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계서비스 번들을 이용한 경기도 도시의 유형화
Categorization of Citiesin Gyeonggi-do Using Ecosystem Service Bundles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8 no.3, 2019년, pp.201 - 214  

김일권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생태계서비스팀) ,  김성훈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생태계서비스팀) ,  이주은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생태계서비스팀) ,  권혁수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생태계서비스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태계서비스의 개념은 지역의 생태자원을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데 중요하다. 지역 생태계가 동시에 제공하는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는 생태계서비스 번들로 표현된다. 생태계서비스 번들은 지역 생태계서비스 특성을 파악하고, 유사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들을 그룹화하여 지역 생태계서비스 관리정책을 용이하게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도시들을 대상으로 11개 생태계서비스 항목들을 모형과 통계지표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시군별 생태계서비스 번들을 제작하였다. 또한 생태계서비스 평가결과에 대한 주성분분석클러스터분석을 수행하여 경기도 시군들을 유형화하였다. 연구결과 경기도 도시들의 생태계서비스는 조절, 문화, 공급서비스 유형들로 분류되며 각각의 유형들은 지역특성에 따라서 도시형, 도시산림형, 농촌형, 산림형으로 구분되었다. 각각의 유형들은 지역의 인문사회 및 자연환경 특성을 반영하는 토지이용과 연관되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 생태계서비스 특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지역 생태계서비스 관리정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s is important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regional ecological resources. Multiple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regional ecosystems are represented as ecosystem service bundles, which define the co-occurrent ecosystem services in a specific region. Bundles prov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특정 광역단위에서 지자체별 생태계 서비스 평가를 수행하고, 번들을 제작하여 지역을 유형화한 연구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경기도 시군별 생태계서비스 평가결과에 대한 번들을 제작하고, 시군들을 유형화하여 경기도 지역의 생태계서비스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예를 들어 농업형으로 구분된 경기도 남쪽의 시군들을 공급서비스 우선 관리대상으로 선정하여, 공급서비스를 유지 및 증진하도록 관리한다. 반면 조절서비스가 낮은 도시형 시군들을 대상으로 임계점을 설정하여, 임계점 이하의 시군들을 대상으로 조절서비스를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 2015). 본 연구는 경기도 도시공원현황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한 시군별 도시공원면적을 이용하여 여가 서비스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경기도 시군들의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태계서비스 번들을 제작하고 시군들을 유형화하였다. 생태계서비스 평가결과 번들을 이용하여 주성분분석과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생태계서비스 특성에 따라 경기도 시군들을 유형화하였다.
  • 2010). 본 연구는 경기도 통계연보의 시군 전체면적대비 농경지비율을 이용하여 작물생산을 평가하였다.
  • 공급, 조절, 문화, 지지서비스로 구분되는 생태계서비스는 각 유형과 지표에 따라서 다양한 평가방법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하기에 앞서 경기도 기초지자체 수준에서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해 잠재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자료 및 연구방법론의 적용가능성을 기준으로 생태계서비스 항목들을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공급서비스는 작물, 가축, 임산물, 수자원, 조절서비스는 대기, 기후, 침식, 지지서비스는 종다양성과 서식지, 문화서비스는 여가, 생태관광을 선정하였다.
  • 2012). 본 연구는 전국을 대상으로 동식물의 종류와 공간분포를 조사한 제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를 이용하여 파악된 조류의 출현종 수를 이용하여 종다양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지역을 대상으로 시군별 생태계서비스 분포특성을 파악하였다. 경기도는 서울과 인천시의 주변에 위치한 31개 시군을 포함하는 광역단체이다.
  • 2010).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에 위치하는 시군들을 대상으로 생태계서비스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유형화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계서비스란? 생태계서비스는 생태계가 인간사회에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의미하며 공급, 조절, 문화, 지지서비스의 유형으로 구분된다(Millenium Ecosystem Assessment 2005). 지역의 생태계서비스는 인간과 자연의 활동과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며, 생태계서비스의 변화는 인간사회의 복지에 영향을 미친다.
지역별 유형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2009). 이를 통해 생태계서비스 분포가 유사한 지역들의 공간분포특성이 유사하기 때문에 관리측면에서 효율적이고, 다른 지역에서 수행되는 생태계서비스 관리방안들을 참고하여 적용할 수 있다(Yang et al. 2015).
임산물생산은 어떻게 평가를 할 수 있는가? 임산물생산의 경우 산림에서 생산되는 목재나 약 용자원의 양을 이용하여 평가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청의 임산물생산조사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산림에서 생산된 다양한 임산물의 경제적가치를 산 정한 임산물생산액을 지표로 이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ro F, Gomez-Baggethun E, Haase D. 2017. Ecosystem service bundles along the urban-rural gradient: insights for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Ecosystem Services. 24: 147-159. 

