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이 협력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The Effects of Project-Based Learning o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n LIS Education: a Cast Study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1 no.2, 2017년, pp.95 - 116  

김현정 (서울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의 적용이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도서관 시스템 평가 과목의 수강생 26명을 대상으로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전설문과 사후설문을 실시하여 그 변화를 측정하였고, 대응표본 t-test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고, 프로젝트 학습의 실제성이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세부요인들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젝트기반학습법은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세부하위요인들인 리더의 양상, 의견 교환, 의견 평가, 그리고 의견 통합에 대하여 모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과, 학습의 실제성 중 자원의 실제성이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pply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in LIS education affects student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n a positive direction and if the authenticity of the project has any relationship with their self-efficacy for group work. 26 students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의 취업과 관련된 인식을 조사한 최근의 연구(노영희, 심효정, 곽우정 2017)에서 대학교육과정의 적절성에 대한 조사결과 현재 환경과 실무를 반영한 교과과정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고, 현장의 요구와 정보기술의 발전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과 교육에 필요한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으로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급변하는 지식정보환경에서 창의적인 정보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문헌정보학교육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2016년 2학기 S여대에서 “디지털도서관 시스템평가”과목을 수강한 2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적용한 수업을 수강하기 전과 후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세부요인인 리더의 양상, 의견교환, 의견평가, 의견통합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과 교과목 중 하나인 “디지털도서관 시스템평가”에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적용하여 실행한 후 수강생들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례연구이다.
  • 팀프로젝트에 대한 중간발표에서는 선정된 디지털도서관에 대한 소개와 해당 디지털도서관의 주된 이용자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그에 적합한 평가요소를 선정하여 그 결과를 별도의 발표자료 없이 간단히 발표하게 하였다. 중간발표의 목적은 전체 수강생들과 교수자의 피드백을 통한 팀프로젝트의 중간점검을 위한 것과 다른 팀들의 진행상황을 참고하여 특별히 뒤처지거나 앞서가는 팀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중간발표에 대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실제적인 평가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는 최종발표일에는 교수자에게 제출하는 발표자료는 물론,수강생들에게 배포하는 배포자료(handout)도 준비해야 한다.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과 교과목 중 하나인 “디지털도서관 시스템평가”에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적용하여 실행한 후 수강생들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례연구이다. 특히,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적용한 수업을 수강한 후 학생들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구성하는 하위요소인 리더의 양상, 의견 교환, 의견 평가, 그리고 의견 통합의 측면에서 어떠한 효과가 있었는지 조사하고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주어지는 학습의 실제성이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젝트기반학습의 장점은 무엇인가? 특히 팀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다양한 협력활동을 경험하게 하고, 학생들 스스로 생각하고 의견을 나누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기반학습이야말로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교수-학습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젝트기반학습은 학습자 중심으로 협력적 환경에서 실제적인 과제를 수행하게 하는 학습법으로, 일방적인 강의식 지식전달과는 다르게 학생들 스스로 지식을 창출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지식을 습득할 뿐만 아니라 팀원들 간의 의사소통과정을 통해 서로간의 의견을 조절하고 자신의 의견에 대한 비판을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에, 그야말로“창의적, 사회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데 적합한 교육방법”(강명희, 윤성혜 2015, 23)이라고 할 수 있다.
프로젝트기반학습이란 무엇인가? 특히 팀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다양한 협력활동을 경험하게 하고, 학생들 스스로 생각하고 의견을 나누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기반학습이야말로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교수-학습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젝트기반학습은 학습자 중심으로 협력적 환경에서 실제적인 과제를 수행하게 하는 학습법으로, 일방적인 강의식 지식전달과는 다르게 학생들 스스로 지식을 창출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지식을 습득할 뿐만 아니라 팀원들 간의 의사소통과정을 통해 서로간의 의견을 조절하고 자신의 의견에 대한 비판을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에, 그야말로“창의적, 사회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데 적합한 교육방법”(강명희, 윤성혜 2015, 23)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도서관 시스템평가 과목의 평가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디지털도서관 시스템평가 과목의 수업모형은 <표 4>와 같다. 총 15주간의 수업 중 팀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점은 5주차부터이며, 그로부터 4주 후인 9주차 수업에서 평가대상 및 평가기준의 선정에 대해 간단한 중간발표를 실시한 이후 그 피드백을 바탕으로 실제적인 평가를 진행하게 된다. 학생들이 평가를 진행하는 동안의 수업은 주로 정보시스템 평가 사례들을 소개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에는 실제로 국가적 수준의 과학기술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의 평가를 담당했던 실무자의 특강도 포함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명희, 김나리. 1999. 학습과제의 실제성 인식수준에 따른 학습동기와 성취도 변화. 교육공학연구, 15(1): 25-42.(Kang, Myunghee and Kim, Nari. 1999. "The Effects of Authenticity on Learner's Motivation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5(1): 25-42.) 

