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 언어폭력충격, 및 소진간의 상관성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Relationship among Verbal violence experience, Verbal violence impact and Burnout in Operating Room Nurs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6, 2017년, pp.85 - 96  

이수진 (경주동국대학교병원) ,  김주성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목적은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 언어폭력충격 및 소진정도를 파악하고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수술실 간호사 20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으며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상관계수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수술실 간호사들의 언어폭력경험수준은 평균 1.96점, 언어폭력충격수준은 평균 1.67점, 소진정도는 평균 3.08점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경험수준은 언어폭력충격수준 및 소진정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39, p<.001; r=.41, p<.001) 언어폭력충격수준도 소진정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29, p<.001). 소진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언어폭력경험, 언어폭력충격수준 및 직위(일반간호사)였으며 이들 요인은 수술실 간호사의 소진정도를 30% 설명하였다(F=9.15, 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은 개인적, 사회적 측면에서 안정감과 생산성을 위협하며, 의료현장에서의 언어폭력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의 모색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among verbal violence experience, verbal violence impact and burnout of operating room nurs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from 202 operating room nurses and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 언어폭력으로 인한 충격 및 소진 정도를 파악하고 그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융합연구로서 서술적 조사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는 수술실내 언어폭력상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언어폭력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구체적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특히 폭력경험이 심리적 좌절, 탈인 격화 등의 정신적 고갈을 유발하는[11] 반면에 폭력피해간호사는 언어폭력에 대한 보고를 꺼리고 폭력상황해결을 위한 적극적 대처를 회피하는 경향이 보고됨에[1,24]따라 언어폭력은 조절하지 못하는 반복적 스트레스로 남게 되어 소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9]. 이에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과 언어폭력충격 및 소진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수술실 언어폭력 예방과 관리를 위한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언어폭력예방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인적, 물적,제도적 환경의 조성과 추후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수술실 간호사는 수술업무 및 장비관리에서 직무숙련성을 향상시켜 실수로 인한 언어폭력 노출기회를 차단해야 할 것이다.

가설 설정

  • 셋째, 언어폭력의 범주와 유형 및 그 유해성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바른 이해를 돕는 교육체계를 준비하고 직장 동료 간의 언어폭력 예방을 위해 상호 존중하는 언어적 의사소통법의 실천이 필요하다. 넷째, 언어폭력유발 방지를 위한 정책규정과 제도적 관리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언어폭력예방을 위한 추후연구로서 언어폭력의 내용과 형식, 가해자와 피해자간의 언어폭력에 대한 인식차이 등에 대한 사례분석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언어폭력이란 무엇인가? 언어폭력은 부당한 비난이나 난폭한 공격성의 말을 사용하여 듣는 이에게 불쾌감, 위협감 등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적 강제력을 주는 언어표현행위이다[9,10,11]. 언어폭력은 동등하지 않은 권력관계에서 쉽게 일어나며[11] 가해자에 대한 분노나 공포, 모욕감, 등의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는[10,11,12] 반면에 가해진 폭력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함에 따른 우울이나 불안을 초래한다[13,14].
병원조직에서 폭력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병원조직은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각 분야별 전문지식과 기술의 긴밀한 상호협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업무관련 구성원 간 갈등과 긴장이 다른 일반조직에 비해 높고[1,2] 이러한 업무관련 긴장은 병원 구성원 간 폭력으로 쉽게 연결되어 나타난다[1,3]. 특히 간호사는 병원 내 타 직종보다 폭력에 노출된 경험이 많았으며[3,4,5,6,7] 폭력유형으로는 언어폭력빈도가 가장 높았다[4,7,8].
병원의 언어폭력에 의한 손실을 막기위한 폭력근절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간호사들은 신체적 폭력보다 언어적 폭력에서더 스트레스를 받으며[12] 해결되지 않는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간호사에게 신체적, 정신적 고갈상태인 소진을 초래하게 된다[15]. 직장 내 부정적 경험이 반복되는 인간관계는 감성적 고갈로 이어져[11] 직무만족감을 저하시켜[15] 이직이나 사직을 고려하는 계기가 된다[8,9,10,12,16,17,18]. 따라서 병원조직 내 언어폭력은 장기적 측면에서 인적, 재정적 손실을 유발함에 따라 폭력근절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H. J. Jung, Y. S. Lee, "Nurses's experiences of verbal abuse in hospital setting", Korea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Vol. 6, No. 2, pp.118-126, 2011. 

