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술실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조직문화 유형, 셀프리더십 및 소진 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Self-leadership and Burnout as Perceived by Perioperative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3 no.2, 2017년, pp.170 - 180  

임민경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임상간호행정학과.삼성서울병원) ,  성영희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임상간호행정학과) ,  정정희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임상간호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degree of self-leadership and burnout as perceived by perioperative nurses, and to identify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s: Participants were 155 nurses from 3 tertiary hospitals in Seoul and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조직문화 유형, 셀프리더십, 소진 정도를 파악하고 관련성을 분석하여 확인함으로써 소진을 감소시켜 유능한 간호사의 이직을 예방하고 효율적인 인력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간호업무의 질을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조직문화 유형, 셀프리더십, 소진 정도를 파악하고 관련성을 분석하여 확인함으로써 간호업무의 질을 높이고 효율적인 인력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 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조직문화 유형, 셀프리더십, 소진 정도를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의 수술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제한된 범위로 연구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는 것에는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조직문화 유형, 셀프리더십, 소진의 정도를 조사하고,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조직문화유형, 셀프리더십, 소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간호조직 안에서 간호사들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와 신념, 행동 방식으로 간호조직 구성원들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양식, 규범과 기대를 의미하는 간호조직문화를 몇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구분한 것을 말한다[4]. 본 연구에서는 수술실 간호사가 인지하는 조직문화유형을 측정하기 위해 Han [4]이 경쟁가치 모델에 근거하여 개발한 간호조직문화 도구로 측정된 관계지향적 문화, 혁신지향적 문화, 위계지향적 문화와 업무지향적 문화의 점수를 말한다. 각 문화 유형에 관한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사가 그 문화를 강하게 지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실은 어떠한 조직문화를 갖고 있는가? 수술실은 의료조직 내에서도 독립된 특수부서로서 엄격한 통제와 제한된 환경 속에서 의료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으로[7],병원 간호인력의 8~10%에 해당되는 많은 수의 간호사들이 근무하고 있으며 진료과별 다양한 수술분야에 따라 차별화되고 특성화된 수술 간호가 이루어지고 있는 곳이다[8]. 또한 수술실은 하나의 작은 실수라도 수술 환자의 생명을 위험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실수를 용납하지 않고, 엄격한 규정, 기존의 질서와 관행을 따르며 안전하고 확실한 업무처리 절차를 강조하는 권위적인 조직문화를 갖고 있다[9,10]. 이러한 수술실은 업무숙지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여 신규간호사의 오리엔테이션 기간이 다른 간호단위보다 2배 정도 길며, 수술실 내에서의 분과별 이동에 따른 다양하고 전문화된 지식과 기술의 훈련에 긴 기간이 필요하다.
병원의 정의와 역할은 무엇인가? 병원은 특수한 목적을 지닌 일종의 공식적 사회구조로, 다른 조직과는 달리 노동 집약적이며 서로 다른 여러 전문 인력이 함께 일하고 있는 조직체로서[1] 나름대로의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구성원들의 사고와 행동에 방향성과 힘을 주어 서로를 결속시키고 조직생활의 의미를 부여하여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이끄는 역할을 한다[2]. 이러한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의 행동과 태도에도 영향을 미쳐 조직전반의 발전을 좌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수술실 간호사들을 지속적으로 보유하고 동기 유발시키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또한 수술실은 하나의 작은 실수라도 수술 환자의 생명을 위험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실수를 용납하지 않고, 엄격한 규정, 기존의 질서와 관행을 따르며 안전하고 확실한 업무처리 절차를 강조하는 권위적인 조직문화를 갖고 있다[9,10]. 이러한 수술실은 업무숙지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여 신규간호사의 오리엔테이션 기간이 다른 간호단위보다 2배 정도 길며, 수술실 내에서의 분과별 이동에 따른 다양하고 전문화된 지식과 기술의 훈련에 긴 기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수술실에서는 이 간호사들을 지속적으로 보유하고 동기 유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Tappen RM. Nursing leadership and management: Concepts and practice. 3rd ed. Philadelphia: F.A. Davis; 1995. 

  2. Kim IS. Macro-organizational theory. 4th ed. Seoul: Muyok Pub; 2007. 

  3. Aarons GA, Sawitzky AC. Organizational climate partially mediates the effect of culture on work attitudes and staff turnover in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and Policy in Mental Health. 2006;33:289-301. https://doi.org/10.1007/s10488-006-0039-1 

  4. Han S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2;8(3):441-456. 

  5. Yoo SY, Kim I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f military hospit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5;11(2):129-145. 

  6. Kwon HJ, Suk BH, Chee SJ, Ahn YM, Kim YJ, Park SA, et a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nurses' satisfaction with lif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1):57-69. 

  7. Caldeira SM, de Avila MAG, Braga EM. Educ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in surgical and anesthetical recovery center: Perception of the nursing team. Journal of Nursing UFPE. 2013;7(8):5232-5238. 

  8. Yoon KS.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erioperativ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1):86-100.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1.86 

  9. Kim KO, Kim BH, Kim YS, Jeon HW.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nursi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m effectiveness at operating roo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12(3):385-396. 

  10. Murphy EK. Protecting patients from potential injuries. AORN Journal. 2004;79(5):1013-1016. 

  11. Park MA.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lf-leadership among operating room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master's thesis]. Daej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4. 

  12. Kim MS. Role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formatics competen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5):731-740. https://doi.org/10.4040/jkan.2009.39.5.731 

  13. Seomun KA. The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outcome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5;11(1):45-58. 

  14. Kim YH, Lee YM.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among nurses in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09;11(4):1939-1951. 

  15. Costello J, Clarke C, Gravely G, D'Agostino-Rose D, Puopolo R. Working together to build a respectful workplace: Transforming OR culture. AORN Journal. 2011;93(1):115-126. https://doi.org/10.1016/j.aorn.2010.05.030 

  16. Kim MR, Seomun GA. Relationships among burnou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o resign i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2):93-101. https://doi.org/10.5807/kjohn.2013.22.2.93 

  17. Coomber B, Barriball KL. Impact of job satisfaction components on intent to leave and turnover for hospital-based nurses: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7;44(2):297-314.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6.02.004 

  18. Manz CC. The art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3. 

  19. Kim H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teacher [master's thesis]. Seoul: Soongsil University; 2003. 

  20. Pines AM, Aronson E, Kafry D.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Free Press; 1981. 

  21. Peek EH.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levels among nurs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1983. 

  22. Jang IS, Park SM. A comparative study on nurs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hospital size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1):1-13. 

  23. Kim HK.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 communication skills. Creative behaviors and nursing services on self-leadership among nurses in hospitals.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1):25-36. 

  24. Kim JS, Kim GS, Choi MN, Lee HK.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for nurses working in hematology-oncology ward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1): 24-34. 

  25. Kang YS, Choi YJ, Park DL, Kim IJ.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2):143-151.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2.143 

  26. Kang SY, Park YS.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burnout of clinical nurs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06;14(3):219-226. 

  27. Kim HK, Ji HS, Ryu EK, Lee HJ, Yun SE, Jeon MK, et al. Factors influencing on burnout of the nurses in hospitals.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5;10(2):7-18. 

  28. Yoon SH. A study on new graduate nurses‘ clinical experience of adapt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2;8(1):55-72. 

  29. Yeun YR. Job stress, burnou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8):4981-4986. https://doi.org/10.5762/KAIS.2014.15.8.49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