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라우마 센터에서 근무한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who Worked in Trauma Centers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9 no.2, 2017년, pp.219 - 246  

한소정 (성균관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트라우마 센터에 근무한 사회복지사들의 소진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실체 이론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근거이론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초기코딩을 통해서 159개의 의미단위, 47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2개의 범주를 구성하였다. 초점 코딩에서 중심현상을 '상처받은 존재성'으로 보고 '사회복지사로서의 자리 찾기'를 핵심범주로 정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연관된 범주들을 연결하였다. 이론적 코딩 결과 트라우마 센터에서 근무한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경험 과정은 사명기, 갈등기, 침체기, 해체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재난복지실천에 대한 준비, 트라우마 치유 관점에 대한 논의 및 합의, 그리고 소진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예방과 대처를 위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that understand the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who worked in the trauma center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Grounded Theory. The result is as follow: In the initial coding, 159 units of mean, 47...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진의 과정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가? Maslach와 Jackson(1981)은 소진의 과정을 탈진(exhaustion), 비인간화, 성취감의 결여로 보았다. 소진의 핵심 증상이자 첫 번째 단계인 탈진은 개인의 정서적 자원이 격감하거나 심리적으로 더 이상 자신들을 내어줄 수 없다고 느끼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탈진 상태에 있는 사람들은 클라이언트에 대해 냉담하거나 부정적이거나 비인간적인 태도를 갖게 되는 비인간화 상태에 이르며, 결국 일에 대한 만족감이 감소하고 행복하다고 느끼지 못함에 따라 개인적인 성취감이 감소된다(Maslach and Jackson, 1981; Maslach et al., 1997; Maslach et al.
소진이란 무엇인가?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이직문제는 근무분야를 막론하고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소진은 업무에 있어서 만성적인 정서적 긴장반응으로 완전히 지친 상태를 말한다(Maslach and Jackson, 1981; Freudenberger, 1974). 소진이 발생하는 주요 요인은 높은 업무기대와 업무 과중, 자율성의 부족, 불충분한 보상, 불공정함, 가치 갈등, 관료제 등으로 우울, 업무 불만족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나고 결국 낮은 업무 성과나 이직으로 이어진다(Schaufeli, 2003).
소진의 주요 요인과 결과는 무엇인가? 소진은 업무에 있어서 만성적인 정서적 긴장반응으로 완전히 지친 상태를 말한다(Maslach and Jackson, 1981; Freudenberger, 1974). 소진이 발생하는 주요 요인은 높은 업무기대와 업무 과중, 자율성의 부족, 불충분한 보상, 불공정함, 가치 갈등, 관료제 등으로 우울, 업무 불만족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나고 결국 낮은 업무 성과나 이직으로 이어진다(Schaufeli, 2003). 한편,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는 트라우마를 경험한 사람들을 도와주는 원조자들이 그들이 도와주는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해 트라우마 피해자가 느끼는 것과 아주 유사한 형태의 트라우마를 겪게 되는 것을 말한다(McCann and Pearlman, 1990; Herman, 1992; Figley, 1995; Pearlman and Saakvitne,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9)

  1. 강방글?한인영?이현정?박정림, 2013, "성폭력 상담사의 대리외상에 대한 주관성 인식 유형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1(3): 118-147. 

  2. 강지희, 2015, "아동상담자의 외상 경험과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및 대리 외상에 대한 상담자 변인의 조절효과", 동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고영빈, 2008, "아동보호전문기관상담원의 2차적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고주애, 2010,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소진 경험에 대한 탐색",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4(1): 5-31. 

  5. 공계순, 2005,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0(3): 83-103. 

  6. 권해수?김소라, 2006, "성폭력상담자의 대리외상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18(3): 495-518. 

  7. 권해수, 2011, "성폭력상담자의 대리외상 관련 변인 연구: 상담유형, 외상경험,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1): 415-430. 

