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후조리원 이용 산모의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Postpartum Women at Sanhujoriwo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3 no.2, 2017년, pp.135 - 144  

최혜경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  정남옥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egrees of mood states,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postpartum women who were at Sanhujoriwon.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후조리원에서 산후조리 중인 산모를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구체적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산후조리원을 이용하여 건강을 유지 증진하려는 산모와 그의 가족, 그리고 신생아의 건강요구에 따라 전문적이고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지각된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지 두 요인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은 14% 로 나타나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산후조리원 이용 산모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출산 후 산욕기 관리를 산후조리원에서 하고 있는 산모의 건강증진행위와 영향 요인을 규명하는 횡단적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산후조리원 이용 산모들의 건강증진행위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건강증진행위는 영양, 위생관리, 정보추구, 신체기능회복, 건강평가, 사회 ․ 심리적 적응 순으로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료수집은 J도의 3개시 지역을 우선 선정하고, 규모가 크고 이용 산모들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J시지역 4개, I시 지역 2개, K시 지역 1개 산후조리원에서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산후조리원을 방문하여 담당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소개하고 이들로부터 허락을 받은 후 산후조리원에 있는 산모들에게 설문의 목적,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하고 참여를 권유하여 자발적으로 연구에 동의하는 자에 한해서, 선정기준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자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연구참여 동의서를 받은 후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배부하고 설문작성 방법에 대한 안내에 따라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 스스로 인식한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실천과 높은 연관성을 보이며, 남편의 지지 및 주변 가족의 지지는 건강증진 행위 습득 및 실천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으며[6,9,10,17,18,22-25], 산욕기 과정에 있는 산모들은 정상적인 생리과정에 있지만 정상상황 내에서도 몹시 급격한 개별적 반응들을 나타내고, 기쁨과 환희, 고독, 허탈감, 의존이나 거부, 흥분과 불안감, 피곤함, 침체감 등 다양한 감정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위기상황이 될 수 있다는[7] 연구결과를 근거로 인구사회학적 ․ 산과적 특성, 기분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등의 개인적 요인과 인지-지각요인 중 인간 상호간의 영향인 가족과 건강관리제공자의 영향을 받아 건강증진행위가 나타나는 것으로 도출하여, 산후조리원 이용 산모의 건강증진행위에 이들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산후조리원 이용 산모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그러나 산욕기 초기에, 병원과 가정 중간단계의 건강증진센터라 할 수 있는 산후조리원[13]에서 산후관리를 하고 있는 산모 대상 건강증진 행위 관련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산후조리원에서 산욕기를 보내고 있는 산모를 대상으로 하여, 출산 후 생활습관이나 산모 개인의 행위 변화에 관심을 두고, 이들이 수행하는 건강증진행위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 출산 후 산후조리원에서 산후조리를 하고 있는 산모들의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 산후조리원에 있는 산모 200명이다. 연구대상자는 a) 정상 신생아를 의학적 건강문제가 없이 출산하였고, b) 출산 후 의학적 건강문제 없이 산욕기 과정에 있으며, c) 출산 후 1주 이상인 산모이다. 이때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자, 설문지의 내용을 이해하고 응답이 가능한 자로 제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욕기 동안의 산모가 겪을 수 있는 문제들은 무엇인가? 여성에게 있어서 산욕기는 생리 및 심리학적 적응과정일 뿐만 아니라, 사회 여러 요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바탕으로,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한 활발한 건강관리 활동이 이루어지는 발달 기회의 시기이다[1]. 하지만 산모의 건강 관련 많은 연구에서, 산욕기 동안의 산모는 신체적 불편감, 산후우울, 양육 스트레스와 모성정체감 형성에 대한 어려움[1-6], 기분장애[7] 등의 건강문제를 경험하고, 산모와 아기 그리고 이들을 포함한 가족은 상황적 위기와 생애 건강에 영향을 주는 건강문제를 경험할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1,8-10]. 이에 산모건강 관련 전문가들은 산모와 아기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산후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지지하고, 보다 적절한 관리방안[11,12]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산욕기 동안의 건강관리는 과거에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 왔는가? 산욕기 동안의 건강관리는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이는데,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산후조리'라는 독특한 문화적 돌봄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이는 여성이 아기를 낳은후 허약해진 몸과 마음을 특별한 음식, 활동, 또는 거처 등의 보살핌을 통해 임신 전의 건강상태로 회복하게 하는 것[9]이며, 대부분 가족에 의한 ‘돌봄의 형태’로 전승되어 왔다[9,10]. 그러나 최근 핵가족 증가, 병원 분만의 보편화, 초저출산 ․ 고령 초산 부를 위한 전문적인 산후관리 요구도 증가, 그리고 산후조리를 도와주던 부모세대의 여건변화 등 사회적 시대적 환경의 변화로 인해 가정 내에서의 전통적인 산후조리가 어려워졌다[10-12].
여성에게 산욕기는 어떤 기회를 주는 시기인가? 여성에게 있어서 산욕기는 생리 및 심리학적 적응과정일 뿐만 아니라, 사회 여러 요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바탕으로,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한 활발한 건강관리 활동이 이루어지는 발달 기회의 시기이다[1]. 하지만 산모의 건강 관련 많은 연구에서, 산욕기 동안의 산모는 신체적 불편감, 산후우울, 양육 스트레스와 모성정체감 형성에 대한 어려움[1-6], 기분장애[7] 등의 건강문제를 경험하고, 산모와 아기 그리고 이들을 포함한 가족은 상황적 위기와 생애 건강에 영향을 주는 건강문제를 경험할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1,8-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YS, Cho DS, Lee EH, Kim JI, Shin HS, Jung JW, et al. Women's health nursing II. 7th ed. Paju: Soomoonsa; 2012. p. 318-356. 

