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4 no.1, 2017년, pp.63 - 84
한수진 (누스 예술심리치료센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ived benefits from singing and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aged 75 years and older. A total of 231 older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141 of them living alone and 90 of them living with others. Each partici...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노래부르기 활동이 노인 개인에게 가져오는 효과는? | 음악활동은 노인의 기능을 유지 및 개선시키는 데 도움이될 뿐 아니라 음악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요구되는 집중, 기억, 새로운 기술의 습득과 같은 인지적인 기능도 동시에 자극되며, 성취감, 활기, 정신건강, 가동성, 젊어지는 기분, 스트레스 관리, 우울 감소, 긍정적인 기분, 자신감, 창의성 등 신체적, 정신적 기능 유지 등과 같은 긍정적인 심리․정서적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Hallam & Creech, 2016). 특히 노래부르기 활동은 노인의 전반적인 기능을 유지하거나 개선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신체적 측면으로 노래부르기는 의사소통에 쓰이는 기능이 사용되기 때문에 노인의 음성을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다(Jun & Kim, 2011). 노래를 부르는 동안 규칙적인 호흡을 유도하고, 목소리 강도 및 발성 지속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Elefant, Baker, Lotan, Lagesen, & Skeie, 2012), 조음의 명료도를 높여 일련의 말산출 기능의 향상을 가져온다(Jun & Kim, 2011). 인지적인 혜택으로는 노래부르기 활동이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며, 노래를 활용한 정보를 기억하는 것은 학습한 후에 정보를 보존하는 것과 인출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oussard, Bigand, Belleville, & Peretz, 2014). 또한 노래부르기 활동은 자기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감정을 대면하고 목소리를 사용해서 감정을 표출하기 때문에 노인의 심리적인 문제의 해결을 도울 수 있다(Chong, 2015). | |
성공적인 노화란 어떤 의미를 지녔는가? | 노년기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다양한 관점 중 성공적인 노화는 신체적 질병뿐만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 영역에서 노인 스스로가 만족하고 독립적으로 사회에 적응해서 생활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로(Nam & Shim, 2011), 삶의 질 개선에 초점을 두고 개인적, 환경적 요인들에 대한 관련성이 연구되고 있다(Jeong & Sim, 2009; Kim, Lee, & Park, 2010; Ko & Joe, 1997; Ko & Lee, 2012). 연장된 수명으로 인해 노년기 중 후기노인의 삶의 질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고령 후기노인 역시 사회적 활동을 통한 관계 및 경험이 삶의 질 지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Ha, & Choi, 2014). | |
노년기는 어떤 기준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 이러한 고령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년기 특성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연령 구분이 세분화되고 있다. 75세를 기준으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2단계로 나누거나(Kim, 2006; Kim, 2012; Kim et al., 2014), 정년퇴직 연령에 따라 55세에서 64세를 초기 고령단계, 65세에서 74세까지 중기 고령단계, 75세 이후를 초고령 단계로 나눈다(Sohn, 2013). 동일한 노년기라도 하나의 단계에서 20-30세 정도의 넒은 범위를 보이기 때문에 고령노인에 대한 특성 이해 시 이러한 연령의 세분화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Belgrave, M. (2011). The effect of a music therapy intergenerational program on children and older adults’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cross-age attitudes, and older adults psychosocial well-being. Journal of Music Therapy, 48(4), 486-508.
Bruhn, H. (2002). Musical development of elderly people. Psychomusicology: A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Cognition, 18(1-2), 59-75.
Chang, S. J. (2010).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network in old age, and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comparison according to age and gender(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6(1), 75-100.
Chen, S.-L., Lin, H.-C., & Jane, S.-W. (2009). Perceptions of group music therapy among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in Taiwan.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17(4), 190-195.
Chong, H. J. (2015). Music therap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음악치료학의 이해와 적용) (2nd ed.).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Clair, A. A., & Memmott, J. (2009). Therapeutic uses of music with older adults(노인음악치료). (노인음악치료연구회. trans.). Seoul: Sigma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2008).
Clift, S., Hancox, G., Morrison, I., Hess, B., Kreutz, G., & Stewart, D. (2010). Choral sing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indings from English choirs in a cross-national survey. Journal of Applied Arts and Health, 1(1), 19-34.
Davidson, J. W., McNamara, B., Rosenwax, L., Lange, A., Jenkins, S., & Lewin, G. (2014). Evaluating the potential of group singing to enhance the well-being of older people. Australasian Journal on Ageing, 33(2), 99-104.
Doh, H. S., Lee, H. S., Kim, S. H., Choi, M. K., Lee, S., & Kim, S. W. (2011). Human development and the family(인간발달과 가족). Paju: Gyomoon Publishers.
Elefant, C., Baker, F. A., Lotan, M., Lagesen, S. K., & Skeie, G. O. (2012).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on mood, speech, and singing in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A feasibility study. Journal of Music Therapy, 49(3), 278-302.