  8. 김명희, 2015, "세월호 이후의 치유-제프리 알렉산더의 '외상 과정'논의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19: 11-53. 

  9. 김미정?최말옥, 2012, "아동보호전문기관 퇴직상담원의 2차적 외상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8(3): 153-183. 

  10. 김민선, 2012, "성폭력상담자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자기위로능력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윤섭, 2010,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개입하는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지, 13(3): 161-168. 

  12. 김홍철, 2016, "클라이언트관련 스트레서가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8(3: 1-28 

  13. 남희은?진혜민?백정원, 2015, "사회복지사 소진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6(2): 1045-1053. 

  14. 노충래?주한나?손유경, 2008, "개인 및 조직특성과 대리외상이 성매매 피해여성상담원들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8(4): 265-293. 

  15. 민지원?주혜선?안현의, 2016, "재난 자원봉사인력의 소진 양상에 따른 이차외상스트레스와 세상에 대한 신념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3): 363-385. 

  16. 박선웅 역, 2007, 사회적 삶의 의미: 문화사회학, Alexander, J. C., 2003, The Meanings of Social Life: A Cultural Sociology, 파주: 한울. 

  17. 박윤미?윤혜미, 2011, "외상생존자와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대한 역할갈등, 업무 부담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및 자기 효능감의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36: 289-322. 

  18. 박지영, 2011, "한국형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척도(Secondary Traumatic Stress Scale)의 구성타당화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3(4): 33-57 

  19. 박지영, 2013, "외상피해원조실무자의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와 소진은 서로 다른가?", 사회복지연구, 44(2): 383-404. 

  20. 성희자?권현수, 2013,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긴장,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 민간부문 사회복지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4(3): 361-383. 

  21. 신범수, 2004,"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심기선?주혜선?안현의, 2016, "정신건강 전문가의 재난지원활동 여부에 따른 공감만족, 소진, 간접 외상 스트레스: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4(2): 113-139. 

  23. 엄영숙?장수미, 2014,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의 이차외상스트레스 대처과정에 관한 연구-고통속에서 줄탁을 통해 나아가기",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2(3): 63-90 

  24. 이명신, 2004, "사회복지사의 소진과정(Burnout Process) 모델 : 직업관련 스트레스 요인, 직무스트레스와 전문직효능성에 의한 소진 경로분석", 한국사회복지학, 56(4): 5-34. 

  25. 이명신?양난미?안수영?김보령, 2016, "성폭력 상담원의 소진 결정요인-업무과중, 공감피로, 피해자중심서비스와 이차피해태도", 비판사회정책, 50; 284-333. 

  26. 정여주, 2011, "여성폭력상담소 종사자들의 자기효능감과 클라이언트 폭력이 이차적 외상에 미치는 영향연구-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정혜숙?송지연, 2015, "성폭력 피해자를 돕는 사회복지사들의 분투와 성장: 원스톱 위기개입 현장 사회복지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6(4): 137-171. 

  28. 최미정, 2015, "특별재난지역에서의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 : 재난관리 협력적 거버넌스 관점에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서울시 시민건강국(보건의료정책과-32674), 2016, "서울시 트라우마 치유 클리닉 운영계획", http://opengov.seoul.go.kr/sanction/9962347. 

  30. 한겨레신문, 2015, "광복이후 가장 중요한 사건…2040 "세월호" 5060 "한국전쟁", 2015년 1월 1일. (http://mlbpark.donga.com/mlbark/view.php?uhttp%3A%2 F%2 Fn ews .naver.com%2Fmain%2Fread.nhn%3Fmode%3DLSD%26mid%3Dshm%26sid1%3D102%26oid%3D 028%26aid%3D0002258965) 

  31. Bakker, A. B., Schaufeli, W. B., Sixma, H. J., and Dierendonck, D. V., 2000, "Patient Demands, Lack of Reciprocity, and Burnout: A Five-year Longitudinal Study among General Practitioner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1: 425-441. 

