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t 나노 입자가 도입된 연료전지용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 복합막의 제조 및 특성
Fabrication of Hydrocarbon Polymer Electrolyte Composite Membrane Incorporated with Pt Nanopartle for PEMFC and Its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28 no.3, 2017년, pp.246 - 251  

이홍기 (우석대학교 에너지전기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fabricate a hydrocarbon polymer electrolyte composite membrane incorporated with Pt nanoparticle,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de of a sulfonated-fluorinated hydrophilic-hydrophobic block copolymer (SFBC) and sulfonated poly (ether ether ketone) (SPEEK) blend in the wight ratio of 1 : 1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00% 상대습도 조건에서 온도를 25-80℃ 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양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 5 mg 정도의 샘플을 TGA 장치에 넣고 실온에서 900°C까지 10°C/min의 승온속도로 분석하였다.
  • Pt (acac)2를 사용하여 Pt 나노 입자를 SFBC50-SPEEK20 필름에 도입하기 위해서 Fig. 1에서와 같은 건식법16)을 개발하였다. 유리 반응기 바닥에 테프론 필름을 깔고 그 위에 SFBC50-SPEEK20 필름을 올려놓는다.
  • Pt 나노 입자가 SFBC50-SPEEK20 전해질 막의 열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TGA 분석을 통해서 연구하였고, 그 결과를 Fig. 4에 나타내었으며, Pt 도입 여부에 관계없이 열중량 감소가 3단계로 진행되었다. 200-400°C 정도에서의 열중량 감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열 충격에 의해서 열분해가 일어나는 SO3H 그룹의 열분해16)와 관계가 있으며, 400-600°C 정도에서의 열중량 감소는 고분자 주사슬의 탄소탄소 공유결합의 열분해와 관계가 있다.
  • Pt 나노 입자가 SFBC50-SPEEK20 전해질 막의 이온 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을 상대습도 100 RH(%), 온도 40℃, 60℃ 및 90℃에서 측정하였으며, SFBC50-SPEEK20 막의 값은 각각 15.7, 54.0, 123.0 mS/cm이고, Pt/SFBC50-SPEEK20 막의 값은 각각 14.5, 48.3 그리고 111.3 mS/cm였다. 온도에 관계없이 Pt 나노입자가 도입한 경우의 양이온 전도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온도가 증가할수록 그 차이는 더 커졌다.
  • Pt 나노 입자가 열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서 열중량 분석 (TG/DTA 6200, EXTRA 6000 series, Seiko Instruments Inc., Japan)을 실시하였다. 5 mg 정도의 샘플을 TGA 장치에 넣고 실온에서 900°C까지 10°C/min의 승온속도로 분석하였다.
  • SFBC50-SPEEK20 막에 도입된 Pt 나노 입자의 형상 및 분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Pt/SFBC50-SPEEK20 복합막을 에폭시 수지에 embedding시킨 후 동결 초박절편기를 사용하여 70-90 nm 두께로 절편하였다. 그리고 고분해 투과 전자현미경(HR-TEM, Hitachi S-4100)을 사용하여 200 kV의 가속 전압 조건에서 관찰하였다.
  • 건식법을 사용하여 Pt (acac)2의 승화, 흡착 및 자발적 환원 과정에 의해 SFBC50-SPEEK20 전해질 막에 Pt 나노 입자가 도입된 전해질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술폰화 및 불소화된 PBI (sulfonated fluorinated polybenzimidazole, SFPBI) 필름을 제조하였고, 건식법을 사용하여 SFPBI 필름에 Pt 나노 촉매 입자를 도입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Pt 나노 촉매 입자가 전해질 막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SFBC50-SPEEK20 막에 도입된 Pt 나노 입자의 형상 및 분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Pt/SFBC50-SPEEK20 복합막을 에폭시 수지에 embedding시킨 후 동결 초박절편기를 사용하여 70-90 nm 두께로 절편하였다. 그리고 고분해 투과 전자현미경(HR-TEM, Hitachi S-4100)을 사용하여 200 kV의 가속 전압 조건에서 관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술폰화 및 불소화된 PBI (sulfonated fluorinated polybenzimidazole, SFPBI) 필름을 제조하였고, 건식법을 사용하여 SFPBI 필름에 Pt 나노 촉매 입자를 도입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Pt 나노 촉매 입자가 전해질 막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양이온 전도도는 전해질 막 이온 전도도 측정기 (BT-512MX, Scitech Korea In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이온교환능(IEC)은 전해질 막을 0.1M Nacl 용액에 24시간 동안 담근 후 Na+ 이온과 교환된 H+ 이온 농도를 0.1M NaOH 용액을 이용하여 적정하여 계산하였다.
