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건강행태와 주관적 불행감의 상호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 and Subjective Unhappiness in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2 no.2, 2017년, pp.87 - 96  

박선우 (중산고등학교) ,  김상아 (동서울대학교 실버복지과) ,  박웅섭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건강행태와 주관적 불행감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하고 온라인을 통해 공개하고 있는 2015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원자료 중 일반계고 고등학생의 조사결과인 27,09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경제적 수준과 같은 다른 영향을 통제하여도 흡연을 하는 경우, 현재 음주를 하는 경우, 비만인 경우, 매일 과일을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 주3회 이상 패스트푸드를 먹는 학생들이 반대로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불행감이 높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 고등학생의 주관적 불행감과 건강행태의 관련성이 있었기 때문에 향후 고등학생들의 불행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건강요인들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와 관련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 and subjective unhappiness in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Using 27,097 responses from the 2015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e analyz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based on the co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건강행태와 주관적 불행감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청소년들의 건강행태 변화를 통하여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것에 기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느 경우 행복감이 저하되는가 신체적인 건강과 정신적인 건강은 밀접한 관련이 있어 신체적 기능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행복감이 저하된다고 보고되고 있다[6]. Lee[7]는 20∼30대 청년들의 건강문제가 이들의 불행감을 유의하게 높이는 요인 중의 하나로 주장하였으며, Oh[8]는 청소년들이 건강상태에 따라 자신에 대한 불만과 부정적인 태도를 더 많이 갖게 된다고 보고하였다.
불행이란? 요즘 고등학생들은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지 못해 행복하지 않은 즉, 불행감을 자주 표현한다. 불행은 ‘행복하지 아니함’을 뜻한다[1]. 이와 관련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인구사회학적 조건과 관련된 객관적인 행복이 아닌, 스스로 느끼고 있는 주관적인 행복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2].
청소년들이 스스로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나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가 성인과 다른 점은? 청소년기는 신체적 발달 뿐 아니라 인지적·심리정서적 발달이 현저한 시기이다. 청소년기의 우울증은 성인과 달리 조기발견이 어렵기 때문에[5] 이들이 당면한 건강문제를 조기에 발견 하지 못하면 청소년기에 달성해야 할 발달과업 수행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de Souto Barreto P, Rolland Y. Happiness and unhappiness have no direct effect on mortality. Lancet 2016;387(10021):822-823 

  2. Heo SY. An analysis of 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adolescent happiness[dissertation].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9 (Korean) 

  3. Youm Y. Comparative study on the Korean youth happiness index. International comparative reports. Seoul,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Studies of Yonsei university, 2015, p.9-133 (Korean) 

  4. Battle J.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ol Rep 1978;42(3 PT 1):745-746 

  5. Oh HY, Sim MJ, Oh HS. Relationships between mental health, depression level,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rural communities. J Agric Med Commun Health 2010;35(2):124-133 (Korean) 

  6. Blazer D, Hughes DC, George LK. Age and impaired subjective support: predictors of depressive symptoms at one-year follow-up. J Nerv Ment Dis 1992;180(3):172-178 

  7. Lee MS. The differential Influences of health, social-support, and future-expectation on korean young people's subjective happiness and emotional well-being. Korean J Youth Stud 2015;22(7):179-199 (Korean) 

  8. Oh SY. The association of dietary life,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olescents[dissertation]. Daejeon, Daejeon University, 2011 (Korean) 

  9. Kim NJ, Lim YS. The verification of intervening effect of youth ac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Korean J Youth Stud 2012;19(8):219-240 (Korean) 

  10. Lee SR, Kim JH. The Effect of Obesity on the Adolescent Development in Korea. J Adolescent Welf 2011;13(4):91-117 (Korean) 

  11. Daniel M. Exercise and mental health. Exerc Sci Acad 1998;7(2):131-146 (Korean) 

  12. Rhew HO. The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anger coping strategies and fastfood. Korean J Christian Couns 2006;11:61-78 (Korean) 

  13. Kim SH, Cho SW, Hwang SS, Ahn MJ, Lee DH, Kang SW, Park YK. Increased whole grain, fruits and vegetable intake reduced oxidative stress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Nutr 2012;45(5): 452-461 (Korean) 

  14. Cho HC, Seo IK. Predictors of depression trajectory among physical disabilities: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data. Disabil Employ 2012;22(1):87-112 (Korean) 

  15. Oh YS, Lee JY. What in important for the happi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J Econ Educ 2014;21(2):1-31 (Korean) 

  16. Chung MJ, Han SS. A study on improvement through the policy analysis of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Korean J Child Welfare 2008;6(3):71-98 (Korean) 

  17. Park KS, Lee GY. Factors influencing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School Health 2014;27(2):109-120 (Korean) 

  18. Greeno C, Wing R. Stress induced eating. Psychol Bull 1994;115(3):444-464 

  19. Song SM. The influenc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school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them among adolescents. J Korean Soc School Health 2013;26(1):1-12 (Korean) 

  20. Yi SM, Lee S. A relation of covert narcissism to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J Play Therapy 2009;13(2): 15-28 (Korean) 

  21. Lee SM. A study on health status by social class and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mong Korean elderly. J Gerontol Soc 2002;22(3):135-157 (Korean) 

  22. Schwartz CE. Applications of response shift theory and methods to participation measurement; a brief history of a young field. Arch Phys Med Rehabil 2010;91(9): S38-S43 

  2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Reports on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Youth Risk Behavior Report. Chungcheongbuk-do,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5, pp.396-431 (Korean) 

  24. Brown RA, Lewinsohn PM, Seeley JR, Wagner EF. Cigarette smoking, major depression, and other psychiatric disorders among adolescent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 1996;35(12):1602-1610 

  25. Haustein KO, Haffner S, Woodcock BG. A review of the pharmacological and psychopharmacological aspects of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in psychiatric patients. Int J Clin Pharmacol Ther 2002;40(9): 404-418 

  26. Rendu F, Peoc'h K, Berlin I, Thomas D, Launay JM. Smoking related diseases: the central role of monoamine oxidase.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1;8(1):136-147 

  27. Samokhvalov AV, Popova S, Room R, Ramonas M, Rehm J. Disability associated with alcohol abuse and dependence. Alchohl Clin Exp Res 2010;34(11):1871-1878 

  28. Hoe MS. Examining the association of poverty status transition wit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Korean J Soc Welf 2013;65(2): 203-230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