Eom, M. K. (2015). A study on the music therapy for functional recovery in elderly admitted to long-term nursing care center(장기요양기관 입소노인의 기능회복을 위한 음악프로그램 조사)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Hallam, S., & Creech, A. (2016). Can active music making promote health and well-being in older citizens? Findings of the music for life project. London Journal of Primary Care, 8(2), 21-25.
Hays, T., & Minichiello, V. (2005). The meaning of music in the lives of older people: A qualitative study. Psychology of Music, 33(4), 437-451.
Hur, J. S. (2002). Determinants of leisure activities among urban elderly persons(도시노인의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2(2), 227-247
Jeong, M. Y., & Sim, M. Y. (2009).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participating social welfare using facilities: Focused on the program’s participa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이용시설 참여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프로그램 참여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을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4), 1539-1557.
Kim, B. K., Ha, Y. J., & Choi, S. S. (2014). A vertical study on the factors which are influenced on depression of the aged: Focusing on physical?psychological?social factor(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종단적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4(1), 115-132.
Kim, H. K., Lee, H. J., & Park, S. M. (2010).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279-292.
Kim, H. K., & Sung, J. M. (2014). The longitudinal factors related to the depression of the Korean elderly: Comparison of younger-old and older-old(노년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종단적 요인: 전기?후기 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66, 427-449.
Kim, H. R. (2012).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correlates among young-old and old-old elderly people with poverty in Korean urban community(일 도시지역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우울 유병률과 관련요인).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2(3), 941-954.
Kim, J. Y., & Lee, J. M. (2010). Influences of elder education on life-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노인교육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8, 7-30.
Kim, K. H. (2001). A study of musical preferences of the elderly(노인의 음악선호도 조사 연구)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im, M. H., & Min, K. H. (2004). Emotional experience and emotion regulation in old age(노년기 정서경험과 정서조절의 특징).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3(2), 1-21.
Kim, M. R. (2006). The study of comparing the factors of affecting on the quality of life for young-old women and old-old women(전기, 후기 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8(2), 197-222.
Kim, Y. B., & Lee, S. H. (2015). The depressive symptom and poverty in later lif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overty and informal social relationships(노년기 우울증상과 빈곤).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2), 401-411.
Ko, J. E., & Lee, S. H. (2012). A multilevel modeling of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mong older Korean adults(노인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층분석), Mental Health & Social Work, 40(1), 322-351.
Ko, S. D., & Joe, S. H. (1997).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요인 추출).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7(2), 17-36.
Koelsch, S. (2014). Brain correlates of music-evoked emotions.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5(3), 170-180.
Lee, E. A. (2014). The study on the actual utilization of music for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people(노인의 우울 수준에 따른 음악 활용 실태 연구)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Lee, H. S., Kim, D. K., Ko, H. J., Ku, H. M., Kwon, E. J., & Kim, J. H. (2003).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 ( 노인 삶의 질척도 의 표준화),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4), 859-881.
McCullough-Brabson, E. (1981). An assessment of the musical needs and preferences of individuals 65 and ov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Arizona, Arizona.
Moussard, A., Bigand, E., Belleville, S., & Peretz, I. (2014). Learning sung lyrics aids retention in normal ageing and Alzheimer’s disease.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24(6), 894-917.
Nam, S. K., & Shim, O. S.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만성질환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3, 239-259.
Park, K. S., Hahn, D. W., & Lee, J. I. (2006). Social psychological predictors of sucessful aging in Korea(한국사회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성공노화 노인들의 사회심리적 특성).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3), 457-475.
Sakano, K., Ryo, K., Tamaki, Y., Nakayama, R., Hasaka, A., Takahashi, A., ... Saito, I. (2014). Possible benefits of singing to the mental and physical condition of the elderly. BioPsychoSocial Medicine, 8, 11.
Skingley, A., Clift, S. M., Coulton, S. P., & Rodriguez, J. (2011). The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a participative community singing programme as a health promotion initiative for older people: Protocol for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C Public Health, 11, 142.
Skingley, A., Martin, A., & Clift, S. (2016). The contribution of community singing groups to the well-being of older people: Participant perspectives from the United Kingdom.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35(12), 1302-1324.
Sohn, Y. J. (2013). The effect of suicidal ideation, self-esteem,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on depression among the young-old, middle-old and old-old elderly Korean(초기고령, 중기 고령 및 초고령 한국노인들에 있어서 자살성 사고, 자존감, 가족 생활만족도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3(4), 185-217.
Suh, S. R., & Kim, M. (2014). Influencing factor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living alone(독거노인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 요인).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4(4), 705-716.
Yun, K. Y. (2008).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ving in low income, alone-living elderly(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ukje Theological Seminary and University, Seoul.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