  • 전해질 막의 I-V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활성 면적이 5×5 cm2인 단전지를 사용하여 OCV부터 4 V까지 0.05 V 간격으로 전압을 변화시키면서 전류 변화를 측정하였다.
  • 측정 온도는 80°C였고, 산소 유속은 290 sccm로 고정하였으며, 전압에 따라 수소 유속을 247-6,600 sccm 범위에서 자동 조절되도록 설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탄화수소계 전해질 막은 술폰화-불소화 블록 공중합체(SFBC)와 술폰화 poly(ether ether ketone)(SPEEK)를 50 wt%와 20 wt%의 혼합비로 블렌딩한 캔유텍 사의 SFBC50-SPEEK20 제품을 사용하였다15). Pt 나노 입자를 고분자 전해질 막에 도입하기 위해 전구체로 platinum (II) bis (acetylacetonate), Pt (acac)2를 Johnson Matthey Materials Technology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Pt 나노 촉매가 도입된 SFBC50-SPEEK20 복합막의 인장강도는 만능 시험기 (SHM-C-500, Shamhan Tech, Korea)를 사용하였다. Cross head 속도는 10 mm/min로 하였다.
  • 양이온 고분자 전해질 막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은 듀폰사에 의해 개발된 나피온 종류이다. 이 제품의 고분자 사슬 구조는 소수성을 갖는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주사슬에 친수성을 갖는 perfluorosulfonic acid (PFSA) 곁가지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나피온 막은 상대습도가 높은 조건에서 양이온 전도도가 우수하며, 화학적 및 기계적 안정성이 높다.
  • 탄화수소계 전해질 막은 술폰화-불소화 블록 공중합체(SFBC)와 술폰화 poly(ether ether ketone)(SPEEK)를 50 wt%와 20 wt%의 혼합비로 블렌딩한 캔유텍 사의 SFBC50-SPEEK20 제품을 사용하였다15). Pt 나노 입자를 고분자 전해질 막에 도입하기 위해 전구체로 platinum (II) bis (acetylacetonate), Pt (acac)2를 Johnson Matthey Materials Technology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GDE는 Fuel Cells Etc 사의 2 mg/cm² Platinum Black – Cloth 제품이었다. 연료전지 테스트 스테이션은 Scribner Associates 사의 850e 모델을 사용하였고, 산소 유속은 290 sccm로 고정하고, 수소 유속은 전압에 따라 247-6600 sccm 범위에서 조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전지의 구성요소는?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고분자 전해질 막, 전극(anode, cathode) 및 분리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에서 고분자 전해질 막의 화학적 구조는 양이온 교환을 위해 술폰산기를 갖는 친수성기와 내구성 및 발수성을 갖는 소수성 매트릭스로 이루어져 있다1). 즉, 전해질 막 제조 과정에서 소수성기와 친수성기가 자기 조립 과정을 거치면서 상분리가 일어나게 되며, 소수성 매트릭스 중에 친수성 마이크로 도메인이 분산된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나피온 막의 단점은? 나피온 막은 상대습도가 높은 조건에서 양이온 전도도가 우수하며, 화학적 및 기계적 안정성이 높다. 그렇지만 나피온계 전해질 막은 지나치게 높은 가격 문제로 인해 연료전지 상용화 측면에서 매우 비싼 단점이 있다5,6). 따라서 나피온 막을 대체할 수 있는 전해질 막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술폰화 및 불소화된 polyimide (PI), poly ether ether ketone(PEEK), polysulfone (PSU), polybenzimidazole (PBI)과 같은 탄화수소계 고분자들이 주로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7-9).
나피온 막의 장점은? 이 제품의 고분자 사슬 구조는 소수성을 갖는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주사슬에 친수성을 갖는 perfluorosulfonic acid (PFSA) 곁가지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나피온 막은 상대습도가 높은 조건에서 양이온 전도도가 우수하며, 화학적 및 기계적 안정성이 높다. 그렇지만 나피온계 전해질 막은 지나치게 높은 가격 문제로 인해 연료전지 상용화 측면에서 매우 비싼 단점이 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D. Aaron, S. Yiacoumi, and C. Tsouris, "Effects of Proton-Exchange Membrane Fuel-Cell Operating Conditions On Charge Transfer Resistances Measured b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Separ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 43, No. 9, 2008, p. 2307. 