  2. Kim ME, Hur MH. Sleep quality, fatigue, and postpartum depression of mother at six months after deliver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4):266-276. 

  3. Jung YY, Kim HW. Factors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influence on maternal identit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1):29-37. 

  4. Cho EJ. Subjective sleep quality in depressed and non-depressed mothers during the late postpartum perio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2):108-120. 

  5. Klainin P, Arthur DG. Postpartum depression in Asian culture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46(10):1355-1373. 

  6. Ahn S.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Korean traditional postpartum care performance and postpartum health sta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05;35(1):37-46. 

  7. Viguera AC, Tondo L, Koukopoulos AE, Reginaldi D, Lepri B, Baldessarini RJ. Episodes of mood disorders in 2,252 pregnancies and postpartum period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11;168(11):1179-1185. 

  8. Mercer RT. Nursing support of the process of becoming a moth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06;35(5):649-651. 

  9. Yoo EK. Health promoting behavior for women's health: An analysis on meaning of Sanhujori, Korea, postpartum care.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1993;2(2):37-65. 

  10. Kim YJ, Chung MR. A study on the change of postpartum care in Korea. Asia Cultural Studies. 2012;26:217-240. 

  11. Yoo EK. Women's postpartal cultural need: Rethinking on the meaning of Sanhujori, the traditional postpartum care in Korea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The Korean Nurse. 1998;37(3):27-40. 

  12. Jeong IS, Lee SJ, Jeong JS, Yoon SW, Jeong SY, Ha J, et al. Development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 for postpartum care centers.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13;18(2):57-88. 

  13. Yoo EK, Ahn YM. A model for community based mother infant care center -TMIC (transitional mother infant care center) using a Sanhujoriw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1;31(5):932-947. 

  14.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Press Resources on the current state of Sanhujoriwon [Internet]. Seoul: Author; 2015 [cited 2015 June 17].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index.jsp 

  15. Lee SY. Improving the population quality in low fertility and aging Korea: Policy challenges for birth outcomes for women of advanced maternal age. The 36th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conference; 2014. November 18; Korea National Assembly Library Conference Center. Seoul: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4. p. 199-215. 

  16. Kim MA, Choi SY. A comparative of postpartum stress, postpartum depression, postpartum discomfort and postpartum activity, between women who used and those women did not used Sanhujori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3;17(2):184-195. 

  17. Song JE, Park BL. The changing patter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maternal adjustment between primiparas who used and those who did not use Sanhujori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4):503-514. 

  18. Park YJ, Lee SJ, Park ES, Ryu HS, Lee JW, Chang SO. A metaanalysis of explanatory variable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00;30(4):836-846. 

  19. Srof BJ, Velsor-Friedrich B. Health promotion in adolescents: A review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Nursing Science Quarterly. 2006;19(4):366-373. 

  20. Jeong NO, Lee MH. A predictive model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women who immigrate for marri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5):695-704. 

  21. Pender NJ.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rd ed. New Jersey: Prentice Hall; 1996. p. 243-244. 

  22. Kim H, Jeong I.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of primiparas in a postpartum care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1):125-134. http://www.dbpia.co.kr/Article/3028839 

  23. Jung MH, Kim JI.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renatal emotional status, preparation for delivery, postpartum social support and postpartum blu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5;11(1):38-45. 

  24. Sung EJ.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family support in postpartum women [master's thesis]. Daeg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03. 60 p. 

  25. Kim JH, Song JE, Yoo JE, Lee YM, Han MK, Kim SY, et al. Factors that affect the choice of the utilization of Sanhujoriwon among the postpartal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1;7(1):56-66. 

  26. McNair DM, Lorr M, Droppleman LF. Manual for profile of mood states. San Diego, CA: Educational and Industrial Testing Service; 1971. 27 p. 

  27. Yeun EJ, Shin-Park KK. Verification of the profile of mood states-brief: Cross-cultural analysi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6;62(9):1173-1180. 

  28. Ware JE. Scales for measuring general health perceptions. Health Services Research. 1976;11(4):396-415. 

  29. Cobb S.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1976;38(5):300-314. 

  30. Yeun EJ, Kim HJ, Jeon MS.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hospital registered nurses-mood states, resourcefulness, and health percep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stration. 2011;17(2):198-2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