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이돌보미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 Care Helpers'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Their Burnout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6 no.2, 2017년, pp.85 - 92  

이주영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현혜진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baby care helpers' degree of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burnout and analyz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their burnou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6 to September 6, 2016 for three weeks with child care helpers working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아기돌보미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및 소진을 파악하고 소진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및 소진을 파악하고 소진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아이돌보미들의 감정노동과 소진은 높은 편이었고 직무 스트레스 관련 점수는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아이돌보미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및 소진 정도를 파악하고 소진 예측 요인을 파악하여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아이돌보미 인력 관리 전략과 건강관리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하지만 아이돌보미 지원 사업이 시행된지 9년이 지났음에도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아이돌보미 이용자들 대상으로 서비스에 대한 연구와 아이돌보미를 포함한 돌봄 제공자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거나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과 차별화된 결과를 얻었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아동에게 직접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돌보미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 소진을 해결하기 위해 중재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아이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와 발달․ 인지에 중요한 영향을 받을 시기인 아이들에게 신뢰와 안전한 돌봄을 제공하고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아기돌보미들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 및 소진의 정도로 파악하고,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도구는 총 9문항으로 감정표현의 빈도 3문항, 감정표현의 주의 성 3문항, 감정의 부조화 3문항의 5점 Likert척도로 구성되었다. 감정노동의 점수범위는 최소 9점에서 최대 45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감정노동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돌봄 서비스란? 우리나라는 2007년부터 돌봄 서비스를 제공 사회서비스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돌봄 서비스는 ‘스스로 자신을 돌볼 수 없는 사람을 돌보는 행위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이다(Daly와 Lewis,2000).
아이돌보미의 서비스 활동은 어떤 것이 있는가? 또한 전국적인 사업규모와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가 증대되는 상황에서의 아이돌보미 근로자들의 근로상황과 정서적 상황의 고려가 필요하다. 아이돌보미의 서비스 활동영역은 임시보육, 놀이 활동, 식사 및 간식 지급, 등 ․ 하원지도, 아이의 안전 ․ 보호, 학습보조 등이다(Ministry of Gender Equality, Family, & HHFSC, 2011). 이렇듯 활동 영역에서 보듯이 돌봄 서비스는 직접적으로 사람을 접촉하여 제공되는 휴먼서비스라는 특성으로 인해 제공인력들의 감정관리가 요구되는 정서적 노동을 수행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이 돌보미의 심적 부담은 어떤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가? 또한 감정노동의 수행정도는 이용자가 인식하는 서비스의 품질과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돌봄 제공자 스스로 인식하는 서비스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Kim & Choe, 2011). 업무 영역에서 돌봄 제공자의 심적 부담은 더욱 가중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며, 과도한 심적 부담은 육체적, 정신적, 심리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쳐 직무 스트레스나 소진을 야기한다고 하였다 (Grandrey, 2000). 따라서 아이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 돌보미의 소진이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한다면 이용자가 인식하는 돌봄 서비스 제공의 질적 접근은 물론 아이돌보미들의 심적 부담정도를 파악하는 기초자료로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e, H. J. (2008). A study o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 Cho, S. Y., & Koo, H. A. (2005). A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6(4), 55-70. 

  3. Choe, H. S. (2015).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on burnout of day care center teachers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on burnout of day care center teacher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19(5), 193-212. 

  4. Choi, S. C., Kim, S. A., Lee, J. W., & Park, W. S. (2007). Level of job stress among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agencies if Seoul. Journal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4), 259-267. 

  5. Clark, E. H. (1980). An analysi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rs as perceived by pubic school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uburn University, State of Alabama. 

  6. D'Arienzo, R. V. (1981). Stress in teaching: A comparison of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factors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regular classroom teach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uburn University, State of Alabama. 

  7. Daly, M., & Lewis, J. (2000). The concept of social care and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welfare states.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51(2), 281-298. 

  8. Grandrey, A. (2000). Emotional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1), 95-110. 

  9. Headquarters for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Inc. (2017, March 21). Child care support project operations manual. Retrieved March 21, 2017, from http://www.idolbom.go.kr 

  10. June, K. J., & Byun, S. W. (2009). Nurse's burnout research throughout the past 10 year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3), 305-313. 

  11. Jung, S. H., & Kim, J. H. (2013). The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hild-care service provider'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14(2), 275-293. 

  12. Kim, J. S., Jeong, S. Y., Kim, S. H., & Kim, J. O. (2014). Predictor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burnou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16(2), 130-140. 

  13. Kim, M. J., & Kim, N. S. (2014). Factors influencing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female care workers. Journal of Korea family Welfare Association, 43, 37-59. 

  14. Kim, Y. N. (2013). The effect of the emotional labor of social care service workers on their burnout level -Analysis on moderator effect of perceived value of work and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37, 123-148. 

  15. Kim, Y. W. (2011). A study of the effects influencing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care workers working environment of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Mainly o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in north region of Gyeonggi.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angwon University, Gyeonggi. 

  16. Kim, Y. W. (2012).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and career commitment of child care teacher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8(6), 57-76. 

  17. Kim, Y. W., & Choe, Y. (2011). The effects of the emotional labor of social care service workers on their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Journal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Policy, 38(4), 217-237. 

  18. Lee, K. S. (2007). A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special child care teacher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Rehabilitation Science Institute, 46(1), 119-146. 

  19. Lee, S. J. (2016). Impact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working environmental, job stress,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Seoul. 

  20. Lee, Y. R., Park, S. N., & Chu, M. S. (2014). Impact of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child care provi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Home Care Nursing, 21(1), 26-35. 

  2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 Headquarters for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2011). Child care support project Seoul: Manual of operations. Online Journal of Headquarters for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valiable: Doc. 

  22. Ministry of Gender Equality, Family & Headquarters for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2008). Child care support project: manual of operations. Online Journal of Headquarters for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valiable: Doc. 

  23. Morris, J. A., & Feldman, D. C. (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24. Park, S. H., Moon, S. K., & Lee, M. Y. (2006). A study of the determinants on teachers in day care center burnout.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1(6), 65-84. 

  25. Seo, Y. S., & Sung, K. W. (2011). Relation of emotional labor, job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for nurs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Nursing, 13(3), 196-203. 

  26. Son, C. Y. (2009).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wangju University, Gwangju. 

  27. Yoon, M. J. (2010). A study on job stress and exhaustion of job satisfaction for edu care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8. Yoon, Y. J., Yang, K. Y., Lee, I. J., & Lee, J. W. (2011). Social Service Policy. Seoul: Sharing Hous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