  2. Bennett EM, Peterson GD, Gordon LJ. 2009. Understanding relationships among multiple ecosystem services. Ecology Letters. 12(1): 1394-1404. 

  3. Charrad M, Ghazzali N, Boiteau V, Niknafs A. 2014. NbClust: an R package for determining the relavant number of clusters in a data set.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61(6): 1-36. 

  4. Conte ME, Nelson E, Carney K, Fissore C, Nasser O, Plantinga AJ, Stanley B, Rickett T. 2011. Terrestrial carbon sequestration and storage. In: Kareiva P, Tallis H, Rickett T, Daily GC, Polasky S. Natural capital: theory and practice of mapping ecosystem servic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11-128. 

  5. Crouzat E, Mouchet M, Turkelboom F, Byczek C, Meersmans J, Berger F, Verkerk PJ, Lavorel S. 2015. Assessing bundles of ecosystem services from regional to landscape scale: insight from the French Alps. Journal of Applied Ecology 52: 1145-1155. 

  6. Derkzen ML, van Teeffelen AA, Verburg PH. 2015. Quantifying urban ecosystem services based on high-resolution data of urban green space: an assessment for Rotterdam, the Netherlands. Journal of Applied Ecology. 52(4): 1020-1032. 

  7. Egoh B, Drakou EG, Dunbar MB, Maes J, Willemen L. 2012. Indicators for mapping ecosystem services: a review. Luxembourg: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 (JRC). 

  8. Francesconi W, Srinivasan R, Perez-Minana E, Willcock SP. 2016. Using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to model ecosystem servic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Hydrology. 535: 625-636. 

  9. Goldstein JH, Caldarone G, Duarte TK, Ennaanay D, Hannahs N, Mendoza G, Polasky S, Wolny S, Daily GC. 2012. Integrating ecosystem-service tradeoffs into land-use decisions. P.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9(19): 7565-7570. 

  10. Hamann M, Biggs R, Reyers B. 2015. Mapping social-ecological systems: identifying 'green-loop' and 'red-loop' dynamics based on characteristic bundles of ecosystem service use. Global Environmental Change. 34: 218-226. 

  11. Hutcheson W, Hoagland P, Jin D. 2018. Valuing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cultural ecosystem service at Hudson River Park. Ecosystem Services. 31: 387-394. 

  12. KFRI. 2017. The lungs of the city, urban forests, Seoul: KFRI. [Korean Literature] 

  13. Kim YJ, Gal BS, Park JB, Kim SH, Im TH. 2018. Classification of Nakdong river tributaries under priority management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y index.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40(2): 73-81. [Korean Literature] 

  14. Lee DY, Lee HY. 2016. Regional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suburban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for promoting area-specific policies. Journal of the KRSA. 32(2): 15-29. [Korean Literature] 

  15. Lee H, Lautenbach S. 2016. A quantitative review of relationships between ecosystem services. Ecological Indicators 66: 340-351. 

  16. Millenium Ecosystem Assessment. 2005. Millenium ecosystem assessment synthesis report, Washington DC: Island press. 

  17. Maes J, Egoh B, Willemen L, Liquette C, Vihervaara P, Schagner JP, Grizzetti B, Drakou EG, La Notte A, Zulian G, Bouraoui F, Paracchini ML, Braat L, Bidoglio G. 2012. Mapping ecosystem services for policy support and decision making in the European Union. Ecosystem Services. 1: 31-39. 