  32. Bell, H., 2003, "Strengths and Secondary Trauma in Family Violence Work", Social Work, 48(4): 513-522. 

  33. Benbow, S. M., 1998, "Burnout: Current Knowledge and Relevance to Old Age Psychiatr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3: 520-526. 

  34. Birks, M. and Mills, J., 2011,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CA: Sage. 

  35. Bride, B. E., 2007, "Prevalence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among Social Workers", Social Work, 52(1): 63-70. 

  36. Burisch, M., 1993. "In Search of Theory: Some Ruminations on the Nature and of Burnout", 75-93, in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edited by Schaufeli, W. B., Maslach, C., and Marek, T., Philadelphia: Taylor and Francis. 

  37. Canfield, J., 2005, "Secondary Traumatization, Burnout, and Vicarious, Traumatization", Smith College Studies in Social Work, 75(2), 81-101. 

  38. Charmaz, K., 2014,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CA: Sage. 

  39. Cherniss, C., 1993. "Role of Professional Self-Efficacy in th Etiology and Amelioration of Burnout", 135-150, in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edited by Schaufeli, W. B., Maslach, C., and Marek, T., Philadelphia: Taylor and Francis. 

  40. Choi, G., 2011, "Organizational Impacts on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of Social Workers Assisting Family Violence or Sexual Assault Survivor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35(3): 225-242. 

  41. Creamer, T. L., and Liddle, B. J. 2005, "Secondary Traumatic Stress Among Disaster Mental Health Workers Responding to the September 11 Attack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8(1): 89-96. 

  42.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CA: Sage. 

  43. Denzin, N. K., and Lincoln, Y. S., 1994,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CA: Sage. 

  44. Devilly, G. J., Wright, R., and Varker, T., 2009, "Vicarious Truama, Secondary Traumatic Stress or Simply Burnout? Effect of Trauma Therapy on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43: 373-385. 

  45. Figley, C. R., 1995, "Compassion Fatigue as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An Overview", 1-20, in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edited by Figley, C. R., NY: Routledge. 

  46.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1): 159-165. 

  47. Friedman, I., A. 2000, "Burnout in Teachers: Shattered Dreams of Impeccable Professional Performanc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6(5): 595-606. 

  48. Gillespie, D. F., and Danso, K., 2010, "Vulnerability: The Central Concept of Disaster Curriculum", 3-14, in Disaster Concepts and Issues: A Guide for Social Work Education and Practice, edited by Gillespie, D. F., and Danso, K., VA: Council on Social Work Education. 

  49. Gilligan, R., 2000, "The Key Role of Social Workers in Promoting the Well-being of Children in State Care: a Neglected Dimension of Reforming Policies". Children and Society. 14: 267-276. 

  50. Glaser, B. G., 1992, Basics of Grounded Theory Analysis: Emergence Vs Forcing, Sociology Press. 

  51. Herman, J. L., 1992, Trauma and Recovery: The Aftermath of Violence: From Domistic Abuse to Political Terror, NY: Basic Books. 

  52. Kadambi, M. A., and Truscott, D., 2003, "Vicarious Traumatization and Burnout among Therapists Working with Sex Offenders", Traumatology, 9(4): 216-230. 

  53. Kirkcaldy, B. D., Athanasou, A. and Trimpop, R., 2000, "The Idiosyncratic Construction of Stress: examples from medical work settings", Stress Medicine, 16: 315-326. 

  54. Knight, c., 2004, "Working with Survivors of Childhood Trauma: Implications for Clinical Supervision", The Clinical Supervisor, 23(2): 81-105. 

