화에 대한 개방성 및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해내는 혁신적인 인력을 요구하고 있다[1]. 혁신이란 개인이나 조직이 새로운 아이디어나 실무를 선택하고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2]. 혁신은 일반 기업이나 공공기관, 보건의료기관 등 조직 활동을 수행하는 모든 기관에 적용 가능하며[3], 혁신 행동 수준이 높은 개인은 변화하는 환경에 신속히 적응하거나 대응할 수 있어 조직의 효율성 및 성과향상에 기여한다 [4].
혁신 행동 수준이 높은 사람은 어떤 효과를 낼 수 있는가? 혁신이란 개인이나 조직이 새로운 아이디어나 실무를 선택하고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2]. 혁신은 일반 기업이나 공공기관, 보건의료기관 등 조직 활동을 수행하는 모든 기관에 적용 가능하며[3], 혁신 행동 수준이 높은 개인은 변화하는 환경에 신속히 적응하거나 대응할 수 있어 조직의 효율성 및 성과향상에 기여한다 [4]. 이에 따라 보건의료분야에서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능력으로 혁신 역량을 강조하고 있으며[5], 무엇 보다 보건의료기관 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보건 전문 인력 집단인 간호사가 혁신행동에 기여할 때 병원 경영 측면에서 조직의 효율성 및 수익창출을 높일 수 있다[6].
본 연구에서 모든 간호사가 정책 에 영향을 미치고 혁신을 장려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능 력 중 어떤 리더십을 강조했는가? 그 중 셀프리더십은 개인 이 자신의 방향을 설정하고 동기부여하기 위해 자신에게 스스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으로, 내적 자기 통제와 자기주도적인 능력 발휘를 통해 개인성장과 조직성과에 기여한다[19]. 즉, 셀프리더십을 잘 발휘할 수 있는 사람은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통제하고, 스스로에게 동기부여 를 하며, 건설적 사고를 통해 개인의 능력과 조직성과를 가져오도록 하는 자율적인 힘을 갖게 된다[20]. 간호대학생은 대학생활 시기에 스스로 목표설정을 하고 행동을 통제함으로써 성공적인 성인기로 잘 이행되어야 하고, 주 체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도 스스로 영향력을 행사하여 이끌어 나가는 셀프리더십을 갖출 필요가 있다[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N. Nordin & M. Malik. (2015). Undergraduates' barriers to creative though and innovative in a new millennial era.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01, 93-101. DOI: 10.1016/j.sbspro.2015.08.136 

  2. E. M. Rogers. (2003). Diffusion of Innovations. 5th edition. New York (NY) : Freepress. 

  3. Y. J. Ahn. (2011). A review on innovation. Journal of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12(1), 257-277. 

  4. O. Janssen. (2000). Job demands, perceptions of effort-reward fairness and innovative work behaviou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3(3), 287-302. DOI: 10.1348/096317900167038 

  5. K. J. Kim, B. Y. Jang, J. Y. Jung & O. W. Park. (2018). The coming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HDR issues for nurses: prospects and challenges.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1(3), 137-159. DOI: 10.24991/KJHRD.2018.09.21.3.137 

  6. T. A. Asurakkody & S. Y. Shin. (2018). Innovative behavior in nursing context: a concept analysis. Asian Nursing Research, 12(4), 237-244. DOI: 10.1016/j.anr.2018.11.003 

  7.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009). Delivering Quality, Serving Communities: Nurses Leading Care Innovations. Geneva :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8. M. Y. Mun & S. Y. Hwang. (2016). Impact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n innovative behavior and job embeddedness perceived b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2(4), 313-322. DOI: 10.11111/jkana.2016.22.4.313 

  9. D. Y. Lee & J. H. Cho. (2018). Convergence influence of self-resilience, critical think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561-569. DOI: 10.15207/JKCS.2018.9.10.561 

  10. J. K. Ko et al (2013). Modeling of nursing competencies of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87-96. DOI: 10.5977/jkasne.2013.19.1.87 

  11. S. B. Choi. (2012). The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creative personality and innovative behaviour and study satisfaction.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31(4), 611-638 DOI: 10.29214/damis.2012.31.4.026 

  12. T. G. Jung, Y. G. Lee & W. I. Lee. (2017).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lf-leadership, self-esteem, learning flow and innovative behavior by college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major.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6(1), 345-359. 

  13. D. H. Ryoo, M. Kang & J. W. You. (2015).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capital, creative personality, learning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Thinking & Problem Solving, 11(3), 143-167. 

