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삼, 형개, 자초 혼합물(GHJ)의 인간비만세포에서의 항염증 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GHJ on Allergic Inflammatory Response in Human Mast Cells (HMC-1)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25 no.2, 2017년, pp.167 - 177  

황만기 (서초아이누리한의원) ,  최영진 (경희다복한의원) ,  김민주 (약수아이누리한의원) ,  이비나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  정혁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  손영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inhibitory effects of GHJ on allergic inflammatory response in human mast cells (HMC-1). Methods :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GHJ (62.5, 125, 250, 500, $1000{\mu}g/mL$), HMC-1 cells were stimulated with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비만세포에서의 GHJ의 항알레르기 효과를 규명하고자 HMC-1 세포에서 PMACI에 의한 사이토카인 수준과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의 염증 신호전달경로인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ERK), c-Jun N-terminal kinase (JNK), p38의 발현과 nuclear factor kappa B (NF-kB)의 신호전달에서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또한 흰쥐에서 GHJ가 PCA에 미치는 영향, Compound 48/80에 의해 흰쥐 복강 비만세포(Rat peritoneal mast cell)의 탈과립 및 히스타민 방출 억제 효과를 증명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인간비만세포주인 HMC-1에 칼슘 ionphore인 A23187과 protein kinase C에 직접 작용하는 분열촉진제인 PMA가 결합된 PCACI를 처리하여 비만세포의 활성을 유도하여 염증을 유발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GHJ이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세포막에서 핵까지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 MAPK pathway에 작용하는 요소인 MAPKs는 세포의 증식과 분화, 사멸, 사이토카인과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반응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며27), 크게 ERK, JNK, P38로 분류된다28-31).
  • 또한 형개는 발열, 오한, 두통, 신통 등의 증상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4). 마지막으로 자초는 해독작용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으며 항암, 항균 효과가 있다4)는 보고도 있었지만 이 약재들을 배합한 약물으로 항염증 효과를 증명한 연구는 없었기 때문에 본 연구진은 고삼, 형개, 자초를 혼합한 열탕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에 대해서 연구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히스타민의 부장용은 무엇인가? 현재 염증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은 항히스타민제와 스테로이드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데 항히스타민의 경우 염증 완화작용은 뛰어나지만 일시적 진정효과가 있지만, 두통, 녹내장, 체중증가, 급성 중독 등의 부작용이 있는 실정이고, 스테로이드제의 경우 강력한 소염작용과 면역억제 작용이 있으나 장기간 투여 시 골다공증, 고혈당, 쿠싱 증후군 등 심각하고 다양한 부작용이 일어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15-17). 면역요법은 정확한 작용기전이 없으며, 부작용으로 인한 사망사고가 빈번하여 치료에 한계가 있다.
苦蔘의 특징은 무엇인가? GHJ의 구성약재인 苦蔘(Sophora flavescens)은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으로써 주요성분으로는 마트린이 포함되어 있고 항균, 항바이러스 및 피부질병에 이용된다1,2). 荊芥는 꿀풀과에 속하는 荊芥의 꽃의 이삭과 잎을 건조한 것으로 학명은 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이고 熱惡寒, 頭痛, 腎通 등의 증 상에 전통적으로 빈번하게 사용되어 왔다3,4).
제 I 형 알레르기 반응은 어떤 병증을 유발 할 수 있는가? 여러 가지 염증 반응 중, 급성으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1형 과민반응은 IgE 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IgE의 결합에 의해 비만세포가 탈과립된다고 알려져 있고, 히스타민, 세로토닌, 혈소판활성 인자, trypase, kininogenase, prostaglandin D2와 같은 화학전달물질이 유리한다35). 이 현상은 즉시형 과민반응 및 알레르기성 비염, 기관지의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일으키게 된다3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X He, J Fang, L Huang, J Wang, X Huang. Sophora flavescens Ait.: Traditional usage,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an important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Aug 22 2015;172:10-29. 

  2. Y Liu, T Bi, W Dai, et al. Effects of Oxymatrine on the Proliferation and Apoptosis of Human Hepatoma Carcinoma Cells. Technology in cancer research &treatment. Jun 2016;15(3):487-497. 

  3. YH Kim. New Herbology. Hanol; 2014. 

  4. committee Korean Medical Pharmacology Text publication. Korean medical pharmacology. seoul: shinil books; 2010. 

  5. SH Cho. Allergic rhinitis mouse model. Korean society of oth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12;55:609-615. 

  6. DJ Stuehr, HJ Cho, NS Kwon, MF Weise, CF Natha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cytokine-induced macrophage nitric oxide synthase: an FAD- and FMN-containing flavoprote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ep 01 1991;88(17):7773-7777. 

  7. Pthology The Korean Society of. Pathology. Vol 90. seoul, 2010. 

  8. Church MK, F Levi-Schaffer. The human mast cell. . J Allergy Clin Immunol 1997;99:155-160. 

  9. Kyung Bum Kim, Jeong Su Park, Jeong Jong Moon. Effects of Phyto?Extract Mixture (PEM381) in Type I Allergic Reaction-Induced M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7;36:1377-1384. 

