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헌정보학 전공 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지도자의 인식 연구
A Study of Practical Instructors' Recognition on the Field Practice Progra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1 no.2, 2017년, pp.133 - 156  

차성종 (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전반에 대해 실습지도자의 인식을 진단하여 문헌정보학 현장실습의 유용성 및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장실습기관 실습지도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장실습에 대한 현황조사 및 인식도 측정을 실시하여,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영향관계를 고찰하였다. 실습지도자의 일반적 특성, 도서관 관련 업무 특성, 실습기관의 현장실습 현황 등 요인 중에서 현장실습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한 결과, '현장실습 운영 책무성'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장실습 인식도를 구성하는 6가지 구성요인별로 실습지도자의 전반적 현장실습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어떠한지 분석한 결과, '실습환경', '실습 지도방법'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how to improve the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field practice progra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diagnosing the practical instructor's perception of the overall field practice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achieve this goal, we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문헌정보학 분야 현장실습과 관련 하여 수행된 국내 ·외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와 분석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헌정보학 현장실습의 한계점 및 제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그동안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이 대학의 전공 교육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서 너무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과 공급자 관점의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들이 설계되어 추진되어 왔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전반에 대한 현장실습기관의 실습 지도자의 인식을 점검하고 진단하여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제대로 고찰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통해 실습기관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만족스러운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문헌정보학 현장실습의 유용성 및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다섯째,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문헌정보학 전공 현장실습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바람직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일선 도서관 현장실습 담당 지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문헌정보학 현장실습기관 실습지도자의 일반적 특성, 도서관 업무 관련 특성, 실습기관의 현장실습 현황, 실습기관의 현장실습 개선방안 특성,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도(실습환경, 실습 프로그램, 실습지도자 태도 및 역할, 실습 지도방법, 실습 평가, 실습 사전준비), 전반적인 인식도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현장실습기관 실습지 도자의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영향관계를 고찰하여, 실습기관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만족스러운 현장실습 수행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추진되었다. 이는 현장실습기관에서의 현장실습 여건 및 운영현황 등 현재의 현장실습 실태 및 문제점을 제대로 진단하고 점검함으로서 향후 실습기관에서 현장실습의 사전준비,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등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문헌정보학 현장실습의 유용성 및 효과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선행연구에서 주로 살펴본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구성, 현장실습의 내용 등과 관련된 연구의 연장선에서 본 연구는 현장실습 지도자의 일반적 사항, 도서관 관련 업무 특성, 실습기관의 현장실습 현황 등의 요인과 문헌정보학 실습기관 실습지도자의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 도간의 영향관계 및 현장실습 인식도를 구성하는 요인과 전반적 인식도간의 영향관계를 분석 하여, 실습기관 지도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문헌 정보학 현장실습의 실태 및 문제점을 제대로 진단하고 현장실습의 유용성 및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현장실습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그동안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이 대학의 전공 교육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서 너무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과 공급자 관점의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들이 설계되어 추진되어 왔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전반에 대한 현장실습기관의 실습 지도자의 인식을 점검하고 진단하여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제대로 고찰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통해 실습기관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만족스러운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문헌정보학 현장실습의 유용성 및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특히 본 논문에서 현장실습 기관의 현장실습 현황 분석, 실습기관의 현장실습 개선방안 분석, 현장실습 지도 구성요인 및 소속기관 유형별 인식도 차이 분석, 도서관 업무 관련 특성에 따른 인식도 차이 분석, 실습기관의 현장실습 현황에 따른 인식도 차이 분석, 응답자의 현장실습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응답자의 현장실습 지도 구성요인 중 전반적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등 실증적이고 대안적인 논의를 통해 문헌정보학 전공 현장실습을 수행하는 실습기관들을 위한 도서관 현장실습의 바람직한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실습이란? 문헌정보학용어사전(2010)에서는 도서관실습(internship)을 ‘도서관이나 정보서비스 기관’ 에서 문헌정보학 과정의 이수에 요구되는 전문 실습과정으로 일정기간 실습 후 평가를 하는 교육과정’이라고 정의하였고, IFLA(2000)에서는 도서관실습 프로그램은 ‘예비사서로 하여금 전문적인 지식의 습득과 현장실습간의 상호작용을 경험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밝히고 있다.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과 정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문헌정보학은 학문의 내용적 특성이 응용 · 실천 학문이라는 점과 학문연구의 결과가 도서관 및 정보센터의 현장 서비스를 중심으로 실천된다는 점에서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과 정의 역할이 중요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아울러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은 대학 등 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교과과정이면서도 도서관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과정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특수한 형태의 교과목이다.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필요한 것은? 아울러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은 대학 등 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교과과정이면서도 도서관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과정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특수한 형태의 교과목이다. 이런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학계와 실제 도서관 현장간의 긴밀하고 기능적인 산학협력이 이루어져야하는 교과목이기도 하다. 특히 대학에서의 문헌정보학 전공 교육과정이 실습 보다는 주로 이론 위주로 구성되어 일선 도서관 현장에서 요구되는 직무교육과는 괴리감이 있기 때문에 현장실습 교육은 어느 정도 직무와 교육의 격차를 줄여줄 수 있는 유용한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성준. 2011.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193-213.(Kim, Sung-Jun.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Librarians' Teaching Practice Program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2): 193-213.) 

  2. 문헌정보학용어사전 편찬위원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2010.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3. 유사라. 2012. 전문가양성을 위한 직무관찰식 인턴쉽 시행연구: 문헌정보학 전공사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1): 113-129.(Yoo, Sarah. 2012. "A Case Study of Job-Shadowing Internship Program for Information Specialis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1): 113-129.) 

  4. 유사라. 2014. 인턴기관(도서관) 실무자의 인턴쉽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진단 사례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2): 189-205.(Yoo, Sarah. 2014. "Internee's Assessment of Library Internship Program: Capturing of the Use of LIS Practicum."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2): 189-205.) 

  5. 이수영, 김유승. 2012. 문헌정보학 분야 공공도서관 실습교육에 관한 연구: S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4): 147-168.(Lee, Su-Young and Kim, You-Seung. 2012. "A Study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hool's Practical Training Program: Focused on a Case of S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4): 147-168.) 

  6. 차성종. 2015.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의 현장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학제별 비교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2): 355-379.(Cha, Sung-Jong. 2015. "Comparison of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the Field Practice Progra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etween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2): 355-379.) 

  7. 차성종. 2016.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1): 457-491.(Cha, Sung-Jong. 2016. "A Study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Curriculum Design of the Practical Training Cours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1): 457-491.) 

  8. Bird, N. J., Chu, C. M. and Oguz, F. 2015. "Internship in LIS Education: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Experiential Learning." IFLA Journal, 41(4): 298-307. 

  9. Dahl, C. 2011. "Supervising Academic Library Internships for Non-LIS Undergraduates." Library Management, 32(6/7): 408-418. 

  10. Damasco, I. T. and McGurr, M. J. 2008. "A Survey of Cataloger Perspectives on Practicum Experience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5(4): 43-64. 

  11. Grogan, D. J. 2007. "Education for Librarianship: Some Persistent Issues." Education for Information, 25(1): 5-26. 

  12.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IFLA). 2000. Guidelines for Professional Library / Information Educational Programs. [online] [cited 2017. 2. 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