  2. Y. Sasaki, M. Iijima, T. Osad, K. Miyamoto, and M. Nagai, "Nanostructure with Clusters in Nafion by DSC",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mophysics, Vol. 27, No. 6, 2006, p. 1792. 

  3. K. A. Mauritz and R. B. Moore, "State of Understanding of Nafion", Chem. Rev., Vol. 104, No. 10, 2004, p. 4535. 

  4. F. P. Orfino and S. Holdcroft, "The Morphology of Nafion: are ion clusters bridged by channels or single ionic sites?", Journal of New Materials for Electrochemical Systems, Vol. 3, No. 4, 2000, p. 287. 

  5. J. A. Kerres, "Development of ionomer membranes for fuel cells", J. Membr. Sci., Vol. 185, No. 1, 2001, p. 3. 

  6. M. Rikukawa and K. Sanui, "Proton- conducting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based on hydrocarbon polymers", Prog. Polym. Sci., Vol. 25, No. 10, 2000, p. 1463. 

  7. L. Xiao, H. Zhang, T. Jana, E. Scanlon, R. Chen, E. W. Choe, L. S. Ramanathan, S. Yu, and B. C. Benicewicz,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yridine-Based Polybenzimidazoles for High Temperatur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Applications", Fuel Cells, Vol. 5, No. 2, 2005, p. 287. 

  8. H. J. Kim, S. J. An, J. Y. Kim, J. K. Moon, S. Y. Cho, Y. C. Eun, H. K. Yoon, Y. M. Park, H. J. Kweon, and E. M. Shin, "Polybenzimidazoles for High Temperature Fuel Cell Applications", Macromol Rapid Commun, Vol. 25, No. 15, 2004, p. 1410. 

  9. S. W. Chuang and S. L. C. Hsu, "Synthesis and Properties of a New Fluorine- Containing Polybenzimidazole for High-Temperature Fuel-Cell Applications",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A, Polymer Chemistry, Vol. 44, No. 15, 2006, p. 4508. 

  10. M. B. Satterfield, P. W. Majsztrik, H. Ota, J. B. Benziger, and A. B. Bocarsly, "Mechanical Properties of Nafion and Titania/Nafion Composite Membranes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J. Polymer Science: Part B. Polymer Physics, Vol. 44, No. 16, 2006, p. 2327. 

  11. J. Benziger, E. Chia, J. F. Moxley, and I. G. Kevrekidis, "The dynamic response of PEM fuel cells to changes in load", Chemical Engineering Science, Vol. 60, No. 4, 2005, p. 1743. 

  12. P. Trogadas, J. Parrondo, and V. Ramani, "Degradation Mitigation i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Using Cerium Oxide as a Regenerative Free-Radical Scavenger", Electrochemical and Solid-State Letters, Vol. 11, No. 7, 2008, p. B113. 

  13. J. W. Lee, W. S. Kim, and Y. T. Yoo, "Preparation and Actuation Performance of Ionic Polymer-Metal Composite Actuators Based on Nafion-Alumina Composite Membranes", Polymer(Korea), Vol. 33, No. 4, 2009, p. 377. 

  14. H. J. Kweon, H. N. Kim, and J. H. Kang,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of IPMC through Developing a Degree of Dispersion of SWCNT/Nafion Composite", J. Kor. Soc.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Vol. 10, No. 5, 2011, p. 131. 

  15. A. R. Kim, M. Vinothkannan, and D. J. Yoo, "Sulfonated-fluorinated copolymer blending membranes containing SPEEK for use as the electrolyte i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PEFC)", International J. Hydrogen Energy, Vol. 42, 2017, p. 4349. 

  16. J. Y. Lee, Y. Liao, R. Nagahata, and S. Horiuchi, "Effect of Metal Nanoparticles on Thermal Stabilization of Polymer/Metal Nanocomposites Prepared by a One-Step Dry Process", Polymer, Vol. 47, No. 23, 2006, p. 7970. 

  17. P. Salarizadeh, M. Javanbakht, and S. Pourmahdian,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SPEEK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using functionalized TiO2 nanoparticles with proton hopping sites", RSC Advances, Vol. 7, 2017, p. 8303. 

  18. J. H. Park, T. E. Kim, S, M. Juon, Y. I. Cho, K, Y. Cho, and Y. G. Shul, "Performance of Modified-Silicon Carbide Fiber Composites Membrane for Polymer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5, 2014, p. 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