  2. 강명희, 윤성혜. 2015.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지식공유 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신뢰, 지식공유 의도의 예측력. 학습과학연구, 9(3): 22-46.(Kang, Myunghee and Yoon, Seonghye. 2015. "The Predictive Power of Self-Efficacy, Trust an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on the Knowledge Sharing Behavior of Team Project Learning." Korea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9(3): 22-46.) 

  3. 강인애. 2001. 왜 구성주의인가: 정보화시대와 학습자중심의 교육환경. 서울: 문음사.(Kang, In-Ae. 2001. Why Constructivism?: Information Age and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Seoul: Moonumsa.) 

  4. 권선경, 이지연, 장진이. 2015. 학업적 열등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에 따른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의 차이. 아시아교육연구, 16(3): 87-106.(Kown, Sun-Kyoung, Lee, Jee-Yon and Jang, Jin-Yi. 2015. "The Cluster of Academic Inferior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their Differ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sian Journal of Education, 16(3): 87-106.) 

  5. 김경아. 2013. 협동학습에서 성격유형에 의한 집단구성방식이 의사소통 불안, 협력적 자기효능감 및 과제수행과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공학-교육행정 융합 전공.(Kim, Kyoung Ah. 2013. The Effect of Personality-Based Grouping in Collaborative Learning on Communication Apprehensio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Task Performance Process. M.A. thesis, Major in Educational Technology and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gang University, Korea.) 

  6. 김성욱. 2016. 모바일 탐구학습을 위한 수업설계 모형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공학전공.(Kim, Sungwook. 2016. A Study on Development of a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Mobile Inquiry Learning. Ph.D. diss., Departmen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7. 김성원. 2011.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 상관관계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3): 31-46.(Kim, Sungwon. 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on the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3): 31-46.) 

  8. 김세영, 강명희. 2016. 폐쇄형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유용성, 몰입, 인지된 상호작용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2(1): 85-110.(Kim, Seyoung and Kang, Myunghee.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Perceived Usefulness, Flow, Perceived Interac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Closed-Type SNS."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in Media, 22(1): 85-110.) 

  9. 노영희, 심효정, 곽우정. 2017. 문헌정보학과 학생의 취업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1): 69-102.(Noh, Younghee, Sim, Hyo-Jung and Kwak, Woojung. 2017. "A Study on Cognitive Survey about Student Employment of the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1): 69-102.) 

  10.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1.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실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42(4): 5-29.(Noh, Younghee, Ahn, In-Ja and Choi, Sang-Ki. 2011. "A Study on Evaluating the Practicalness of Library and Information Co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5-29.) 

  11.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2.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모형 및 표준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2): 55-82.(Noh, Younghee, Ahn, In-Ja and Choi, Sang-Ki. 2012. "A Study of the Curriculum Operating Model and Standard Courses for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2): 55-82.) 

  12. 박성익, 김연경. 2006.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14(1): 93-115.(Park, Seong-Ik and Kim, Yeon-Kyoung. 2006. "An Inquiry on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Flow Factors, Flow Level, Achievement under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4(1): 93-115.) 

  13. 박지희, 고장완. 2016. 협동학습 맥락에서 대학생의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교육혁신연구, 26(1): 169-192.(Park, Ji-Hee and Ko, Jang-Wan. 2016.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Problem-Solving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6(1): 169-192.) 

  14. 박효선. 2016.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문제해결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조절, 인지된 성취도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공학과.(Park, Hyosun.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y, Self-Efficacy for Group Work, Co-Regula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M.A. thesis, Depart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15. 서연화, 심현애. 2016.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위한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기초조형학연구, 17(2): 185-196.(Sur, Yeon Wha and Sim, Hyeon Ae. 2016.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Global Capstone Design Program for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7(2): 185-196.) 

  16. 안인자 외. 2012. 사서직 진출분야별 전공교과목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4): 373-402.(Ahn, In-Ja et al. 2012. "A Study on the Curriculum Cours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Career Path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4): 373-402.) 

  17. 오성은. 2014. 페이스북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성과에 대한 학업적효능감, 협력적 효능감, 사회적 실재감의 예측력 규명.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Oh, Sung-eun. 2014. An Investigation of Predictive Power of Academic Efficacy, Group for Efficacy and Social Presence for the Outcomes of Facebook-Based Project Learning. M.A. thesis, Depart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18. 유지원. 2014.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작용 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0): 89-110.(You, Ji Won. 2014.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for Group Work, Team Efficacy, Interaction, and Team Performance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in a College Classroo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10): 89-110.) 

  19. 유지현. 2016. 학습공동체 참여 활동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전략,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 수준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9): 187-206.(Yu, Jihyun. 2016. "The Effects of Learning Communities on Learning Strategies,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School Achievem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9): 187-206.) 

  20. 윤희정. 2006.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의 실제성(Authenticity), 학습동기, 성취도와의 관계 규명.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공학과.(Yoon, Hee-jung. 2006.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Authenticity, Learning Motivation, and Accomplishment in Web-Based Project Learning. M.A. thesis, Depart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21. 이정미. 2013.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문제기반학습법 적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인지적.동기적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4): 103-124.(Lee, Jeong-Mee. 2013.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LIS Education: Based on Cognitive and Motivational Compon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4): 103-124.) 