  14. J. C. Chang & Y. L. Yang. (2012). The effect of organization's innovational climate on student's creative self-efficacy and innovative behavior. Business & Entrepreneurship Journal, 1(1), 75-100. 

  15. E. I. Jeong & Y. H. Park. (200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veryday creativity scal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17, 155-183. 

  16. S. H. Tak. (2018). Gerontological nursing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s1), 160-165. DOI: 10.17079/jkgn.2018.20.s1.s160 

  17. O. H. Kim, J. J. Sun & J. H. Kong. (2015). The relationship among creativity, personal responsibility orient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5B), 2809-2821. 

  18. M. R. Moreira, M. Gherman & P. S. Sousa. (2017). Does innovation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healthcare organizations? Innovation, 19(3), 335-352. DOI: 10.1080/14479338.2017.1293489 

  19. L. Watson. (2004). Self-leadership: becoming an exceptional leader. Radiologic Technology, 75(6), 457-471. 

  20. J. D. Houghton & C. P. Neck. (2002).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7(8), 672-691. DOI: 10.1108/02683940210450484 

  21. H. J. Park. (2015). Correlation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2), 227-236. DOI: 10.5977/jkasne.2015.21.2.227 

  22. S. N. Lee & J. A. Kim. (2016).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affectivity, self-leadership,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2), 125-136. 

  23. Y. K. Shin, M. S. Kim & Y. S. Han. (2009).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RSLQ)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6(3), 313-340. 

  24. R. F. Kleysen. & C. T. Street. (2001). Toward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 Journal of Intellectual Capital, 2(3), 284-296. DOI: 10.1108/EUM0000000005660 

  25. S. J. Kim. (2014). Effects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Nurses.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6. C. Okonkwo. (2014). Science Self-Efficacy and Innovative Behavior (IB) in Nigerian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 (STEM) Programs.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Ohio. 

  27. E. I. Jeong. (2013).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daptability between everyday creativity, self-leadership, and major commitment.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26(3), 161-187. 

  28. G. S. Lee, B. J. Hwang & Y. H. Lee. (2016).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ity and perceived organization's value innovation culture on innovative behavior and innovation performance. Korea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31(4), 283-311. 

  29. S. J. Kim & M. Park. (2015). Leadership, knowledge sharing, and creativity: the key factors in nurses' innovative behavior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45(12), 615-621. DOI: 10.1097/NNA.0000000000000274 

  30. J. P. De Jong & D. N. Den Hartog. (2010). Innovative work behavior: measurement and validation.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9(1), 23-36. DOI: 10.1111/j.1467-8691.2010.00547.x 

  31. J. J. Youn & K. E. Kim. (2012). Undergraduate student'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creativity and school adjustment: the mediating role of creativity.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3(2), 117-128. 

  32. K. J. Moon. (2017). Capstone design trail in nursing education and its outcom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6), 194-202. DOI: 10.5392/JKCA.2017.17.06.194 

  33. J. S. Song & P. S. Yang. (2008). A study on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10(1), 223-246. 

  34. E. J. Shin & Y. S. Park. (201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entoring program designed to assist nursing students adjust to life in college and strengthen their leadership 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7), 4595-4603. DOI: 10.5762/KAIS.2015.16.7.4595 

  35. I. S. Jung. (2018). Convergence effects of collaborative peer tutoring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533-540. DOI: 10.15207/JKCS.2018.9.10.533 

  36. S. E. Oh & J. Y. Lim. (2019). Developing and evaluating a camp-style leadership enhancement program for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5(1), 52-61. DOI: 10.11111/jkana.2019.25.1.52 

  37. M. M. Hammond, N. L. Neff, J. L. Farr, A. R. Schwall & X. Zhao. (2011). Predictors of individual-level innovation at work: a meta-analysis.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5(1), 90-105. DOI: 10.1037/a0018556 

  38. Z. Zhong, D. Hu, F. Zheng, S. Ding & A. Luo. (2018).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seeking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in Chines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63, 1-5. DOI: 10.1016/j.nedt.2018.01.004 

  39. N. Genco, K. Holtta-Otto & C. C. Seepersad. (2012).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undergraduate engineering students. The Research Journal for Engineering Education, 101(1), 60-81. DOI: 10.1002/j.2168-9830.2012.tb00041.x 

  40. E. Martins & N. Martins. (2002). An organizational culture model to promote creativity and innovation. SA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28(4), 58-65. DOI: 10.4102/sajip.v28i4.71 

  41. H. S. Kim, I. S. Ko, W. H. Lee, S. Y. Bae & J. O. Shim. (2004). Evalu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0(4), 395-4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