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 현장실습 참여 대학생의 권리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학습권 및 노동권의 측면에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ights of Students in their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n the aspect of the rights to learn and the rights to work-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9 no.1, 2017년, pp.147 - 174  

김수정 (국제사이버대학교) ,  김은정 (한양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복지 현장실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실습생으로서의 권리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학습권 및 노동권 관점에서 이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점집단 인터뷰(FGI)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총 19명의 실습생이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 현장실습 참여 학생의 권리인식은 총 5개의 범주 및 18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및 실습기관은 실습생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부재하거나 미흡하였다. 둘째, 실습참여 학생들은 실습 현장에서 훈련생이자 노동자로서의 이중적 지위와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한 혼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실습생들은 훈련생으로서 적절한 지도와 교육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넷째, 실습생들은 현장에서 실질적인 노동력을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합당한 보상 및 안전문제 노출시 제대로 된 보호를 받지 못해 불안함과 부당함을 느끼고 있었다. 다섯째, 학생들은 실습생의 권리보호에 대한 인식 및 제도 개선을 위한 실습기관 및 학교의 적극적인 노력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실습 학생들의 권리보호를 위한 개선방안을 논의하고 실습교육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rights of students who are under social work field practicum, as trainees, in the aspect of the rights to learn and the rights to work, in particular. This study utilized FGI method, and a total of 18 trainees participated. As a result, awareness of students who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복지 현장실습은 무엇인가? 사회복지 현장실습은 학생들이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 및 실천윤리를 토대로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기술을 실천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전문가로서의 정체감을 확립하고, 유능한 사회복지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사회복지교육의 핵심과정이라 할 수 있다(이경아‧서홍란, 2011). 특히 2003년 사회복지사 국가자격시험 도입과 함께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이 마련된 이후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교육에 있어 현장성 강화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김미옥 외, 2014).
현장실습생은 무엇인가? 현장실습생이란 현장실습에 참여하는 교육생으로서 피교육자로서 학습권과 동시에 실질적으로 노동을 제공하는 노동자로서 노동권을 지니고 있다. 실습생의 학습권 및 노동권과 관련된 법적 논의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현재 겪고 있는 문제점은? 이처럼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장실습이 당면한 문제점들이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사회복지교육 공급 증가로 인한 실습 기관의 부족, 실천 현장의 다변화에 따른 실습 커리큘럼의 부재, 실습내용의 비전문성, 대학과 실습기관 간 유기적 관계형성 미흡 등이 공통적으로 지적되어 왔으며(김기태 외, 2005; 양옥경, 2005; 최명민‧문순영‧김승용, 2005; 한주빈‧오혜경‧오봉욱, 2010; 홍선미‧최명민, 2010) 이에 따라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을 위한 다양한 논의들이 이루어져 왔다(박지영‧심경순‧최말옥, 2009; 홍선미‧최명민, 2010; 한주빈‧오혜경‧오봉욱, 2010; 이봉주‧강홍구‧최명민, 2011; 홍순혜 외, 2012; 정종화 외, 2013). 그러나 이러한 논의들은 사회복지교육 혹은 사회복지 교과과정의 제반 문제들 중 하나로 현장실습을 다루고 있어,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구체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대부분 실습교육의 질 관리 측면에 치중하고 있어 실습 환경 측면에서의 문제들을 살펴보는데 한계가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강영숙, 2011, "사회복지학과 대학원생이 인지하는 효과적인 사회복지실습 수퍼비전",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8: 169-195. 

  2. 강철희.최소연, 2005,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현장실습의 현황과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2): 51-79. 

  3. 강희숙.강신옥.안우상.이환복.조경미, 2008,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실습경험",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4: 175-196. 

  4. 고용노동부, 2016, "일경험 수련생에 대한 법적 지위 판단과 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 고용노동부 정책자료집. 

  5. 국가인권위원회, 2006, "실업계 고등학교 현장실습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연구보고서. 

  6. 권혁, 2016, "전공의에 대한 노동법적 지위와 보호방식에 대한 소고: 대전고법 2014.11.26., 2013나11186 판결을 중심으로", 강원법학, 47: 121-145. 

  7. 김기태.양옥경.홍선미.박지영.최명민, 2005, "한국 사회복지실천 교육모델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1): 19-67. 

  8. 김미옥.장수미.정익중.전종설.심정원, 2014, "오래된 문제, 또 한번의 시도 : 사회복지실천론과 기술론 교육에 관한 교수 및 현장전문가의 인식", 사회복지연구, 45(4): 89-119 

  9. 김선영.서원경, 2008, "보육실습 현장에서 실습생이 들려주는 스트레스와 대처",아동학회지, 31: 135-150. 

  10. 김수정, 2014, "사회복지 노동권 확보모색 방안을 위한 FGI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7(2): 135-150. 

  11. 김순례.이종은, 2005,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처방식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 98-106. 

  12. 김승용.박은주, 2012, "사회복지 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7: 1-26. 

  13. 김종진, 2013, "사회복지사 노동인권 무엇이 문제인가", 월간복지동향, 18(2): 51-54. 

  14. 노지영, 2016, "임상실습에서 간호학생의 피로경험", 인문사회21, 7(3): 346-361. 

  15. 노혜련.주석진.이혜진, 2010, "학교사회복지 실습생의 실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교육 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사회복지, 18: 1-28. 