  2. A. K. Han, O. S. Kim, J. S. Won, "A study on job stress and coping method by the personality types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3, No. 2, pp.125-136, 2007. 

  3. Korea Health & Medical Worker's Union, Survey on emotional labor. verbal abuse. physical violence, available at http://www.bogun.nodong.org accessed May 2, 2010. 

  4. M. J. Kang, I. S. Park, "Types of violence and coping methods experienced by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21, No. 1, pp.92-104, 2015. 

  5. H. J. Jung, H. I. Cho, K. C. Choi, A. Y. Cho, Y. M. Chae, K. H. Choi, J. H. Jo, "Exprience, emotional reaction and coping behavior of verbal abuse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Vol. 8, No. 2, pp.99-108, 2013. 

  6. B. R. Keely, "Recognition and prevention of hospital violence",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Vol. 21, No. 6, pp.236-241, 2002. 

  7. S. Y Kim, H. Y. Ahn, H. S. Kim, "Violence experiences of clinical nurses and nurse aids in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17, pp.76-85, 2008. 

  8. I. S. Lee, K. O Lee, H. S. Kang, Y. H. Park, "Violent experieces and coping among home visiting health care work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2, No. 1, pp.66-75, 2012. http://dx.doi.org/10.4040/jkan.2012.42.1.66. 

  9. K. D. Nam, K. S. Yoon, H. S. Chung, S. A. Park, B. Y. Jang, Y. H. Sung, "Verbal abuse of operating nurses by physicians and othe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2, No. 3, pp.343-354, 2006. 

  10. J. W. Kim, S. J. Ko, S. H. Shin, "The effects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 social support, and coping patterns on job stres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22, No. 1, pp.38-45, 2016. 

  11. K. D. Nam, K. S. Yoon, H. S. Chung, S. A. Park, B. Y. Jang, H. R. Kim, H. S. Ohm, Y. H. Sung,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erbal abuse scale for operating roo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1, No. 1, pp.1-14, 2005. 

  12. M. J. Jang, E. N. Le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RQ-K(Korean Version of the Assault Response Questionnaire) for emergency department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5, No.4, pp.544-553, 2015. http://dx.doi.org/10.4040/jkan.2015.45.4.544. 

  13. E. S. Choi, H. S. Jung, S. H. Kim, H. J. Park, "The influence of workpace violence on work-related anxiety and depression experience among Korean employe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0, No. 5, pp.650-661, 2010. DOI:10.4040/jkan.2010.40.5.650. 

  14. W. Eriksen, K. Tambs, S. Knardahl, "Work factors and psychological distresses in nurses' aids: a prospective cohort study", BMC Public Health, Vol. 6, pp.1-11, 2006 

  15. M. H. Sung, "Relationship of the experience of violence to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4, No. 2 pp.83-92, 2008. 

  16. H. J. Kwon, H. S. Kim, K. S. Choe, K. S. Lee, Y. H. Sung,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d at medical cent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3, No. 2, pp.113-124, 2007. 

  17. J. H. Choi, Y. S. Tae, J. E. Heo,Y. S. Kim, "The relationship among anger-in, forgiveness, and quality of life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 22, No. 1, pp.78-86, 2016. http://dx.doi.org/10.14370/jewnr.2016.22.1.78. 

  18. H. Cox, "Verbal abuse nationwide, Part II: impact and modifications", Nursing Management, Vol. 22, No.3, pp.66-69, 1991. 

  19. K. S. Yoon,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erioperativ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6, No. 1, pp.86-100, 2010. 

  20. K. S. Yoon, " A Convergent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job rotation, verbal abus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erioperativ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3, pp.131-141, 2016. 

