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경이 열수 추출 투여의 마이스 사이토카인 및 비장세포 증식 효과
Effect of Plantago asiatica L. Water Extracts on Mice Spleen and Cytokine Cells Activ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3, 2017년, pp.510 - 514  

류혜숙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질경이 열수 추출물 첨가가 마이스의 면역세포 증식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 음의 대조군에 비해 질경이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모든 농도에서 비장세포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250{\sim}500{\mu}g/mL$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한편, 대식세포 활성화로 유도된 cytokine 분비량 $IFN-{\gamma}$, IL-2, $TNF-{\alpha}$ cytokine측정 결과, IL-2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IFN-{\gamma}$, $TNF-{\alpha}$ 모두 $250{\sim}500{\mu}g/mL$ 농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의 나타난 결과로 질경이 열수 추출물이 마이스 비장세포 생성을 유도하고, cytokine 분비량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질경이 물 추출물이 면역 기관과 면역세포를 자극하여 면역능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antago asiatica L., observed frequently in East Asia, is a known herb used in traditional medical remedies several studies report that P. asiatica L ha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To determine the production of cytokines (IL-2, $IFN-{\gamma}$, and $TNF-{\alp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한편, 질병과 사이토카인 분비와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수포성 자가면역 질환 환자에게서 IL-2, IFN-γ 분비가 증가되는 현상에 대해 연구된 바 있다(Bhol 등 2000; Giurdanella 등 2013). 본 연구에서 천연식물소재 질경이를 소재로 하여 질경이 열수 추출물이 면역세포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검색하기 위해 농도를 달리한 질경이 열수 추출물이 마이스 비장세포에 직접 작용시켜 면역세포를 증식시키는 활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cytokine(TNF- α, IL-2, IFN-γ) 분비능을 측정하여 면역세포의 증진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질경이의 면역활성 효과의 가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식세포는 TNF-α, IL-1, IL-2, IL-6 등과 같은 다양한 cytokine을 분비하여 면역능을 조절하는데(Kim 등2004), 이들 cytokine 중에서도 IFN-γ, IL-2, TNF-α는 세포와 세포들 사이에서 신호전달을 수행하여 초기염증반응에 관여함으로써 면역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알려져 왔다(Barnes & Liew 1995; Ryu HS 20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방에서 질경이의 효능은? 질경이(Plantago asiatica L.)는 우리나라 다양한 지역에서 분포되어 있으며 질경이과(Plantaginacea)에 포함되는 식물로(Jeong 등 2004; Park CH 1996) 한방에서는 요혈, 강심, 늑막염해독제와 변비, 소염, 이뇨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SJ 1996). 지금까지 보고 연구로 간독성에 대한 해독작용(Chang IM 1998), 만성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효과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Davidson 등 1998; Anderson 등 1999).
질경이란 무엇인가? 질경이(Plantago asiatica L.)는 우리나라 다양한 지역에서 분포되어 있으며 질경이과(Plantaginacea)에 포함되는 식물로(Jeong 등 2004; Park CH 1996) 한방에서는 요혈, 강심, 늑막염해독제와 변비, 소염, 이뇨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SJ 1996). 지금까지 보고 연구로 간독성에 대한 해독작용(Chang IM 1998), 만성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효과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Davidson 등 1998; Anderson 등 1999).
현재까지 질경이에 대한 연구로는 어떤게 있는가? )는 우리나라 다양한 지역에서 분포되어 있으며 질경이과(Plantaginacea)에 포함되는 식물로(Jeong 등 2004; Park CH 1996) 한방에서는 요혈, 강심, 늑막염해독제와 변비, 소염, 이뇨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SJ 1996). 지금까지 보고 연구로 간독성에 대한 해독작용(Chang IM 1998), 만성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효과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Davidson 등 1998; Anderson 등 1999). 또한 질경이를 투여한 흰쥐의 위염 및 위궤양 완화 효과에 대한 연구가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derson JW, Allgood LD, Turner J, Oeltgen PR, Daggi BP. 1999. Effects of psyllium on glucose and serum lipid responses in men eith type 2 diabetes and hypercholesterolmia. Am J Clin Nutr 7:1433-1438 

  2. Barnes PJ, Liew FY. 1995. Nitric oxide and asthmatic inflammation. Immunology Today 16:128-130 

  3. Bhol KC Rojas AI, Khan IU, Ahmed AR. 2000. Presence of interleukin 10 in the serum and blister fluid of patients with Pemphigus vulgaris and pemphigoid. Cytokine 12:76-83 