  16. 노호창, 2014, "무급인턴의 법적지위와 보호방안에 대한 검토", 노동법논총, 32: 139-165. 

  17. 박근혜.김은정.배은경, 2015, "사회복지 현장실습 수업참여 학생들의 액션러닝에서의 경험과정 연구", 청소년학 연구, 22(12): 27-55. 

  18. 박성제, 2011, "영상취재요원(VJ)의 근로자성: 대법원 2011.3.24. 선고2010두10754 판결", 노동법학 39: 403-406. 

  19. 박종엽.이효선, 2009, "수퍼비전 체계속에서 수퍼바이저와 실습생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실습생의 실습경험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0(4): 5-40. 

  20. 박지영.심경순.최말옥, 2009, "부산지역 사회복지 현장실습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0: 143-169. 

  21. 배진형.김희수.안정선, 2014, "사회복지실습에서 경험하는 실습생의 어려움과 대처",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8: 1-43. 

  22. 순덕기, 2010,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심경순, 2013,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생의 스트레스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13(5): 311-321. 

  24. 양옥경, 2005,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모델 개발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 97-127. 

  25. 유태균.이선혜.서진환 역, 2004,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의 이론과 활용, Sherman, Edmund, and Reid, W. J., 1994, 서울: 나남출판. 

  26. 이경재, 2011,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전공만족도가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사회 복지연구, 8(2): 5-31. 

  27. 이경아.서홍란, 2011, 사회복지현장실습대학생 현장실습조사 결과, 고양: 공동체. 

  28. 이무성, 2015, "현장실습 참여학생에 대한 산재시 법적인 성격", 법학연구, 26(2): 335-368. 

  29. 이봉주.강홍구.최명민, 2011, 사회복지 교육과정 및 자격제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30. 이정미, 2016, "대학생 현장실습조사 결과", 2016 국정감사보고자료. 

  31. 장우찬, 2013, "무보수 노무공급계약으로서의 교육훈련계약 인정 문제 : 대전 지방법원 2012. 9. 5. 선고 2012나8688 판결". 노동법학, 45: 469-473. 

  32. 장우찬, 2016, "무보수 노무공급관계에 대한 노동법적 검토-무급 인턴의 법적 보호 방안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26(2): 335-368. 

  33. 장수미, 2010, "사회복지현장실습 수퍼비전에 대한 실습지도교수의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2(2): 235-255. 

  34. 장혜경.유영준, 2008,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실습성과와 실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5: 273-297. 

  35. 정수경, 2004,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실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6(3): 327-355. 

  36. 정무성?조해영, 2009, "사회복지전공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 증상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0: 93-118. 

  37. 정윤희.이경희, 2016, "간호대학생의 폭력경험, 대처양식 및 회복탄력성이 정서반응과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391-399. 

  38. 정종화.김욱진.김제선.김혜성.박영란.전석균, 2013, "한국사회복지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 한국사회복지교육, 23: 1-37. 

  39. 정필운, 2009, "교육영역에서 당사자의 권리, 의무, 권한에 대한 헌법이론적 고찰", 법학연구, 19(3): 283-312. 

  40. 정혜영, 2003, "교육실습생의 갈등에 관한 분석연구 : 서울경기지역 사립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0(3): 277-294. 

  41. 조해영, 2009, "사회복지현장실습생의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주영애, 2007, "사회복지현장실습에서의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전문대학 실습생을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진재문, 2014, "사회복지정책 교육의 진단 및 개선과제", 비판사회정책, 42: 212-248. 

  44. 최명민.문순영.김승용, 2005, "대학 사회복지실습교육 모델(TOP-A) 개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22: 33-53. 

  45. 통합입법예고센터, 2017, http://www.lawmaking.go.kr/lmSts/orLmPp/32876, 2017. 1. 25. 최종방문. 

  46. 표갑수?김현진, 2009, 사회복지 실습지도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지역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10: 171-191. 

  47.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3, 표준실습교육매뉴얼. 

  48.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역, 2011, 취업을 위한 학습, OECD., 2010, "OECD Review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Learning for Jobs",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9. 한주빈, 2011,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실습성과에 관한 연구: 학교요인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0. 한주빈.오혜경.오봉욱, 2010, "사회복지실습생의 현장실습 평가에 관한 내용 분석 연구: 실습생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12: 147-171. 

  51. 홍선미.최명민, 2010, "사회복지교육 실태진단 및 사회복지교육의 질관리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1: 1-31. 

  52. 홍순혜.조성심.안정선.방진희.엄경남, 2013, "학교사회복지 현장실습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학교사회복지, 24: 197-218. 

  53. Gisela Dybowski, 2014. "독일직업훈련의 효율과 특성", 국제노동브리프, 12(5): 4-17. 

  54. Harper, Michael C. 2015. "미국 무급 인턴제에 관한 규제", 국제노동브리프, 13(12): 4-11. 

  55. Gelman, C. R, 2004, "Anxiety experienced by Foundation-year MSW Students entering Field Placement: Implications for Admissions, Curriculum, and Field education",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40(1): 39-54. 

  56. Wentling, R.M. and Waight, C.L, 2000, "School and workplace initiatives and other factors that assist and support the successful school-to-work transition of minority youth",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37(2): 5-3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