  10. TY Shin. Allergy and korean medicine. seoul, 2001. 

  11.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Koonja Publishing Inc; 1990. 

  12. KD Cooper. Atopy dermatitis-Recent trends in pathogenesis and therapy. J Invest Dermatol. 1994;102:128-137. 

  13. Koda A, Watanabe S, Yanagihara Y, Nagai H, K Sakamoto. A comparative study of the antiallergic effects of disodium baicalein 6-phosphate (BPS) and disodium cromoglycate (DSCG). Jpn J Pharmacol. 1977;27:31-38. 

  14. Nagai H Takizawa T, Nakatomi I, Matsuura N, Koda A Anti-allergic action of glucocorticoids in rats. Jpn J Pharmacol. 1983;33:349-355. 

  15. Dermatology Korean Dermatology Association. Dermatology. Vol 208. Seoul: Ryo Moon Gak. P.Co; 1994. 

  16. Park JH, SW Hong. The Effects of Hyunggaeyungyotang of Suppression of iNOS Production on Mice with Allergic Rhiniti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Dermatology 2012;25(1):12-21. 

  17. surgery The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nd ed. Seoul: Ilchokak; 2009. 

  18. Malling HJ, B Weeke. Immunotheraphy. allergy. 1993;48:1-35. 

  19. Aversa G, J Punnonen, al. at. An interleukin 4 (IL-4) mutant protein inhibits both IL-4 or IL-13-induced human immunoglobulin G4 (IgG4) and IgE synthesis and B cell proliferation: support for a common component shared by IL-4 and IL-13 receptors. J Exp Med 1993;178: 2213-2218. 

  20. Henz BM, Maurer M, Lippert U, Worm M, M Babina. Mast cells as initiators of immunity and host defense. Exp Dermatol 2001;10:1-10. 

  21. Mican JA, Arora N, Burd PR, DD Metcalfe.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in mouse skin is associated with local accumulation of interleukin-6 mRNA and immunoreactive interleukin-6 protein. J Allergy Clin Immunol 1992;90:815-824. 

  22. Bradding P, Mediwake R, Feather IH, Madden J, Church MK, al. et. TNF alpha is localized to nasal mucosal mast cells and is released in acute allergic rhinitis. Clin Exp Allergy 1995;25:406-415. 

  23. Koch AE, Polverini PJ, Kunkel SL, Harlow LA, DiPietro LA, al. et. Interleukin-8 as a macrophage-derived mediator of angiogenesis. Science. 1992;258:1798-1801. 

  24. Baggiolini M, Walz A, SL Kunkel. Neutrophilactivating peptide-1/interleukin 8, a novel cytokine that activates neutrophils. J Clin Invest. 1989;84:1045-1049. 

  25. Colomar A, Marty V, Medina C, Combe C, Parnet P, al. et. Maturation and release of interleukin- 1beta by lipopolysaccharide-primed mouse Schwann cells require the stimulation of P2X7 receptor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3;278:30732-30740. 

  26. Helle M, Brakenhoff JP, De Groot ER, LA Aarden. Interleukin 6 is involved in interleukin 1-induced activities. Eur J Immunol 1988;18:957-959. 

  27. Johnson GL, R Lapadat.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s mediated by ERK, JNK, and p38 protein kinases. Science. 2002;298:1911-1912. 

  28. Jin-Deok Joo. The use of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in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field. Korean J anesthesiol 2009;57:277-283. 

  29. M Caivano. Role of MAP kinase cascades in inducing arginine transporters and nitric oxide synthetase in RAW264 macrophages. FEBS Lett. 1998;429:249-253. 

  30. Xia Z, Dickens M, Raingeaud J, Davis RJ, ME Greenberg. Opposing effects of ERK and JNK-p38 MAP kinases on apoptosis. Science. 1995;270:1326-1331. 

  31. Ichijo H, Nishida E, Irie K, et al. Induction of apoptosis by ASK1, a mammalian MAPKKK that activates SAPK/JNK and p38 signaling pathways. Science. 1997;275:90-94. 

  32. Chae Sung Won. Function and Activation of NF- ${\kappa}$ B in Immune System. Korean J Otolaryngol. 2005;48:284-288. 

  33. Mercurio F, DiDonato JA, Rosette C, M Karin. p105 and p98 precursor proteins play an active role in NF-kappa B-mediated signal transduction. Genes Dev. 1993;7:705-718. 

  34. Denk A, Goebeler M, Schmid S, et al. Activation of NF-kappa B via the Ikappa B kinase complex is both essential and sufficient for proinflammatory gene expression in primary endothelial cell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1;276:28451-28458. 

  35. Roitt Ivan , Brostoff Jonathan , David Male. Immunology 3th edition. Seoul: Komoonsa; 1994. 

  36. Cho Sang-Heon. Hyper sensitivity reaction. In Bio Wave. 2005;7(3). 

  37. Nagai H, Takizawa T, Nakatomi I, Matsuura N, A Koda. Anti-allergic action of glucocorticoids in rats. Jpn J Pharmacol 1983;33:349-3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