  18. NIE. 2017. Mapping and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s, Seocheon: NIE. [Korean Literature] 

  19. NIE. 2018.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awareness of local ecological value, Seocheon: NIE. [Korean Literature] 

  20. Niemela J, Saarela SR, Soderman T, Kopperoinen L, Yli-Pelkonen V, Vare S, Kotze J. 2010. Using the ecosystem service approach for better planning and conservation of urban green spaces: a Finland case study.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19(11): 3225-3243. 

  21. Park IH, Kim YH, Cho KJ. 2012. Bird species diversity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 of forest veget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5(6): 43-52. [Korean Literature] 

  22. Queiroz C, Meacham M, Richter K, Norstrom AV, Andersson E, Norberg J, Peterson G. 2015. Mapping bundles of ecosystem services reveals distinct types of multifunctionality within a Swedish landscape. Ambio. 44: s89-s101. 

  23. Raudsepp-Hearne C, Peterson GD, Bennett M. 2010. Ecosystem service bundles for analyzing tradeoffs in diverse landscape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7(11): 5242-5247. 

  24. Reyers B, Biggs R, Cumming GS, Elmqvist T, Hejnowicz AP. 2013. Getting the measure of ecosystem services: a social-ecological approach.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11: 268-273. 

  25. Risal A, Bhattarai R, Kim D, Park Y, Yang J, Lim K. 2016. Application of Web ERosivity Module (WERM) for estimation of annual and monthly R factor in Korea. Catena. 147: 225-237. 

  26. Rho PH, Choung EL. 2006. Alternatives of the Korean Nationwide Survey on Natural Environments to Promote Biodiversity Conserv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5(3): 25-56. [Korean Literature] 

  27. Roh YH, Kim CK, Hong HJ. 2016. Time-series changes to ecosystem regulating services in Jeju: focusing on estimating carbon sequestration and evaluating economic feasibility.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24(2): 29-44. [Korean Literature] 

  28. Satz D, Gould RK, Chan KMA, Guerry A, Norton B, Satterfield T, Halpern BS, Levine J, Woodside U, Hannahs N, Basurto X, Klain S. 2013. The challenges of incorporating cultural ecosystem services into environmental assessment. Ambio. 42: 675-684. 

  29. Song CH, Lee WK, Choi HA, Jeon SW, Kim JU, Kim JS, Kim JT. 2015. Application of InVEST water yield model for assessing forest water provisioning ecosystem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1): 120-134. [Korean Literature] 

  30. Song MK, Chang H. 2010. Characterization of cit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by cluster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8(1): 83-88. [Korean Literature] 

  31. Sparke R, Lasseur R, Crouzat E, Bullock JM, Lavorel S, Parks KE, Schaafsma M, Bennett EM, Maes J, Mulligan M, Mouchet M, Peterson GD, Schulp CJE, Thuiller W, Turner MG, Verburg PH, Eigenbord F. 2017. Unpacking ecosystem service bundles: towards predictive mapping of synergies and trade-offs between ecosystem services. Global Environmental Change 47: 37-50. 

  32. Suh K, Kim TG, Lee JM, Lee JJ. 2012. Effective classification framework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rural regional information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1): 73-81. [Korean Literature] 

  33. Turner KG, Odgaard MV, Bocher PK, Dalgaard T, Svenning JC. 2014. Bundling ecosystem services in Denmark: trade-offs and synergies in a cultural landscap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25: 89-104. 

  34. Verner J, Morison ML, Ralph CJ. 1986. Wildlife 2000: Modeling habitat relationships of terrestrial vertebrates. Madison Wisconsi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35. Yang G, Ge Y, Xue H, Yang W, Shi Y, Peng C, Du Y, Fan X, Ren Y, Chang J. 2015. Using ecosystem service bundles to detect trade-offs and synergies across urban-rural complex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36: 110-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