  4. Chang IM. 1998. Liver-protective activites of aucubin derved from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Res Commun Mol Pathol Phamacog 11:57-60 

  5. Davidson MH, Maki KC, Kong JC, Dugan LD, Torri SA, Hall HA, Drennan KB, Anderson SM, Fulgoni VL, Saldanha LG, Olson BH. 1998. Long-term effects of consuming foods containing psyllium seed husk on serum lipids in subjects with hypercholesterolemia.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7:367-376 

  6. Giurdanella F, Fania L, Gnarra M. 2013. A possible role for CD8+ T lymphocytes in the cell-mediated pathogenesis of Pemphigus vulgaris. Mediators of Inflammation 2013 Article ID 764290:5 

  7. Jeong CH, Bae YI, Shim KH, Choi JS. 2004.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lantago asiatica L. extracts. Korean J Food Sci Nutr 33:1601-1605 

  8. Lee SJ. 1999. Korean Folk Medicine. Publishing Cente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pp.130 

  9. Sung Jin Park, Eon Hwan Sihn, Cheun Kim. 2011.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ago asiatica L.. J Korean Food Preserv 18:212-218 

  10. Kim Joung Hoon, Kang Tae Wook, Ahn Young Keun. 1996. The effects of plantago-mucilage from the seeds of Plantago asiatica on the immune responses in ICR mice. J Korean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19:137-142 

  11. Kim HP, Son KH, Kang SS. 2004. Anti-inflammatory plant flavonoids and cellular action mechanisms. J Pharmacological Sci 96:229-245 

  12. Mishell BB, Shiigi SM. 1980. Selected Methods in Cellular Immunology. 1st ed. Sanfrancisco. WH Freeman and Co. 4 

  13. Park HA. 2003. Enhancing effect of Ixeris sonchifolia Hance Oenanthe javanica, and Fagopyrum escluentum Moench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 Seoul. Korea 

  14. Park SJ, Shin HS, Kim CN. 2011.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ago asiatica L.. Korean J Food Preserv 18:212-218 

  15. Park CH. 1996. A taxnomic and systematic study of genus Plantago in Korea. MS. Thesis. Korea University 14-20 

  16. Pisa P, Halapi E, Pisa EK, Gerdin E, Hising C, Buchi A. 1992. Selective expression of interleukin 10, interferon gamma and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in ovarian cancer biopsies. Proc Nual Acad Sci 89:7708-7712 

  17. Ryu HS, Kim HS. 2004. Effect of Zingiber officinale Roscoe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Korean J Nutr 37:23-30 

  18. Ryu HS, Kim HS. 2005. Effects of job's tear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tivation. J. Korean Diet Assoc 11:44-50 

  19. Ryu HS, Kim HS. 2006. Effect of 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 su-su) water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Korean J Food Nutr 19:176-182 

  20. Ryu HS, Jung YH, Kim HS. 2007. Effect of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Korean J Nutr 40:639-649 

  21. Ryu HS, Kim KO, Kim HS. 2009. Effects of plant water extract Codonopsis lanceolatae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ex vivo. Korean J Nutr 42:207-212 

  22. Ryu HS. 2009. Effect of corn extracts on mouse spleen and cytokine production by peritoneal macrophage for four weeks. Korean J Food Nutr 24:65-70 

  23. Ryu HS. 2010. Effects of water extract acorn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ex vivo. Korean J Food Nutr 23:135-140 

  24. Ramunans Z, Robert HB, Max L, Paricia JM. 2000. In vivo effect of chronic treatment with (met5)-enkephalin on hematological values and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athvity in athymic mice. Life Sci 66:829-834 

  25. So MS, Lee JS, Yi SY. 2004. Induction of nitric oxide and cytokines in mcrophages by Codonopsis lanceolatae. Korean J Food Scl Technol 36:986-990 

  26. Sung JP, Eon HS, Kim CA. 2011.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ago asiatica L.. Korean J Food Preserv 18:212-218 

  27. Sun JS. 1996. Effect of Codonopsis lanceolatae radix water extract on immunocytes. Korean J Food Nutr 9:379-384 

  28. Sypek JP, Chung CL, Mayer SH, Subramanyam JM, Goldman SJ, Sieburth DS, Wolf SF, Schaub RG. 1994. Ressolution of cutaneous leishmaniasis: interleukin 12 initiates a protective T helper type 1 immune response. J Exp Med 263:235-2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