  22. 이정애, 최웅용. 2011.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진로포부 간의 구조관계모형. 진로교육연구, 24(4): 95-109.(Lee, Jeong-Ae and Choi, Woong-Yong. 2011.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to Career Aspiration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4(4): 95-109.) 

  23. 임규연. 2011. 집단탐구(Group Investigation) 협동학습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업 성과의 관계. 교육의 이론과 실천, 16(2): 19-36.(Im, Kyu-Yeon. 2011. "Self-efficacy in Group Investigation Collaborative Learning."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6(2): 19-36.) 

  24. 임규연. 2012.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자기효능감과 위키에 대한 불안이 참여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5(6): 65-74.(Im, Kyu-Yeon. 2012.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 in Wiki-Based Online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5(6): 65-74.) 

  25. 임규연, 김시원, 김영주. 2015. 협력학습 환경에서 메타인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과 성취도 간의 관계: 협력적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0): 685-707.(Im, Kyu-Yeon, Kim, Si Won and Kim, Young Joo. 2015. "The Relationships between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Emotion Regulation and Achievement in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The Moderating Effects of Co-Regulation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10): 685-707.) 

  26. 임규연, 김희준, 박하나. 2014. 웹기반 협력학습에서 참여와 상호작용의 차이에 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4): 69-78.(Im, Kyu-Yeon, Kim, HeeJoon and Park, Hana. 2014. "The Effects of Learner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in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7(4): 69-78.) 

  27. 정종기. 2010. 예비교육사서를 위한 PBL환경의 교수역량 강화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221-239.(Jung, Jong-Kee.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 Applic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Program for Promoting the Pre-Education Librarians' Self-Efficacy in Education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2): 221-239.) 

  28. 조미아. 2014. PBL을 적용한 사서교사와 중국어 교과교사의 협력수업 사례 연구: S고등학교 학생의 학습흥미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2): 65-88.(Cho, Miah. 2014. "A Case Study of Collaborative Classes between a Teacher Librarian and a Chinese Language Teacher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With a Main Focus on Students' Degree of Interest in Learning at S High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2): 65-88.) 

  29. 최상기 외. 2013. 국내외 문헌정보학 주요교과목 강의계획서분석을 통한 수업내용 및 방법 비교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223-245.(Choi, Sang-Ki et al. 2013. "A Comparative Study on Curriculum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Syllabi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and Foreign Univers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2): 223-245.) 

  30. 한동균, 김성욱. 2015. 하브루타 학습법에 기반한 사회과 수업의 설계 및 적용 가능성 모색. 사회과수업연구, 3(2): 85-108.(Han, Dong Kyun and Kim, Sung Wook. 2015. "Possibility of Design and Application of Social Studies Class based on Havruta Learning." Journal of Social Studies Lesson Study, 3(2): 85-108.) 

  31. 한승희. 2008.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 중심 학습법이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사례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81-101.(Han, Seung-Hee. 2008. "The Effects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on LIS Education: Focused on Students'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3): 81-101.) 

  32. Alavi, S. B. and McCormick, J. 2008. "The Roles of Perceived Task Interdependence and Group Members' Interdependence in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 Group Context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3): 375-393. 

  33. Almaguer, I., Diaz, Z. and Esquierdo, J. J. 2015. "Project-Based Learning: Innovative Pedagogy for 21st-Century English Learners." Teacher Education and Practice, 28(1): 177-189. 

  34.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H. Freeman and Company. 김의철, 박영신, 양계민 공역. 1999.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 이론적 기초와 발달적 분석. 서울: 교육과학사.(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H. Freeman and Company. Translated by Kim, Uichoil, Park, Young-Shin and Yang, Kye-Min. 1999. Self-Efficacy and Human Behaviour: Theoretical Basis and Developmental Analysis. Seoul: KYOYOOKBOOK.) 

  35.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H. Freeman and Company. 박영신, 김의철 공역. 2001.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교육.건강.운동.조직에서의 성취. 서울: 교육과학사.(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H. Freeman and Company. Translated by Park, Young-Shin and Kim, Uichoil. 2001.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chievement in Education, Health, Sports, and Organization. Seoul: KYOYOOKBOOK.) 

  36. Markham, T., Larmer, J. and Ravits, J. 2003. Project Based Learning Handbook: a Guide to Standards-focused Project Based Learn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2nd ed. 노선숙, 김민경, 임해미 공역. 2007. 프로젝트기반학습 입문서: 중등교사를 위한 기준중심 프로젝트기반학습 안내서. 파주: 교육과학사.(Markham, T., Larmer, J. and Ravits, J. 2003. Project Based Learning Handbook: a Guide to Standards-focused Project Based Learn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2nd ed. Translated by Noh, Sunsook, Kim, Min-kyeong and Rim, Hae Mee. 2007. Paju: KYOYOOKBOOK.) 

  37. Thomas, J. W. 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Based Learning. San Rafael, CA: The Autodesk Found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