  21. D. Buback, "Assertive training to prevent verbal abuse in the OR", AORN Journal, Vol. 79, No. 1, pp.148-164, 2004. 

  22. Y. E. Lee, J. S. Kim, "Convergence study on effects of music therapy in patients undergoing prostatectomy with spinal anesthesi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1, pp.97-106, 2017. 

  23. S. H. Lee, S. E. Chung, "Nurses's experience of verbal violence in hospital sett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3, No. 4, pp.526-536, 2007. 

  24. E. Y. Park, J. M. Seo, H. O. Ju, E. N. Lee, "The reaction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to violence: Q-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7, No. 5, pp.762-771, 2007. 

  25. E. O. Park, S. J. Kang, E. K. Lee, E. J. Ji, R. H. Kang, C. H. Baek, "Violence experience of clinical nurse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7, No. 2, pp.187-202, 2001. 

  26. D. S. Weiss, C. R. Marmar,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Wilson, J., Keane, T., editor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pp.399-411, 1997. 

  27. H. J. Eun, T. W. Kwon, S. M. Lee, T. H. Kim, M. R. Choi, S. J. Cho,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44, No. 3, pp.303-310, 2005. 

  28. S. K. Choi, K. S. Lee, S. Y. Lee, J. H. Yu, A. R. Hong, J. H. Chae, S. J. Chang,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subway operators for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fter the persons had fallen under a trai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22, No.1, pp.29-36, 2010. 

  29. A. M. Pines, E. Aronson, D. Kafry,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Free Press, 1981. 

  30. E. H. Peek,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levels among nurses[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3. 

  31. W.C. Chen, H.G. Hwu, J. D. Wang, "Hospital staff responses to workplace violence in a psychiatric hospital in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Vol. 15 , No.2, pp.173-179, 2009. 

  32. J. K. Cook, M. Green, R. V. Topp, "Exploring the impact of physician verbal abuse on perioperative nurses", AORN journal, 74(3), pp.317-331, 2001. 

  33. M. Roche, D. Diers, C. Duffield, C. Catling-Paull, "Violence toward nurses, the work environment, and patient outcom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 42, No. 1, pp.13-22, 2010. 

  34. J.A. Cho, "Impact of exposure to verbal abuse on nurse's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hospital",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12. 

  35. S. A. Joung, K. Y. Park, "Influence of experiencing verbal abuse, job stress and burnout on nurses' turnover intention in hemodialysis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2, No.2, pp.189-198,2016. http://dx.doi.org/10.11111/jkana.2016.22.2.189. 

  36. C. H. Lu, T. F. Wang, C. Y. Liu,, "Psychiatric nurses' reactions to assault upon them by inpatients: a survey in Taiwan", Psychological Reports, Vol. 100(3 pt 1), pp.777-782, 2007. 

  37. I. Needham, C. Abderhalden, R. J. G. Halfens, J. E. Fischer, T. Dassen, "Non-somatic effects of patient aggression on nurs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49, No. 3, pp.283-296, 2005. 

  38. D. Y. Shin, M. J. Jeon, J. Sako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related factors in male fire fighters in a metropolitan cit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24, No. 4, pp.397-409, 2012. 

  39. S. Trossman, "Not 'part of the job'. Nurses seek an end to workplace violence", The American Nurse, Vol. 42, No. 6, pp.1, 6, 2010. 

  40. L. Sofield, S. W. Salmond, "Workplace violence: a focus on verbal abuse and intent to leave the organization", Orthopaedic Nursing, Vol. 22, No. 4, pp.274-283, 2003. 

  41. Y. H. Jeong, "Convergent approach of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bout emergency nurses' experience of hospital viol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63-75. 2015. 

  42. J. I. Kim, B. R. Choi, "Convergence study on emotional labor, stress response and turnover intention of call-center worke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139-146, 2015. 

  43. Y, H, Yeum, H. S. Son, H, S, Lee, M. A. Kim, "Study on emotional labor of hospital nurses", In 2015 Annual Report, Hospital Nurses Association, pp.405-436, 2016. 

  44. E. Y. Lee, J. S. Kim,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or, fatigue, and musculoskeletal pain in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1, pp.351-359, 2017. http://doi.org/10.5762/KAIS.2017.18.1.3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