  55. Maslach, C., and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 99-113. 

  56. Maslach, C., and Leiter, M. P., 1997, The Truth about Burnout: How Organizations Cause Personal Stress and What to Do about It.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7. Maslach, C., Jackson, S. E., and Leiter, M. P., 1997, Maslach Burnout Inventory(3th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58. Maslach, C., Schaufeli, W. B., and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59. Mazza, J. J. and Reynolds, W. M., 1999, "Exposure to Violence in Young Inner-city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and PTSD Symptomatology",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7: 203-213. 

  60. McCann, I. L., and Pearlman, L. A., 1990, "Vicarious Traumatization: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Working with Victim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3(1): 131-149. 

  61. Meldrum, L., King, R. and Spooner, D, 2002, "Secondary Traumatic Stress in Case Managers Working in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85-106, in Treating Compassion Fatigue, edited by Figley, C. R., NY: Brunner-Routledge. 

  62. Michalopoulos, L. M., and Aparicio, E., 2012, "Vicarious Trauma in Social Workers: The Role of Trauma History, Social Support and Years of Experience",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21(6): 646-664. 

  63.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NASW), 2006, Social Workers as Responders to Disasters. Washington, DC: Author. 

  64. Naturale, A., 2007, "Secondary Traumatic Stress in Social Workers Responding to Disasters: Reports from the Field", Clinical Social Work Journal, 35: 173-181. 

  65. Pearlman, L. A., and Mac Ian, P. S., 1990, "Vicarious Traumatization: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Working with Victim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3(1): 131-149. 

  66. Pearlman, L. A., and Saakvitne, K. W., 1995, "Treating Therapists with Vicarious Traumatization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s, 150-177, in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edited by Figley, C. R., NY: Routledge. 

  67. Pines, A. M. 1993. "Burnout: An Existential Perspective", 33-51, in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edited by Schaufeli Maslach, C., and Marek, T., Washington, D. C.: Taylor and Francis. 

  68. Regehr, C., Hemsworth, D., Leslie, B., Howe, P., and Chau, S., 2004, "Predictors of Post-Traumatic Distress in Child Welfare Workers: A Linear Structural Model Equation Model",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6: 331-346 

  69. Rogge, M. E., 2003, "The future is now: socia work, disaster management, and traumatic stress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30(2): 1-6. 

  70. Schaubend, L. J. and Frazier, P. A., 1995, "Vicarious Trauma: The Effects on Female Counselors of Working with Sexual Violence Survivor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19: 49-64. 

  71. Schaufeli, W. B., 2003, "Past performance and future perspectives of burnout research",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29(4): 1-15. 

  72. Sprang, G., Clark, j. j., and Whitt-Woosley, A., 2007,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Burnout: Factors Impacting a Professional's Quality of Life, Journal of Loss and Trauma, 12:259-280. 

  73. Strauss, A. and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2nd ed), CA: Sage Publications. 

  74. Ting, L., Jacobson, J. M., Sanders, S., Bride, B. E., and Harrington, D., 2005,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ith a National Sampl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11(3-4): 177-194. 

  75. Townsend, S. M., and Campbell. R., 2009, "Organizational Correlates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among Sexual Assault Nurse Examiners", Journal of Forensic Nursing, 5: 97-106. 

  76. Um, M. Y., and Harrison, D. F., 1998, "Role Stressors Burnout Mediators, and Job Satisfaction: A Stress-strain Outcome Model and an Empirical Test", Social Work Research, 22(2); 110-115. 

  77. Wee, D. F., and Myers, D, 2002, "Stress Responses of Mental Health Workers Following Disaster; The Oklahoma City Bombing", 57-83, in Treating Compassion Fatigue, edited by Figley, C. R., NY: Brunner-Routledge. 

  78. Yassen, J., 1995, "Preventing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178-208, in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edited by Figley, C. R., NY: Routledge. 

  79. Zakour, M. J., 2010, "Vulnerability and Risk Assessment: Building Community Resilience", 15-33, in Disaster Concepts and Issues: A Guide for Social Work Education and Practice, edited by Gillespie, D. F., and Danso, K., VA: Council on Social Work Educatio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